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방법
2. 실험결과
(1) 잔류액 120ml의 물과 메탄올의 비율
(2) 증발액의 초류의 밀도와 마지막 측정 밀도를 가지고 증발액 180ml안의 물과 메탄올의 비율 계산
(3) 논의 및 고찰
2. 실험결과
(1) 잔류액 120ml의 물과 메탄올의 비율
(2) 증발액의 초류의 밀도와 마지막 측정 밀도를 가지고 증발액 180ml안의 물과 메탄올의 비율 계산
(3) 논의 및 고찰
본문내용
메탄올 부피(V1) + 물 부피(V2) = 100ml
0.79g/ml * V1 + 1g/ml * V2 = 0.827g/ml * 100ml
V1 : V2 = 82.4ml : 17.6ml
∴CH3OH : H2O 의 비율 = 4.68 : 1
(3) 논의 및 고찰
이 실험의 목적은 2성분계를 시료로 하여 단증류를 행하고 단증류의 의의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번 실험에서는 메탄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증류를 했다. 증류를 시작한 후 메탄올수용액이 끊기 시작하면서 온도가 높아지고, 유출량이 많아졌다. 메탄올의 밀도는 0.79g/mL인데 유출액의 밀도는 0.827g/mL로서 0.037g/mL정도의 오차가 있었다. 오차가 일어난 이유는 세 가지로 추측된다. 먼저 증류 15분경과 이후 물과 메탄올이 함께 증류되어 플라스크에 일부의 물이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두번째는 냉각기내 고여있는 유출액의 부피를 감안하지 안아서 오차가 발생하였다. 마지막으로 증류시 메탄올 수용액의 일부가 증발했기 때문이다.
이번 단증류 실험을 통해 증류의 의미에 대해 다시 한번 확인 할 수 있는 계기가 된 것 같다. 앞으로 증류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단순 증류 장치 사용방법에 대해 잘 알 수 있었다.
0.79g/ml * V1 + 1g/ml * V2 = 0.827g/ml * 100ml
V1 : V2 = 82.4ml : 17.6ml
∴CH3OH : H2O 의 비율 = 4.68 : 1
(3) 논의 및 고찰
이 실험의 목적은 2성분계를 시료로 하여 단증류를 행하고 단증류의 의의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번 실험에서는 메탄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증류를 했다. 증류를 시작한 후 메탄올수용액이 끊기 시작하면서 온도가 높아지고, 유출량이 많아졌다. 메탄올의 밀도는 0.79g/mL인데 유출액의 밀도는 0.827g/mL로서 0.037g/mL정도의 오차가 있었다. 오차가 일어난 이유는 세 가지로 추측된다. 먼저 증류 15분경과 이후 물과 메탄올이 함께 증류되어 플라스크에 일부의 물이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두번째는 냉각기내 고여있는 유출액의 부피를 감안하지 안아서 오차가 발생하였다. 마지막으로 증류시 메탄올 수용액의 일부가 증발했기 때문이다.
이번 단증류 실험을 통해 증류의 의미에 대해 다시 한번 확인 할 수 있는 계기가 된 것 같다. 앞으로 증류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단순 증류 장치 사용방법에 대해 잘 알 수 있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