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르도 하우스(렘쿨하스)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르도 하우스(렘쿨하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2
1. 과제의 배경 및 목적 2
2. 과제의 범위 및 방법 2

Ⅱ. 건축공간에서의 해체 2
1. 해체이론의 발생 배경 2
가. 용어의 정리 2
나. 구조주의와 탈구조주의 2
다. 러시아의 구성주의 3
2. 건축에서의 해체 4

Ⅲ. Rem Koolhaas 4
1. Rem Koolhaas의 성장 4
가. 약력 4
나. 수상 경력 5
다. 성장 5
2. S,M,L,XL 6
3. OMA의 Partners 7
4. 건축적 성격 9
5. 작품들(OMA 포함) 10

Ⅳ. 작품 분석 16
1. MAISON À BORDEAUX 16
가. MAISON À BORDEAUX가 지어지게 된 계기. 16
나. MAISON À BORDEAUX의 구성 17
다. 도면 18

Ⅴ. 결과 및 결론 20
1. Ram Koolhaas의 실내 공간 분석 결과 20
2. Ram Koolhaas에 대한 결론 20

본문내용

있던 중 남편은 자동차 사고를 당했습니다. 구사일생으로 살아났지만 휠체어에 의지해서 살아야 했습니다. 이제 그들의 새로운 집은 감옥처럼 되어버린 옛 집과 중세도시로부터 남편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야 하는 집이어야 했습니다. 그는 건축가에게 집이 곧 그의 세계를 이루기 때문에 단순한 집을 원하지 않고 아주 복잡한 집을 원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보르도 시내가 파노라마처럼 펼쳐 보이는 산을 샀습니다.
나. MAISON A BORDEAUX의 구성
Ⅲ-2-가. 에서 언급한 내용을 바탕으로 Rem Koolhaas 집을 3개집으로 나누어 설계를 합니다. 가장 낮은 집은 동굴처럼 언덕을 파내어 지하공간과 떠 있는 레이어를 만들었고, 이 공간은 콘크리트 박스의 형태가 있는 곳으로 가족들의 친밀한 생활을 위함과 부엌과 식당이 있는 공간 입니다. 가장 높은 최상층의 레이어는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어서 하나는 부부를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아이들을 위한 공간으로 가족의 privacy를 가질 수 있으며 다소 어둡지만 친밀한 공간입니다. 이 두 레이어 사이의 공간이 가장 중요한 핵심적인 공간으로 이 두 레이어 사이에서 거의 보이지 않는, 존재 하지 않는 공간입니다. 유리로 둘러싸인 방의 반은 안이고 반은 밖이며, 위쪽의 유리가 열리도록 설계 되어 건축적 공간 구성을 가지지 않아 공간이 마치 파노라마처럼 보이고, 주변 상황이 이 공간을 규정하게 됩니다. 가장 중요한 레이어를 건축 장식으로 설계하지 않은 점이 가장 중요한 관건입니다. 이 집에는 3개의 레이어를 관통하는 구멍이 있고 이 구멍을 유리로 된 책장이 관통하고 있습니다. 엘리베이터를 설치 함으로 3×3.5m의 플랫폼이 자신의 방이 되도록 하고 이 방이 집 전체를 관통 하면서 뒤에 있는 책들까지 손이 가게 만들었습니다.
<그림 Ⅳ-1 구멍과 엘리베이터> <그림 Ⅳ-2 책장>
이렇듯 지하층부터 최상층인 2층까지 플랫폼은 마치 차원을 이동하듯 공간을 관통하고 있습니다. 장애를 가진 건축주가 외부와의 접촉을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공간인 1층을 최대한 외부로 개방된 공간을 만들었고 많은 시간을 집에서 보내야 하는 건축주를 위해 각각의 층들은 서로 다른 분위기를 갖고, 이러한 공간들은 건축주의 수직이동으로 하나의 공간으로 묶이게 됩니다.
이 주택의 공간에서 보여 지는 위상기하적 공간의 일 대 일, 연속 그리고 그 역도 연속인 사상(寫像)에 대하여도 불변인 성질
인 변화는 가벼운 1층이 아닌 무거운 2층이 얹어짐으로 인해 시각적 무중력 상태가 연출 된다는 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2층의 유리로 분리된 사이의 중앙으로 1층의 연속된 외부의 공간이 삽입되면서 외부에서는 2층의 밴드로 묶여진 외피로서 하나의 공간으로 읽혀지지만 사실은 분리된 공간이 존재함으로 인해 내외부의 공간이 모호해지는 위상기하변화 특성으로 분석되어 집니다.
