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산욕부 고위험산욕부 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상산욕부 고위험산욕부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정산 산욕부 간호>
1.자궁저 높이 긴장도 측정 방법
2.자궁의 위치
3. 산후통 간호
4. 오로상태 관찰
5.회음근육 열상관찰 (절개술의 종류, 장.단점)
6.REED사정
7.회음간호
8. 방광팽만 상태 관찰, 장관상태 관찰
9. 산후떨림 간호
10. 활력증후 변화
11.혈액계 변화 확인
12.비뇨기계 변화 확인
13.산후운동
14.질회음근육운동
15.영양관리
16.모유수유 증진방법
17.일반적인 유방간호
18.유방마사지
19.유방울혈
20.유두궤양
21.함몰유두 관리

<고위험 산욕부 간호>
1. puperal infection
2. endometritis(자궁내막염)
3. Thrombophlebitis(혈전성 정맥염)
4. Cracked nipple
5. mastitis(유선염)
6. Postpartum hemorrhage(산후츨혈)

본문내용

가 올경우, 임산부나 출산이 막 이뤄졌을 경우 골반이나 다리의 정맥이 압박이 많아 지면서 일어나기도 하고 응고요소를 증가 시키는 구강 피임약이나 호르몬 대체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가족력이 있는 경우, 비만이나 과체중, 만성감염, 흡연자, 심부전증이 있을 경우 등
간호중재: 혈전 침범부위의 시진과 촉진, 말초 맥박의 촉진, 호만 징후 측정, 다리둘레의 비교와 측정, 출혈 징후 조사, 폐색전증의 징후 관찰, 흉통, 기침, 호흡곤란과 빈호흡, 악설음 관찰, PT, PPT 지속적 관찰, 침상에 안정해 있는 동안 지속적 체위변경, 의사 지시에 따라 헤파린과 와파린 투여, 하지 상승, 습열 요법 사용, 진통제, 소염제 등의 투여.
4. Cracked nipple
원인: 유륜까지 제대로 물지 못하고 유두만 빨게 되는 경우, 유두가 갈라지고 상처가 나게됨. 아기로부터의 원인은 설소 대 단축중인 아이, 혀가 짧은 아이, 젖병에 길들여진 아이인 경우에 잘 나타나고 모체 측의 원인으로서는 유두함몰, 거대유두, 편평 유두, 유방울혈이 심한 경우 그리고 유두와 유륜의 신축성이 없어서 깊은 젖 물리기가 어려운 경우에 유두균열이 잘 생긴다.
간호중재: 유두를 비누로 씻지 말고 수유 전 후 물로 깨끗이 씻는다.
수유 시 아프지 않은 쪽부터 물리고 아픈 쪽은 유두 보호기를 사용해 5분 정도로 수유시간을 제한한다. 수유 후 유두를 청결히 유지하며 공기에 노출시켜 건조시킨다. 수유 시 처음 피가 보여도 당황하지 말고 계속 수유하도록 한다.
5. mastitis(유선염)
원인: 열, 오한, 전신통증, 두통과 같은 독감 증상이 갑자기 시작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국소적 유방 통증과 긴장감, 열감이 있고 붉게 변한 유방이 나타난다. 유방염은 유방의 상외측과 한 쪽 유방에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유방울혈이나 유관막힘, 갑작스러운 수유 횟수 감소, 갑작스러운 이유, 아래쪽에 철심이 있는 브래지어 착용과 관련해 유방이 제대로 비워지지 않는 것이 가장 흔한 원인. 통증이 있거나 갈라진 유두로 인해 유방염이 될 수 있는데, 포도상 구균, 연쇄 상구균, 대장균 같은 균이 들어갈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긴장과 피로, 가족구성원의 질병, 유방손상, 불량한 영양상태 또한 유방염의 원인이 될 수 있음.
간호중재: 항생제 치료, 휴식, 수분섭취 증가, 필요시 의사 처방 없이 쓸 수 있는 진통제, 해열제 투여, 좀 더 자주 모유수유를 하도록 하고 수유 전에 유방에 더운찜질을 하도록 함.
6. Postpartum hemorrhage(산후츨혈)
산후출혈의 전통적 정의는 질식분만후 500ml이상의 출혈이 있을 때와 제왕절개우 1,000ml의 출혈이 있을 때이다. 분만을 위해 입원했을 때부터 분만 후까지의 10%의 적혈구 용적의 변화나 적혈구 수혈이 필요할 때를 산후 출혈로 정의하나 정확한 정의를 내리기는 쉽지 않다. 전통적으로 분만시점을 중심으로 해서 산후출혈을 초기와 후기로 분류한다.
초기요인: 태아만출 후 24시간 이내 500cc 이상의 출혈
후기요인: 분만 24시간 이후 발생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2.19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53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