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가족기능의 유형
2. 현대가족의 기능이 약화되는 이유
3. 현대가족 기능 및 사례
4. 가족기능의 유형을 참고한 현대가족의 기능
5. 나의가족 기능 및 의견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가족기능의 유형
2. 현대가족의 기능이 약화되는 이유
3. 현대가족 기능 및 사례
4. 가족기능의 유형을 참고한 현대가족의 기능
5. 나의가족 기능 및 의견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육집단으로 그 기능이 옮겨가고 있다. 즉, 교육기능은 가족보다는 가족외에서 수행되는 비율이 현저히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라. 가족의 보호기능의 약화
가족의 부차적 기능이라 할 수 있는 가족의 보호기능 역시 현대가족에게 있어 지속적으로 약화되고 있다. 현대사회 질병은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질병에 대한 체계적 관리와 치료가 가족내에서 수행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마. 휴식기능, 오락기능 종교적 기능의 약화
가족의 부차적 기능이라 할 수 있는 휴식의 기능, 오락의 기능, 종교적 기능 역시 현대사회 가족에 있어 지속적으로 약화되고 있다. 현대사회 많은 가족들이 가족내에서 휴식을 즐기기 보단 해외여행을 선호하고 있으며, 자녀들은 컴퓨터 게임에 집중하기도 한다. 또한 성당, 교회, 불교사원을 찾아 기도하고 예배를 하는 것이 보편화 됨으로서 가족의 종교적 기능 또한 약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5. 나의가족 기능 및 의견
어릴적부터 어머니와 아버지의 사회생활로 인하여 우리 집은 소위 말하는 맞벌이 가족의 유형을 띄게 되었다. 간단한 집안일은 나와 동생이 알아서 해야 했고, 이로인해 중고등학교 시절엔 부모님에 대한 서운한 감정이 많이 있었다. 한편 부모님의 맞벌이로 인하여 우리 가족은 상호간의 유대감을 형성할 의사소통의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지 않았나 싶다.
즉, 우리 가족은 가족구성원간의 정신적정서적 안정기능이 많이 약했다고 생각하며, 그러한 문제는 현재진행형이다. 따라서 적어도 일요일만이라도 집에서 버둥버둥 시간을 보내거나, 만남을 핑계로 외출을 하지 말고, 가족끼리 상호 유대감을 강화할 수 있는 놀이활동을 활성화 하거나, 상호간의 대화시간을 확장시켜 가족간의 정신적, 정서적 안정기능을 강화해야 겠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한편 우리 가족의 특징으로는 가부장제를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아버지 중심으로 가족의 기능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족구성원들의 기본적인 합의에 의하여 가장의 부인에 대한 억압적 구조를 형성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아버지께서 하지 말라고 한 사항은 가족의 법아닌 법으로 작용했었고, 이로 인해 나와 동생은 아버지에 대한 원망과 증오심이 있었던 것 같다. 따라서 아버지의 이러한 독선적 성격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말씀드려보고, 이제 성인인 나와 동생을 위해서라도 자녀들의 의견을 존중해 달라는 말씀을 드려야 된다고 생각해 보았다.
Ⅲ. 결론
가족의 기능은 시대 변화에 따라 그 중요성이나 내용면에서 상당히 달라지고 있다. 미래의 가족기능은 출산이나 양육의 기능, 교육이나 사회화의 기능보다 부차적 기능이 가장 중요하게 부각될 것이라는 생각을 해보았다. 부차적 기능이란 서로 사랑하고 지지하며, 상호 정을 느낌으로서 정서적인 안정을 제공하는 기능을 의미한다고 생각해 본다. 정서적 교류 및 집합의 성격이 강한 공동체 가족유형이 우리사회 미래의 가족 모습이 될 것이라고 생각해보며, 우리사회의 가족이라는 조직의 개념 역시 변화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해 본다.
