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쯔쯔가무시][tsutsugamushi]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쯔쯔가무시][tsutsugamushi]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Case study

일반적 배경 (General information)
입원시 증상
신체검진 (Physical Examination)
전반적인 상태
진단검사 : 입원시부터 현재까지 검사 결과
간호과정
**1 고체온
1. 주관적사정(subjective data)
2. 객관적사정(objective data)
3. 목표
4. 계획
5. 수행
6. 평가

**2 질병에 대한 지식결여
1. 주관적사정(subjective data)
2. 객관적사정(objective data)
3. 목표
4. 계획
5. 수행
6. 평가

참고문헌


쯔쯔가무시 (Rickettsia tsutsugamushi)
1. 정의
2. 원인
3. 임상증상
4. 치료
5. 예방

본문내용

않도록 수시로 찾아뵈어 안정감을 준다.
Evaluation
- 9월 8일, 대상자의 불안 정도를 재 사정해 보았다.
대상자는 불안 정도를 20점 정도라고 말씀하시며 아직도 완전히 가라앉지 않은
발진에 대해 불안해 하셨다.
- 대상자에게 다시 처음에 했던 것과 같은 질문을 했다.
대상자와 보호자는 쯔쯔가무시 질환의 감염경로와 증상에 대해서 잘 대답하셨으며
앞으로 등산을 할 때나 야외 활동을 할 때 조심해야 한다는 것을 인지하셨다.
(2) 질병에 대한 지식결여
참고문헌
서울대학교 병원 (1995),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성인간호학 임상실습지침서
임상병리파일. 의학문화사
진단검사의학 지침서. 가톨릭대학 성가병원 (2008)
* 유인물
쯔쯔가무시 (Rickettsia tsutsugamushi)
1. 정의
쯔쯔가무시병은 아시아의 동부, 남동 지역, 인도, 호주 북부지역과 주위 섬들에 국한되어 발생하는 병으로 병원체 (그람음성간균인 R.tsutsugamushi) 에 감염된 좀 진드기를 매개로 전염되는 감염병이다.
2. 원인주로 남태평양, 극동아시아에 즉 일본에서 파키스탄에 이르기 까지 또한 한국에서 오스트레일리아에 이르는 지역에 분포한다. 국내에서는 1986년에 국내도처에서 발생하고 있음이 규명되었고, 매년 수백명의 환자들이 발생하고 있다. 사람은 우연한 숙주로 매개충은 털진드기의 유충이다. 이 유충이 들쥐나 이 지역을 지나는 사람에게 우연히 감염되어 기생하게 되며, 이때 인체 감염이 일어나게 된다. 일생동안 한번만 동물에 기생하게 되므로, 다시 같은 매개충에 의한 감염은 없으나, 성충이 된후 산란할 때 R. tsutsugamushi는 난자로 옮겨가고, 이 난자가 유충이 된 다음 동물에 흡착하여 다시 감염시킨다. 관목숲에서 살고 있는 매개충인 진드기의 유충이 그 지역을 지나가던 사람의 피부에 우발적으로 부착하게 되면 조직액을 흡인하게 된다. 이때 R. tsutsugamushi 는 인체내로 들어가서 그 부위에서 증식하면서 구진이 생기고 이어 궤양이 된 다음에 가피가 되고 건조된다 쯔쯔가무시의 기생숙주는 집쥐이며 이외에 들쥐, 들새등의 야생설치류가 자연계 내의 보유동물이다. 쯔쯔가무시 또는 아까무시라 불리는 매개곤충은 애벌레만이 흡혈성으로 감염원이 된다. 감염되면 10-12일의 잠복기를 거치게 된다
3. 임상증상
진드기의 유충에 물린 자리에는 홍색 구진이 생긴 뒤 작은 궤양이 발생하고 이어서 흑색가피(Eschar)를 형성하게 된다. 대개는 3일에서 5일 사이에 피부발진이 배나 가슴등에서 발생하고 난 후에 얼굴과 팔다리로 번지게 되며 이때부터 고열과 오한, 아주 심한 두통, 근육통이 발생하고 목주위, 사타구니, 겨드랑이에 임파선이 커지고 통증을 수반하게 된다. 식욕 감퇴, 복통, 기침, 호흡 곤란, 청력 소실, 이명 등이 올 수 있으며 결막충혈, 인두 발적, 간비종대 등의 소견도 잘 동반된다. 심한 경우에는 혼수, 경련, 폐부종, 급성 신부전,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 급성 호흡부전 등의 치명적인 경과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환자의 발생은 주로 10월과 11월 사이에 많이 발생하며 주로 농업에 종사하고 있는 농촌 주민들과 농산물을 다루는 일에 종사하는 분들에게 많이 발생한다. 치료를 하지 않으면 열은 약 14일 가량 지속된다.진드기가 문 곳에 피부 궤양이나 특징적인 가피형성을 볼 수 있다. 기관지염, 간질성 폐렴, 심근염이 생길 수도 있으며 수막염 증세를 나타내기도 한다. 일부 환자는 가피가 없거나, 열이 나는 기간이 짧고 피부발진이 더욱 많이 나타나기도 한다.
6. 치료
항생제 치료와 대증적 치료를 해야 하며, 항생제로는 doxycycline, tetracycline 등이 사용된다.
적절한 항생제를 투여한 경우 병의 경과가 상당히 좋고, 사망이 거의 없으나, 치료를 안 한 경우에는 사망률이 0~30%이며, 주된 사인은 심부전, 순환장애, 폐렴 등이다. 대개 2주간 치료하면 재발이 없다.
7. 예방쯔쯔가무시병을 예방하기 위하여는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며, 유행지역의 관목숲이나 유행지역에 가는 것을 피해야 한다. 들쥐 등과 접촉하는 환경을 피하며, 밭에서 일할 때에는 되도록 긴 옷을 입어야 한다. 야외 활동 후 귀가시에는 옷에 묻은 먼지를 털고 목욕을 하며, 진드기에 물린 상처나 피부 발진이 있으면서 급성 발열 증상이 있으면 쯔쯔가무시증을 의심하고 서둘러 치료를 받아야 한다. 환자는 격리시킬 필요가 없으며, 개발 사용되고 있는 백신은 없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2.16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48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