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비생물적 산림피해
[2]수목병해
[3]산림곤충
[2]수목병해
[3]산림곤충
본문내용
선충병
①하늘소류의 매개에 의하여 전파되며 소나무는 솔수염하늘소, 잣나무는 북방수염하늘소가 매개한다
②소나무, 해송, 잣나무, 섬잣나무 등에서 발병하며 감염목은 수주 내에 급속히 고사한다
③생활주기는 온도 25℃의 조건에서 4~5일정도이다
④1900년 초 일본에서 최초로 병 발생이 보고되었고 현재 중국, 대만, 한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지역 뿐만 아니라 캐나다, 멕시코, 포르투갈 등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⑤외부증상만으로는 일반 고사목과 정확히 구별할 수 없어 소나무재선충의 분리, 동정을 통해서만 가능한데 고사목의 목편 내에는 형태적으로 유사한 다른 선충 종들이 검출되므로 최근에는 분자생물학적 진단기술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2.형태적 특징
암컷
수컷
체장
0.8~1.2mm
0.6~1.0mm
생식기
음문 바깥쪽에 음순이 몸의 후부 쪽으로 길게 형성
활모양 또는 망치모양의 휘어진 독특한 교접자를 가지고 있으며 교접자 끝에는 cucullus라 불리는 작은 원판모양의 돌출물이 형성되어 있다
미부
일반적으로 둥글지만 끝이 뾰족하거나 짧은 돌기를 가지는 등 다양한 변이가 존재
배쪽으로 강하게 휘어져 뽀족한 모양이며 미부의 끝에는 반투명하고 짧은 교접낭이 형성되어 있다
3.생활사 및 병환
5~7월
①솔수염하늘소가 고사목에서 우화하여 건강한 소나무의 신초를 갉아먹음
②솔수염하늘수의 체내에 있던 소나무재선충이 후식상처를 통해 침입
③수지구나 헛물관 주변의 유세포를 가해하며 단기간에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감염된 나무는 수주 내에 고사
7~8월
④솔수염하늘소가 쇠약목이나 고사목 수피에 산란흔을 만들어 산란
⑤유충이 자라 터널 끝어 번데기방을 만들고 그 안에서 번데기가 됨
⑥번데기방이 형성되면 그 주위로 소나무재선충 3기 유충들이 모여듬
이듬해 봄
⑦번데기나 성충의 기문 등을 통하여 침입
⑧몸속에 들어간 소나무재선충은 탈피를 거쳐 4기 유충이 됨
⑨같은 과정 반복
4.방제법
①이병목을 벌채하여 1~2㎥로 쌓은 후 비닐로 덮어 훈증제인 메탐소디움을 처리하고 신속히 밀봉
②아바멕틴, 에마멕틴벤조이트 등의 살선충제를 수간에 직접 주입
③이병목을 벌채한 후 소각하거나 기계를 이용하여 파쇄하는 등 매개충을 방제한다
[3]산림곤충
1.산림해충의 방제
⑴해충방제이론
①해충방제란 해충의 밀도(개체수)를 일정한 수준 이하로 조절하는 것으로 그 밀도가 사람에게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정도가 아니면 굳이 시간과 경비를 투자하여 방제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②해충밀도가 경제적 피해수준 이상일 경우 방제를 시작한다
③경제적피해수준
-해충에 의한 손실액과 방제비용이 같을 때의 해충의 밀도
-방제수단을 적용해야 할 정도의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는 해충의 개체수를 의미한다
⑵해충의 방제법
기계적 방제법
①사람의 손이나 간단한 기계, 기구를 이용하는 방법
②단시간에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저렴하다
③해충의 발견이 용이하고 발생개체수가 적으며 입목밀도가 낮은 소면적의 산림, 관목림, 정원수, 특용수 및 소규모의 모포장에서 이용한다
④포살법, 찔러죽임, 진동법, 소살법, 경운법, 유살법 등
물리적 방제법
