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분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고위험 분만의 종류
<난산>

<만출력이상의 간호과정>

<산도 이상>

본문내용

어나지 않는다.
-비정상적인 선진부나 태향이 많다.
-질강 분만시 연조직 손상을 입기 쉽다.
-산후출혈 및 감염의 위험이 높다.
-태아 외상을 입기 쉽다.
-제대탈출이 되기 쉽다.
③협골반시 분만 진행에 영향을 주는 요소
-협소의 정도
-태아의 크기
-수축의 강약
-태세, 태위 및 태향
-아두주형 가능의 정도
-부동고정위의 정도
④협골반시 분만기전
-여성형 골반 : 모든 골반 직경이 짧아 산도의 입구로부터 저항을 받고 아두주형 심하게 됨
-편평 골반 : 골반입구의 전후경이 짧아 분만1,2기 초의 지연, 좌골극이나 그 이하에서 횡 경정지(transverse arrest)가 일어나기 쉬움.
-남성형 골반 : 골반 입구의 앞쪽은 쐐기 모양, 뒤쪽은 편평 : 후방두정위로 하강해 분만 하기 쉬움.
⑤진단
-난산, 사산, 신생아 사망 등의 경력 알아봄.
-내진시 심한 골반상의 긴장력이 있는지 알아봄
-천골이 넓고 잘 굽어져 있는가를 확인
-천골갑의 돌출정도를 확인
-좌골극이 튀어나오지 않고 완만한가를 확인
-치골궁으로 두 손가락이 쉽게 들어가는지 확인
-DeLee Hillis maneuver : 임신 37주경 아두를 골반으로 밀어 넣어 보아 진입되는가를 봄
-임신 37주 이후 X선 골반계측법 이용
-초음파 촬영
⑥관리
-협골반, 아두골반 불균형시 : 시도분만
(trial of labor : 태아의 선진부나 태향에 이상이 없고 골반의 크기가 협골반을 겨우 벗어 난 상태일 때 질강분만을 시도해 보는 것)
-제왕절개를 해야 할 때:
·협골반으로 제왕절개를 받았던 산부,
·난산, 사산의 경력이 있는 산부
·심한 협골반이나 골반기형인 산부,
·아두골반 불균형의 의심이 있고 둔위일 경우
·조기 파수후 분만의 진행이 없을 때,
·고령의 초산부
·전신적 질환이 동반된 산부,
·골반 입구는 충분하나 출구 협소가 있을 때
·6-8시간 내에 분만이 진행되지 않을 시,
·아두골반 불균형이 확실시
(2)연조직 이상
①원인 : 해부학적 이상, 종양, 과거 분만시 입은 손상, 경관의 원추조직절제술을 한 경우
②필요시 제왕절개, 회음절개
4) 산부의 심리 이상
①분만의 기간과 특성에 영향을 줌
②간호중재 : 산부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환경 조성
: 산부의 두려움이나 관심사를 합께 이야기
: 탈진과 탈수를 막기 위하여 휴식과 수액공급
5) 산부의 자세 이상
①분만기전에 영향을 줌
②산부의 움직임 억제, 자세 고정은 분만을 지연시킴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1.10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65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