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실험원리
4. 실험 기구 및 시약
5. 실험방법
6. 실험결과
7. 고찰 및 의문점
8. 참고사진
2. 실험목적
3. 실험원리
4. 실험 기구 및 시약
5. 실험방법
6. 실험결과
7. 고찰 및 의문점
8. 참고사진
본문내용
0.5N HCl/ethanol 적정 소비량 (V)
9.433
이론적 소비량(V)
1000x 0.25/ 26.5 = 9.433
역가(F)
1
시료명
시료(식용유)
시료 채취량(ml)
2
2
2
공 시험의 0.5N HCl 적정값 = a
19.4
19.4
19.4
본 시험의 0.5N HCl 적정값 = b
8.9
7.5
8.2
비누화가
147.26
166.8
157.08
□ 고찰 및 의문점
1학기 마지막 실험은 유지의 비누화가 측정실험이다. 일단 비누화가란 유지 1g을 검화 하는데 필요한 KOH의 mg수로 유지의 특징 중 하나이며 유지를 구성하고 있는 지방산의 분자량을 반영한다고 한다. 유지는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는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화학적 지표로 사용되며 유지를 구성하는 지방산의 분자량을 개략적으로 측정, 즉 유지의 성질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며 유지를 구성하는 지방산의 분자량이 클수록 유지는 소수성이 증가하고, 융점이 높아지며, 비점이 상승하게 된다. 또 비누화가와 유지를 구성하는 지방산의 평균 분자량은 반비례한다. 그렇다면 요오드가란 무엇일까? 불포화지방산의 이중결합에는 수소나 요오드 등이 쉽게 결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지를 구성하는 불포화지방산에 이중결합이 많으면 요오드가 많이 결합하고, 적으면 적게 결합한다. 요오드가는 유지 100g에 부가되는 요오드의 g수를 말한다. 요오드가는 유지 분자 내의 이중결합 수, 즉 불포화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번 실험을 할 때 리비히 냉각기를 이용하였는데 처음 보는 기구라서 신기하기도 하고 원리가 궁금하기도 하였다. 리비히 냉각기는 용매증기를 냉각시켜 밑 부분의 용기 속으로 돌려보내는 장치이다. 구조는 중앙의 가는 유리관과 그것을 둘러싼 외통으로 되어 있으며, 외통과 중앙의 유리관 사이를 냉각수가 순환함으로써 중앙의 유리관을 통과하는 증류기체가 냉각 액화되도록 되어 있는데 냉각능률은 그다지 좋지 않지만, 구조가 간단하고 다루기 쉽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이번 실험 결과 비누화가 값이 조금 적게나왔다. 공시험의 Blank test 값이 19.4 ml가 나왔는데 이 처럼 낮게 나온 이유는 기름을 가열할 때 기름이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빠르게 나뉘어져서 지방산과 KOH가 반응을 빠르게 보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적게 나온 공시험의 적정 값 때문에 페놀반응이 빨라졌고, 이는 지방산과 글리세롤이 분리가 됨으로서 비누화 값이 빨라졌기 때문이다.
□ 참고사진
9.433
이론적 소비량(V)
1000x 0.25/ 26.5 = 9.433
역가(F)
1
시료명
시료(식용유)
시료 채취량(ml)
2
2
2
공 시험의 0.5N HCl 적정값 = a
19.4
19.4
19.4
본 시험의 0.5N HCl 적정값 = b
8.9
7.5
8.2
비누화가
147.26
166.8
157.08
□ 고찰 및 의문점
1학기 마지막 실험은 유지의 비누화가 측정실험이다. 일단 비누화가란 유지 1g을 검화 하는데 필요한 KOH의 mg수로 유지의 특징 중 하나이며 유지를 구성하고 있는 지방산의 분자량을 반영한다고 한다. 유지는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는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화학적 지표로 사용되며 유지를 구성하는 지방산의 분자량을 개략적으로 측정, 즉 유지의 성질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며 유지를 구성하는 지방산의 분자량이 클수록 유지는 소수성이 증가하고, 융점이 높아지며, 비점이 상승하게 된다. 또 비누화가와 유지를 구성하는 지방산의 평균 분자량은 반비례한다. 그렇다면 요오드가란 무엇일까? 불포화지방산의 이중결합에는 수소나 요오드 등이 쉽게 결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지를 구성하는 불포화지방산에 이중결합이 많으면 요오드가 많이 결합하고, 적으면 적게 결합한다. 요오드가는 유지 100g에 부가되는 요오드의 g수를 말한다. 요오드가는 유지 분자 내의 이중결합 수, 즉 불포화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번 실험을 할 때 리비히 냉각기를 이용하였는데 처음 보는 기구라서 신기하기도 하고 원리가 궁금하기도 하였다. 리비히 냉각기는 용매증기를 냉각시켜 밑 부분의 용기 속으로 돌려보내는 장치이다. 구조는 중앙의 가는 유리관과 그것을 둘러싼 외통으로 되어 있으며, 외통과 중앙의 유리관 사이를 냉각수가 순환함으로써 중앙의 유리관을 통과하는 증류기체가 냉각 액화되도록 되어 있는데 냉각능률은 그다지 좋지 않지만, 구조가 간단하고 다루기 쉽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이번 실험 결과 비누화가 값이 조금 적게나왔다. 공시험의 Blank test 값이 19.4 ml가 나왔는데 이 처럼 낮게 나온 이유는 기름을 가열할 때 기름이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빠르게 나뉘어져서 지방산과 KOH가 반응을 빠르게 보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적게 나온 공시험의 적정 값 때문에 페놀반응이 빨라졌고, 이는 지방산과 글리세롤이 분리가 됨으로서 비누화 값이 빨라졌기 때문이다.
□ 참고사진
추천자료
전기회로17. 직렬 RLC회로의 주파수 특성 (예비레포트)
타이머 카운터 인터럽트 프로그램 [마컴 예비레포트]
7세그먼트 LED 응용 프로그램 [마컴 예비레포트]
borda 진자를 이용한 중력가속도 측정 예비레포트
포도주의 알코올 함량 분석 (예비레포트)
용량기 검정 및 액체의 밀도 예비레포트
★ 정밀화학제조실험 - 메틸오렌지의 합성 예비레포트 (최종)
★ 정밀화학제조실험 - 초산에틸의 합성 예비레포트(최종)
★ 정밀화학제조실험 - 아스피린의 제조 예비레포트 (최종)
화공기초 이론 및 실험 UV흡착 예비레포트
화공기초 이론 및 실험 기체상수결정 예비레포트
화공기초 이론 및 실험 평형상수결정 예비레포트
중앙대 진동계측실험 TMD,TLD 예비레포트
중앙대 진동계측실험 pid 설계(예비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