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공 기초 실험] 단증류 (Simple Distillation) [결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화공 기초 실험] 단증류 (Simple Distillation) [결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실험방법 및 보충이론
 1. 실험방법
 2. 보충이론

Ⅱ. 실험 결과 Data

Ⅳ. 논의 및 고찰

본문내용

81g이었다.
Rayleigh의 식을 통하여 계산결과 상대휘발도는 0.884가 나왔다. 이 상대휘발도를 이용하여 EtOH의 증기압을 구하니 594.75mmHg이었다. 상대휘발도로 구한 EtOH의 증기압과 이론적인 물의 증기압에서. 두 혼합용액이 이상용액이라는 가정 하에 Rault의 법칙을 이용하여 계산하여보니 두 용액의 증기압은 533.71mmHg로 나왔다.
이상용액이라면 760mmHg가 나와야 하지만, 실제 용액에서는 760mmHg보다 크거나 작게나오는 경향이 크다. EtOH와 물은 둘다 친수성으로서 서로가 서로를 붙잡고 있으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원래의 증기압보다 작게 나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실제용액이므로 이상용액의 공식인 Rault의 법칙을 이용하여도 작게 나올 수밖에 없는 듯하다. 90℃일 때 EtOH의 증기압은 구할 수 없었다. 오차율을 계산할 수 없었는데, 오차율이 컸을 듯 하다. 90℃일 때가 아니더라도 에탄올뿐만 아니라 물까지 같이 기화되어 유출액으로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30% EtOH 용액 200ml 제조시 정량을 취하지 않았을 수 도 있고, 증류하기 전 또는 유출액의 EtOH가 기화되어 날라가서 오차가 생겼을 것이다.
  • 가격1,1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4.02.17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49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