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증후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증후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2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2
2)연구기간 및 방법.................................................................................2

Ⅱ. 문헌고찰...........................................................................2
1)정의............................................................................................................2
2)원인...........................................................................................................2
3)증상...........................................................................................................3
4)진단...........................................................................................................4
5)치료 및 경과예후..................................................................................5

Ⅲ. 간호사례...................................................................6
1)건강개인사정...........................................................................................6
2)임상검사결과...........................................................................................7
3)투약약물..................................................................................................12

Ⅳ. 간호진단.................................................................12

Ⅴ. 간호계획 및 수행..................................................12

Ⅵ. 결론.........................................................................14

Ⅶ. 참고문헌.................................................................14

본문내용


RF
0~14 IU/dL
12
ASO
0~200 IU/dL
10.9
IgG
700~1600 mg/dL
<100(L)
증가: 광대한 단백질 소실,
IgA
70~400 mg/dL
121
IgM
40~230 mg/dL
196
C3
90~180 mg/dL
132.2
사궤체신장염,
화농성신장염
C4
10~40 mg/dL
36.8
VDRL정량
non-reactive
non-reactive
Lp(a)
0~30 mg/dL
>320(H)
8) Renal Bx 시행
-신장질환 환자의 진단, 치료법 선정 및 예후를 판단하기 위해 시행된다.
-검사 과정: 배 밑에 받침을 대고 엎드린 상태에서 검사를 받게 된다.
생검이 시행될 위치에 소독을 한다.
국소 마취제를 주사로 투여한다.
호흡을 멈춘다. 호흡을 멈추고 있는 동안 검사용 주사침을 이용하여 신장조직의 일부를 떼어낸다.
검사를 마친 후 검사가 이루어진 위치를 약 30분 정도 압박을 가한다.
병실로 돌아와서는 바로 누운 상태에서 24시간 안정을 취해야 하며 출혈 경향을 알기 위한 혈액 검사를 시행한다.
검사를 마친 후 최소한 2주 동안에는 무리한 운동은 삼가야 한다.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20분 내외이다.
-결과 아직 안나옴.
4. 투여약물
약물
작용
적응증
부작용
Macperan
위장관 조절제, 항팽만제, 항염증제
소화기능이상,
소화불량,
쇽, 아나필락시스, 마비, 복통, 빈뇨 등
Albumine
저알부민 혈증
출혈성 쇽
열상
신증후군
두드러기, 오한 발열, 가려움, 오심, 구토, 빈맥 등
Lasix
이뇨제,
심성부종, 간성부종
대사장애, 빈혈, 감각이상 등
Kalimate
해독제
고칼륨혈증
변비, 구토, 저칼륨혈증
Torem
이뇨제
부종
전해질불균형,
두통, 저혈압 등