<그림 Ⅳ-3 시각적 무중력 효과와 밴드로 묶여진 외피로 하나의 공간으로 읽혀지는 2층>
MAISON A BORDEAUX가 지니는 또 하나의 재밌는 구성은 Rem Koolhaas가 기하학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최상층의 Privacy가 용구되는 공간에 원형의 창을 생성해 시각적 운동감을 형성 시키는 점입니다. 이 프레임들은 이동의 동선과 시간에 따라 그 형성을 달리 하며 움직이고 있습니다. 더구나 이러한 구성은 성인의 시야, 장애인의 시야, 아동의 시야 등 그 높이를 모두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에서 반사효과의 특성으로는 3층의 아동용 침실과 1층을 연결하는 계단실을 크롬제의 원통으로 처리해 최대한 비물질화 시킴으로서 내부로부터 시선을 가로 막지 않게 하였고, 커튼 등의 선택도 광택재료를 선택하여 의미를 부여 하였습니다.
다. 도면
<그림 Ⅳ-4 CAD 도면>
<그림 Ⅳ-5 Blueprint>
Ⅴ. 결과 및 결론
1. Ram Koolhaas의 실내 공간 분석 결과
Ram Koolhaas의 다이어그램은 시각적이거나 측면적인 재현이 아니라 제도로서의 재현, 문화와 지역, 지형의 해석에 의한 건축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위상기하변화는 내외부가 모호하게 느껴지는 듯한 공간의 삽입과 공간의 시각적 무중력화로 상황을 전개하는 법, 그리고 형태적 변형의 방법을 사용 합니다.
기하학의 변형 삽입 방법으로는 주로 기둥열과 구조의 조형적 구성, 원형의 불규칙한 배열 방법들로의 움직임, 리듬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레이어의 중첩 기법으로는 공간 내 Box in Box의 개념을 적용 하면서 투명, 반투명, 불투명, 커튼, 철망 등의 재료들의 다양한 조합으로 레이어의 중첩을 수직적으로 만들어 내며, 공간의 내외부에서 시각적 움직임을 확산 시키고 있습니다. 그리고 주름이 있는 불투명한 재료와 투명도의 변화가 있는 레이어를 접목시키면서 공간 내 움직임도 만들어 냅니다.
투명 반투명 기법으로는 한 Project내에서도 다양한 유리들을 중첩 시키거나 단독으로 사용하면서 공간을 순환시키기도 하고계속적인 변화를 주기도 합니다.
반사효과로는 레이어적 표현으로 다양한 재료의 커튼을 적극적으로 사용합니다. 그 재료는 반투명 실리콘 재질, 철망, 광택제, 메탈 등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공간 내 시선을 가로 막지 않도록 반사가 되는 거울이나, 크롬, 알루미늄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시선을 분산, 혹장, 모호하게 만들면서 공간 내 움직임을 만듭니다.
2. Ram Koolhaas에 대한 결론
Ram Koolhaas의 작품에 있어서는 사용자, 환경, 대지조건, 동선의 흐름, 지역성, 역사성, 문화적 기능의 다이어그램의 방법으로 공간화 하였습니다. 이런 다이어그램 특성은 Project의 특성에 따라 방법이 달라지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Ram Koolhaas는 프로그램이 가지는 전통적인 의미와 형태의 관계를 거부하기 위해 프로그램 자체를 해체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해체된 프로그램은 중첩에 의해 새로운 관계가 만들어지고, 이에 따라 또 다른 의미가 획득 되면서 관계를 재설정 하게 합니다. 이처럼 Ram Koolhaas의 다이어그램 방식은 시각적이거나 형식적인 측면의 재현이 아닌 제도로서의 재현, 문화와 지역, 지형 해석의 건축이라 할 수 있습니다.
  • 가격6,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4.02.21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57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