온도처리법, 습도처리법, 방사선이용법, 고주파법 등
화학적 방제법
①화학약품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제법에 비해 적용범위가 넓고 정확하고 빠르며 이용하기 쉽다는 특징이 있다
②과다 사용시 생태계의 단순화, 해충의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 발달, 환경오염 등 여러 문제를 야기한다
생물적 방제
①천적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친환경적인 방법이다
②목적하는 해충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효과가 반영구적 또는 영구적이며 비용이 매년 필요하지 않다
임업적 방제
①밑깎기, 가지치기, 제벌, 간벌 등의 임목보육을 통해 해충이 번식하기 어려운 산림환경 조건을 조성한다
②단순림의 면적을 소규모로 하고 복층림과 혼효림을 조성한다
③이령림을 조성하거나 이단림 구조가 형성되도록 관리한다
④토양의 경운, 토성의 개량 등 임지보육을 하여 임지환경을 조정한다
⑤적당한 시비는 건전성을 높여 해충에 대한 내성을 높이지만 과다 사용할 경우 피해가 커질 수 있다
⑥내충성 수종을 육종한다
법적 방제
①식물방역법은 수출입식물과 국내식물을 검역하고 방제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다
②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내에 병해충 방제에 관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페로몬 이용법
페로몬으로 유인시켜 대량으로 유살시킨다
2.주요 산림해충
해충명
기주
발생
월동형태(장소)
특징
식
엽
성
솔나방
소나무류
1회
5령유충
(수피사이, 지피물)
-후식피해가 크다
-천적 : 송충알좀벌, 고치벌, 맵시벌
잣나무 넓적잎벌
잣나무
1회
노숙유충
(땅속)
주로 20년생 이상 밀생임분에 발생
미국흰불나방
활엽수
(가로수, 정원수)
2회
번데기
(수피사이, 지피물)
잡식성, 1화기보다 2화기 피해가 더 심함
오리나무잎벌레
오리나무
1회
성충
(지피물 밑 흙속)
-성충과 유충이 동시에 잎을 식해
-유충은 엽육만 먹어 잎이 붉게 된다
충
영
형
성
솔잎
혹파리
소나무
1회
유충
(지피물, 땅속)
-유충이 건조에 약함
-기생성 천적 : 솔잎혹파리먹좀벌, 혹파리살이먹좀벌, 혹파리등불먹좀벌, 혹파리반뿔먹좀벌
-박새 등의 포식조류가 유충낙하기에 이들을 포식한다
천
공
성
밤나무 혹벌
밤나무
1회
유충
(충영)
암컷번식단성생식
천적 : 중국긴꼬리좀벌
솔수염
하늘소
소나무류
1회
유충
(목질부 가해부위)
-암컷이 3mm의 구멍을 뚫어 1개씩 산란
-유충이 수피 안쪽의 형성층과 목질부 식해
-성충이 6mm의 구멍을 뚫고 나와 3년생 전후의 어린 가지의 수피를 갉아먹음
-소나무재선충을 매개
북방수염
하늘소
잣나무 소나무류
1회
-소나무재선충을 매개
소나무좀
소나무
1회
성충
(지면근처 수피)
먹이나무로 성충 유인
흡
즙
성
버즘나무방패벌레
버즘나무
2회
성충
(수피틈)
약충이 잎 뒷면을 흡즙
솔껍질깍지벌레
해송
1회
후약충
부화약충의 이동으로 확산됨
종
실
복숭아 명나방
밤나무
복숭아나무
2회
유충
(수피사이 고치 속)
제1회유충은 복숭아가해
제2회유충은 밤/감 가해
밤바구미
밤나무
1회
노숙유충
(땅속)
피해받은 밤은 인화늄정제로 훈증
솔알락 명나방
잣나무
1회
노숙유충(땅속)
어린유충(구과)
구과를 가해
①하늘소류의 매개에 의하여 전파되며 소나무는 솔수염하늘소, 잣나무는 북방수염하늘소가 매개한다
②소나무, 해송, 잣나무, 섬잣나무 등에서 발병하며 감염목은 수주 내에 급속히 고사한다
③생활주기는 온도 25℃의 조건에서 4~5일정도이다