Phazyme
소화제
소화불량,
식욕감퇴
복통, 설사 등
Lipitor
고지혈증치료제
cholesterol합성 억제제
고콜레스테롤 환자
소화불량, 빈뇨, 혈뇨, 고혈당증 등
Tramadol
진통, 해열제
진단 및 수술 후 통증
수면장애,
배뇨장애 등
Jeidin
제산제, 항궤양용제
마취전 투약,
상부소화관 출혈
저혈압, 빈맥,
설사 등
Ⅳ. 간호진단
<의미있는 자료>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몸이 계속 붓는 것 같아요."
"신장생검을 받는다고 주치의 선생님이 설명해주시긴 했는데,
다시 한번 더 얘기 해 주시면
안되요?."
체중이 약10kg증가되었으며, 팔과 다리가 부었음.
손가락으로 대상자 팔을 눌렀는데 그 부위에 손가락으로 누른 자국이 없어지지 않고 남아있었음(약 10~15초 정도)
신장 생검을 받는 이유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었지만, 절차에 대한 내용은 어느정도 알고는 있었지만 그것을 말로 설명하지는 못했다.
● 간호진단 ●
조직관류장애와 관련된 부종
조직검사와 관련된 지식부족
Ⅴ. 간호계획 및 수행
간호진단
#1. 부종와 관련된 조직관류장애
목표
부종이 감소하여 체중도 감소한다.
간호계획
1. 이뇨제 투여 후 약의 작용과 부작용을 관찰한다.
2. 매일 I/O와 체중을 check한다.
3. 부종 양상을 관찰하며 호흡곤란 등 이상징후를 확인한다.
4. 고단백식이의 필요성을 설명하며 이를 권장한다.
근거
1. 이뇨제 부작용으로 전해질 불균형, 감각이상, 빈혈 등의 증상이 올 수 있다.
2. 부종으로 인하여 몸무게가 약 10kg정도 증가되었다.
3. 부종이 내장기관을 압박하여 호흡곤란을 야기할 수 있다.
4. 혈청 알부민 수치가 0.8mg/dl로 정상수치인 3~4.5mg/dl에 비해 낮았다. 알부민 수치가 낮으면 면역력이 약화되어 감염에 걸리기 쉽고, 영양실조, 빈혈이 생길 수 있다.
간호중재
1. 이뇨제 투여 후 부작용이 있는 지 관찰하였다.
2. 대상자에게 섭취량을 물어보았고, 배설량은 용기에 담아서 측정하였다.
3. 아침 식전에 체중에 변화가 있는 지 측정하였다.
4. 부종으로 인한 호흡곤란 증세가 있는 지 호흡수를 측정하였다.
5. 대상자에게 알부민 수치가 낮음을 알리고, 수치가 낮음으로 인해서 생기는 면역력 약화, 감염, 영양실조 등을 설명해주고, 고단백식이를 권장하였다.
평가
체중에 변화가 없고, 혈청 알부민 수치에 변동이 없었다.
재계획
1. 이뇨제 투여 후 약의 작용과 부작용을 관찰한다.
2. I/O와 체중을 check한다.
3. 부종 양상을 관찰하며 호흡곤란 등 이상징후를 확인한다.
4. 고단백식이의 필요성을 설명하며 이를 권장한다.
5. 알부민 투여 후 작용과 부작용을 관찰한다.
중재
1. 이뇨제 투여 후 부작용이 있는 지 관찰하였다.
2. 대상자에게 섭취량을 물어보았고, 배설량은 용기에 담아서 측정하였다.
3. 아침 식전에 체중에 변화가 있는 지 측정하였다.
4. 부종으로 인한 호흡곤란 증세가 있는 지 호흡수를 측정하였다.
5. 대상자에게 알부민 수치가 낮음을 알리고, 수치가 낮음으로 인해서 생기는 면역력 약화, 감염, 영양실조 등을 설명해주고, 고단백식이를 권장하였다.
6. 알부민 투여 후 작용과 부작용이 있는지 관찰하였다.
근거
6. 알부민 투여 후 올 수 있는 부작용으로는 두드러기, 오한 발열, 가려움, 오심, 구토, 빈맥 등이 있다.
재평가
체중에는 변동이 없었지만, 알부민 수치가 0.8에서 1.4로 올랐다.
간호진단
#2. 조직검사(Renal Bx)와 관련된 지식부족
목표
대상자가 진단적 검사가 어떤 것인지 설명할 수 있다.
간호계획 및
중재
검사에 대해 설명한다.
검사의 목적과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검사의 지속시간에 대해 안내한다.
검사가 언제, 어디서 일어나게 될 지에 대해 안내한다.
검사 전/후 주의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검사방법과 검사 전/후 주의사항에 대한 서면화된 자료를 제공한다.
가족과 보호자를 교육에 참여 시킨다.
평가
대상자 본인이 자신이 받을 검사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Ⅶ. 참고문헌
-김OO님의 간호기록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현시자 외
-성인간호학(상) 수문사 이항련 외
-간호사를 위한 리뷰 북 메디시언 권보은 외
-http://www.healthkorea.net
-http://healthcare.joins.com
-http://www.medcity.com/
-NANDA의 간호진단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4.02.19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52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