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실험방법 및 보충이론
1. 실험방법
2. 보충이론
Ⅱ. 실험 결과 Data
Ⅳ. 논의 및 고찰
1. 실험방법
2. 보충이론
Ⅱ. 실험 결과 Data
Ⅳ. 논의 및 고찰
본문내용
81g이었다.
Rayleigh의 식을 통하여 계산결과 상대휘발도는 0.884가 나왔다. 이 상대휘발도를 이용하여 EtOH의 증기압을 구하니 594.75mmHg이었다. 상대휘발도로 구한 EtOH의 증기압과 이론적인 물의 증기압에서. 두 혼합용액이 이상용액이라는 가정 하에 Rault의 법칙을 이용하여 계산하여보니 두 용액의 증기압은 533.71mmHg로 나왔다.
이상용액이라면 760mmHg가 나와야 하지만, 실제 용액에서는 760mmHg보다 크거나 작게나오는 경향이 크다. EtOH와 물은 둘다 친수성으로서 서로가 서로를 붙잡고 있으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원래의 증기압보다 작게 나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실제용액이므로 이상용액의 공식인 Rault의 법칙을 이용하여도 작게 나올 수밖에 없는 듯하다. 90℃일 때 EtOH의 증기압은 구할 수 없었다. 오차율을 계산할 수 없었는데, 오차율이 컸을 듯 하다. 90℃일 때가 아니더라도 에탄올뿐만 아니라 물까지 같이 기화되어 유출액으로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30% EtOH 용액 200ml 제조시 정량을 취하지 않았을 수 도 있고, 증류하기 전 또는 유출액의 EtOH가 기화되어 날라가서 오차가 생겼을 것이다.
Rayleigh의 식을 통하여 계산결과 상대휘발도는 0.884가 나왔다. 이 상대휘발도를 이용하여 EtOH의 증기압을 구하니 594.75mmHg이었다. 상대휘발도로 구한 EtOH의 증기압과 이론적인 물의 증기압에서. 두 혼합용액이 이상용액이라는 가정 하에 Rault의 법칙을 이용하여 계산하여보니 두 용액의 증기압은 533.71mmHg로 나왔다.
이상용액이라면 760mmHg가 나와야 하지만, 실제 용액에서는 760mmHg보다 크거나 작게나오는 경향이 크다. EtOH와 물은 둘다 친수성으로서 서로가 서로를 붙잡고 있으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원래의 증기압보다 작게 나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실제용액이므로 이상용액의 공식인 Rault의 법칙을 이용하여도 작게 나올 수밖에 없는 듯하다. 90℃일 때 EtOH의 증기압은 구할 수 없었다. 오차율을 계산할 수 없었는데, 오차율이 컸을 듯 하다. 90℃일 때가 아니더라도 에탄올뿐만 아니라 물까지 같이 기화되어 유출액으로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30% EtOH 용액 200ml 제조시 정량을 취하지 않았을 수 도 있고, 증류하기 전 또는 유출액의 EtOH가 기화되어 날라가서 오차가 생겼을 것이다.
추천자료
<실험>광합성 측정 실험-결과 레포트
기계공학실험 크리프 실험결과 보고서
OLED실험결과보고서
경계층실험결과
오리피스실험결과보고소
토질실험결과
Reynolds실험결과레포트
최신 디지털 공학 실험 10판 실험결과보고서 20
[기초전자회로실험]실험결과보고서 인덕턴스직병렬회로 인덕터와 rl회로
휘트스톤 브리지 [Wheatstone bridge] 실험결과보고서
16 소신호 공통 드레인 및 공통 게이트 JFET증폭기 실험결과
[분석화학실험] 무게법 분석에 의한 염화이온[Cl-]의 정량 - 실험결과, 토의 및 고찰
유체실험 - 유동가시화 실험[Flow Visualization 실험결과]
강자성 히스테리시스 (Ferromagnetic Hyteresis) (이론, 데이터, 토의 + 사진 + 동영상, 실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