④1900년 초 일본에서 최초로 병 발생이 보고되었고 현재 중국, 대만, 한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지역 뿐만 아니라 캐나다, 멕시코, 포르투갈 등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⑤외부증상만으로는 일반 고사목과 정확히 구별할 수 없어 소나무재선충의 분리, 동정을 통해서만 가능한데 고사목의 목편 내에는 형태적으로 유사한 다른 선충 종들이 검출되므로 최근에는 분자생물학적 진단기술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2.형태적 특징
암컷
수컷
체장
0.8~1.2mm
0.6~1.0mm
생식기
음문 바깥쪽에 음순이 몸의 후부 쪽으로 길게 형성
활모양 또는 망치모양의 휘어진 독특한 교접자를 가지고 있으며 교접자 끝에는 cucullus라 불리는 작은 원판모양의 돌출물이 형성되어 있다
미부
일반적으로 둥글지만 끝이 뾰족하거나 짧은 돌기를 가지는 등 다양한 변이가 존재
배쪽으로 강하게 휘어져 뽀족한 모양이며 미부의 끝에는 반투명하고 짧은 교접낭이 형성되어 있다
3.생활사 및 병환
5~7월
①솔수염하늘소가 고사목에서 우화하여 건강한 소나무의 신초를 갉아먹음
②솔수염하늘수의 체내에 있던 소나무재선충이 후식상처를 통해 침입
③수지구나 헛물관 주변의 유세포를 가해하며 단기간에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감염된 나무는 수주 내에 고사
7~8월
④솔수염하늘소가 쇠약목이나 고사목 수피에 산란흔을 만들어 산란
⑤유충이 자라 터널 끝어 번데기방을 만들고 그 안에서 번데기가 됨
⑥번데기방이 형성되면 그 주위로 소나무재선충 3기 유충들이 모여듬
이듬해 봄
⑦번데기나 성충의 기문 등을 통하여 침입
⑧몸속에 들어간 소나무재선충은 탈피를 거쳐 4기 유충이 됨
⑨같은 과정 반복
4.방제법
①이병목을 벌채하여 1~2㎥로 쌓은 후 비닐로 덮어 훈증제인 메탐소디움을 처리하고 신속히 밀봉
②아바멕틴, 에마멕틴벤조이트 등의 살선충제를 수간에 직접 주입
③이병목을 벌채한 후 소각하거나 기계를 이용하여 파쇄하는 등 매개충을 방제한다
[3]산림곤충
1.산림해충의 방제
⑴해충방제이론
①해충방제란 해충의 밀도(개체수)를 일정한 수준 이하로 조절하는 것으로 그 밀도가 사람에게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정도가 아니면 굳이 시간과 경비를 투자하여 방제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②해충밀도가 경제적 피해수준 이상일 경우 방제를 시작한다
③경제적피해수준
-해충에 의한 손실액과 방제비용이 같을 때의 해충의 밀도
-방제수단을 적용해야 할 정도의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는 해충의 개체수를 의미한다
⑵해충의 방제법
기계적 방제법
①사람의 손이나 간단한 기계, 기구를 이용하는 방법
②단시간에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저렴하다
③해충의 발견이 용이하고 발생개체수가 적으며 입목밀도가 낮은 소면적의 산림, 관목림, 정원수, 특용수 및 소규모의 모포장에서 이용한다
④포살법, 찔러죽임, 진동법, 소살법, 경운법, 유살법 등
물리적 방제법
온도처리법, 습도처리법, 방사선이용법, 고주파법 등
화학적 방제법
①화학약품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제법에 비해 적용범위가 넓고 정확하고 빠르며 이용하기 쉽다는 특징이 있다
②과다 사용시 생태계의 단순화, 해충의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 발달, 환경오염 등 여러 문제를 야기한다
생물적 방제
