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목차
1.공정의 전달함수 결정
2.제어기 선택
• 조율 방법을 통한 가장 적절한 제어기와parameter 선택
• 추가적인 제어기 성능 비교
3.실제공정과 유사한 조건에서의 제어기 성능 비교 및 선택
4.공정 open loop의 안정성 확인
5.제어역할을 보충해주는 feed forward 설치
6.추가 분석 및 설계
2.제어기 선택
• 조율 방법을 통한 가장 적절한 제어기와parameter 선택
• 추가적인 제어기 성능 비교
3.실제공정과 유사한 조건에서의 제어기 성능 비교 및 선택
4.공정 open loop의 안정성 확인
5.제어역할을 보충해주는 feed forward 설치
6.추가 분석 및 설계
본문내용
화공생명공학과 공정제어 프로젝트
PROCESS control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공정설계 프로젝트
Steady State 공정변수
-에너지 수지식 등 5가지 변수에 대한 식을 matlab의 state function으로 계산,
-초기 조건과 주어진 변수 값들을 통하여 정상상태 공정 변수 값들을 구한다.
-초기 변수 값 x0=[0 0 0 0 0 ]
반복 계산 결과
X = [55.15 346.16 333.437 346.071 476 ]
Steady state 공정변수
ODE45를 통해 구한 정상상태 변수 값
CA : 55.1550 (mol/l)
T : 346.1647 (K)
Tc : 333.4375 (K)
Tm : 346.0712 (K)
Wc : 476.0000 (kg/min)
Process Setting
≪ 그 림 ≫
Model Identification
모델인식이란?
공정을 실험적 근사모델로 설정, 입력신호를 계단 입 력으로 하여, 그리고 출력신호 또한 공정의 동특성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여
공정의 모델을 인식하는 방법이다.
입력-> 공정모델 -> 출력
입력과 출력을 통한 공정모델의 확인!!
Set point change at Steady state
Step input-> Find transfer function
Wc_sp= 476 → 50
≪ … 중 략 … ≫
1. Z-N LOAD Change [ PI vs PID ]
≪ 그 래 프 ≫
1) Overshoot & Undershoot 크기 비교 : PI > PID
2) Settling time 빠르기 : PID > PI
3) Rise time: PID 와 PI 비슷
제어기 성능비교 PID > PI
2. IAE LOAD Change [ PI vs PID ]
≪ 그 래 프 ≫
1) Overshoot & Undershoot 크기 비교 : PI > PID
2) Settling time 빠르기 : PID > PI
3) Rise time: PID 와 PI 비슷
제어기 성능비교 PID > PI
PROCESS control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공정설계 프로젝트
Steady State 공정변수
-에너지 수지식 등 5가지 변수에 대한 식을 matlab의 state function으로 계산,
-초기 조건과 주어진 변수 값들을 통하여 정상상태 공정 변수 값들을 구한다.
-초기 변수 값 x0=[0 0 0 0 0 ]
반복 계산 결과
X = [55.15 346.16 333.437 346.071 476 ]
Steady state 공정변수
ODE45를 통해 구한 정상상태 변수 값
CA : 55.1550 (mol/l)
T : 346.1647 (K)
Tc : 333.4375 (K)
Tm : 346.0712 (K)
Wc : 476.0000 (kg/min)
Process Setting
≪ 그 림 ≫
Model Identification
모델인식이란?
공정을 실험적 근사모델로 설정, 입력신호를 계단 입 력으로 하여, 그리고 출력신호 또한 공정의 동특성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여
공정의 모델을 인식하는 방법이다.
입력-> 공정모델 -> 출력
입력과 출력을 통한 공정모델의 확인!!
Set point change at Steady state
Step input-> Find transfer function
Wc_sp= 476 → 50
≪ … 중 략 … ≫
1. Z-N LOAD Change [ PI vs PID ]
≪ 그 래 프 ≫
1) Overshoot & Undershoot 크기 비교 : PI > PID
2) Settling time 빠르기 : PID > PI
3) Rise time: PID 와 PI 비슷
제어기 성능비교 PID > PI
2. IAE LOAD Change [ PI vs PID ]
≪ 그 래 프 ≫
1) Overshoot & Undershoot 크기 비교 : PI > PID
2) Settling time 빠르기 : PID > PI
3) Rise time: PID 와 PI 비슷
제어기 성능비교 PID > PI
키워드
추천자료
21C 제조기업의 대응전략(사례위주분석)
공정설계 문제 레포트
초고층 빌딩의 구조system
빌게이츠 기업가 사례보고서
동북공정의 정의, 목적, 한국 중국학계의 입장, 대응방안
자동차산업 노사관계의 현황과 혁신 방향
[유망직업][유망직종]미래유망직업-재무회계관리사와 품질관리전문가, 미래유망직업-화폐디자...
기계재료 Term Project 스테플러
Klosterenga 리노베이션 설계 기법 사례조사 (건축일반구조)
제어 시스템 설계 Term project - 온도 제어시스템에 대한 제어기 설계
Xylene(자일렌) 100만톤 생산 공정
유체이동현상 2-Dimensional Velocity Profile In a Rectangular Micro Reactor
효과적인 팀 구성을 위한 요인과 그에 적합한 특정한 팀의 사례를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