Ⅳ. 참고자료
가족복지론 이원숙 저 | 학지사 | 2013.12.15
라. 가족의 보호기능의 약화
가족의 부차적 기능이라 할 수 있는 가족의 보호기능 역시 현대가족에게 있어 지속적으로 약화되고 있다. 현대사회 질병은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질병에 대한 체계적 관리와 치료가 가족내에서 수행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마. 휴식기능, 오락기능 종교적 기능의 약화
가족의 부차적 기능이라 할 수 있는 휴식의 기능, 오락의 기능, 종교적 기능 역시 현대사회 가족에 있어 지속적으로 약화되고 있다. 현대사회 많은 가족들이 가족내에서 휴식을 즐기기 보단 해외여행을 선호하고 있으며, 자녀들은 컴퓨터 게임에 집중하기도 한다. 또한 성당, 교회, 불교사원을 찾아 기도하고 예배를 하는 것이 보편화 됨으로서 가족의 종교적 기능 또한 약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5. 나의가족 기능 및 의견
어릴적부터 어머니와 아버지의 사회생활로 인하여 우리 집은 소위 말하는 맞벌이 가족의 유형을 띄게 되었다. 간단한 집안일은 나와 동생이 알아서 해야 했고, 이로인해 중고등학교 시절엔 부모님에 대한 서운한 감정이 많이 있었다. 한편 부모님의 맞벌이로 인하여 우리 가족은 상호간의 유대감을 형성할 의사소통의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지 않았나 싶다.
즉, 우리 가족은 가족구성원간의 정신적정서적 안정기능이 많이 약했다고 생각하며, 그러한 문제는 현재진행형이다. 따라서 적어도 일요일만이라도 집에서 버둥버둥 시간을 보내거나, 만남을 핑계로 외출을 하지 말고, 가족끼리 상호 유대감을 강화할 수 있는 놀이활동을 활성화 하거나, 상호간의 대화시간을 확장시켜 가족간의 정신적, 정서적 안정기능을 강화해야 겠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한편 우리 가족의 특징으로는 가부장제를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아버지 중심으로 가족의 기능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족구성원들의 기본적인 합의에 의하여 가장의 부인에 대한 억압적 구조를 형성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아버지께서 하지 말라고 한 사항은 가족의 법아닌 법으로 작용했었고, 이로 인해 나와 동생은 아버지에 대한 원망과 증오심이 있었던 것 같다. 따라서 아버지의 이러한 독선적 성격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말씀드려보고, 이제 성인인 나와 동생을 위해서라도 자녀들의 의견을 존중해 달라는 말씀을 드려야 된다고 생각해 보았다.
Ⅲ. 결론
가족의 기능은 시대 변화에 따라 그 중요성이나 내용면에서 상당히 달라지고 있다. 미래의 가족기능은 출산이나 양육의 기능, 교육이나 사회화의 기능보다 부차적 기능이 가장 중요하게 부각될 것이라는 생각을 해보았다. 부차적 기능이란 서로 사랑하고 지지하며, 상호 정을 느낌으로서 정서적인 안정을 제공하는 기능을 의미한다고 생각해 본다. 정서적 교류 및 집합의 성격이 강한 공동체 가족유형이 우리사회 미래의 가족 모습이 될 것이라고 생각해보며, 우리사회의 가족이라는 조직의 개념 역시 변화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해 본다.
Ⅳ. 참고자료
가족복지론 이원숙 저 | 학지사 | 2013.12.15
추천자료
[가족기능][가족문제][가족정책][가족복지][가족]가족기능, 가족문제, 가족정책, 가족복지 심...
한 부모 가족- '작지만 탄탄한 우리가족'
[가족][가족복지][한국가족][가족기능][가족복지정책][가족문제]가족 기능, 가족복지란, 다양...
[가족상담][모자가족]가족상담의 개념, 가족상담의 기원, 가족상담의 이론적 모형, 가족상담...
현대가족의 성격과 특성 및 현대가족변화에 대한 쟁점
가족의 변화와 따른 현대가족의 문제점과 해결책에 대해 논하시오. - 가족의 구조적 외적 변...
(가족복지론 A+레포트) 현대가족의 특성과 문제점에 대해 논하시오. - 현대가족의 특성 : 부...
가족복지론(가족기능)
[가족복지론] 한국 가족의 변화(가족구조의 변화와 가족기능의 변화 및 가족폭력의 증가)
지역사회와 연계할 수 있는 가족 프로그램 계획안을 작성해보세요 (방과후 아동교실)
가족기능을 강화하기위해 자신이 관심있는 것을 한 가지 선정해서 프로그램을 계획해보세요
현대가족의 특징과 사회적지원이 필요한 부모교육에 대해 조사 다양한 부모 교육들 중 한 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