①천적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친환경적인 방법이다
②목적하는 해충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효과가 반영구적 또는 영구적이며 비용이 매년 필요하지 않다
임업적 방제
①밑깎기, 가지치기, 제벌, 간벌 등의 임목보육을 통해 해충이 번식하기 어려운 산림환경 조건을 조성한다
②단순림의 면적을 소규모로 하고 복층림과 혼효림을 조성한다
③이령림을 조성하거나 이단림 구조가 형성되도록 관리한다
④토양의 경운, 토성의 개량 등 임지보육을 하여 임지환경을 조정한다
⑤적당한 시비는 건전성을 높여 해충에 대한 내성을 높이지만 과다 사용할 경우 피해가 커질 수 있다
⑥내충성 수종을 육종한다
법적 방제
①식물방역법은 수출입식물과 국내식물을 검역하고 방제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다
②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내에 병해충 방제에 관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페로몬 이용법
페로몬으로 유인시켜 대량으로 유살시킨다
2.주요 산림해충
해충명
기주
발생
월동형태(장소)
특징
식
엽
성
솔나방
소나무류
1회
5령유충
(수피사이, 지피물)
-후식피해가 크다
-천적 : 송충알좀벌, 고치벌, 맵시벌
잣나무 넓적잎벌
잣나무
1회
노숙유충
(땅속)
주로 20년생 이상 밀생임분에 발생
미국흰불나방
활엽수
(가로수, 정원수)
2회
번데기
(수피사이, 지피물)
잡식성, 1화기보다 2화기 피해가 더 심함
오리나무잎벌레
오리나무
1회
성충
(지피물 밑 흙속)
-성충과 유충이 동시에 잎을 식해
-유충은 엽육만 먹어 잎이 붉게 된다
충
영
형
성
솔잎
혹파리
소나무
1회
유충
(지피물, 땅속)
-유충이 건조에 약함
-기생성 천적 : 솔잎혹파리먹좀벌, 혹파리살이먹좀벌, 혹파리등불먹좀벌, 혹파리반뿔먹좀벌
-박새 등의 포식조류가 유충낙하기에 이들을 포식한다
천
공
성
밤나무 혹벌
밤나무
1회
유충
(충영)
암컷번식단성생식
천적 : 중국긴꼬리좀벌
솔수염
하늘소
소나무류
1회
유충
(목질부 가해부위)
-암컷이 3mm의 구멍을 뚫어 1개씩 산란
-유충이 수피 안쪽의 형성층과 목질부 식해
-성충이 6mm의 구멍을 뚫고 나와 3년생 전후의 어린 가지의 수피를 갉아먹음
-소나무재선충을 매개
북방수염
하늘소
잣나무 소나무류
1회
-소나무재선충을 매개
소나무좀
소나무
1회
성충
(지면근처 수피)
먹이나무로 성충 유인
흡
즙
성
버즘나무방패벌레
버즘나무
2회
성충
(수피틈)
약충이 잎 뒷면을 흡즙
솔껍질깍지벌레
해송
1회
후약충
부화약충의 이동으로 확산됨
종
실
복숭아 명나방
밤나무
복숭아나무
2회
유충
(수피사이 고치 속)
제1회유충은 복숭아가해
제2회유충은 밤/감 가해
밤바구미
밤나무
1회
노숙유충
(땅속)
피해받은 밤은 인화늄정제로 훈증
솔알락 명나방
잣나무
1회
노숙유충(땅속)
어린유충(구과)
구과를 가해
추천자료
문화재 종류 관리 보존
5학년 과학 지시약으로 생활주변용액 성질 알아보기 지도안
생태관련 문학작품 감상문
[과외]고등 과학 전단원 해답과 풀이
농촌의 환경오염문제에 대해서
도시환경문제와 지구환경문제의 종류및 대책과 둘의 연관성
위기의 지구,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대책
[인간과 환경 시험, 인간과 환경] 인간과 환경 시험문제
[사회과학][사회과학 연구][사회과학 경향][사회과학자]사회과학의 특징, 사회과학의 기능, ...
청주대 사이버 환경과학(기말고사 족보)
환경과학 기말
[청주대] 환경과학 (사이버 기말고사 s급 족보)
환경과학 기말고사 정리 (청주대 사이버강의)
(청주대) 환경과학 기말고사 족보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