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폐쇄성 폐질환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2. 억제성 폐질환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3. 폐렴(pneumonia)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4. 폐결핵(Tuberculosis ; 결핵)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5. 폐농양(lung abscess)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6.늑막염 pleurisy(pleuritis)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7.늑막삼출(흉막삼출) pleural effusion
(1) 정의
(2) 병태생리 및 원인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8.기관지 천식 bronchial asthma
(1) 정의
(2) 병태생리 및 원인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9.기흉 pneumothorax
(1) 정의
(2) 병태생리 및 원인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
10. 혈흉 hemothorax
(1) 정의
(2) 병태생리 및 원인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11.무기폐 atelectasis
(1) 정의
(2) 병태생리 및 원인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12.기관지 확장증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13.호흡부전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14.폐색전증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15.폐고혈압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폐암(Lung Cancer)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2. 억제성 폐질환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3. 폐렴(pneumonia)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4. 폐결핵(Tuberculosis ; 결핵)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5. 폐농양(lung abscess)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6.늑막염 pleurisy(pleuritis)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7.늑막삼출(흉막삼출) pleural effusion
(1) 정의
(2) 병태생리 및 원인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8.기관지 천식 bronchial asthma
(1) 정의
(2) 병태생리 및 원인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9.기흉 pneumothorax
(1) 정의
(2) 병태생리 및 원인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
10. 혈흉 hemothorax
(1) 정의
(2) 병태생리 및 원인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11.무기폐 atelectasis
(1) 정의
(2) 병태생리 및 원인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12.기관지 확장증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13.호흡부전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14.폐색전증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15.폐고혈압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폐암(Lung Cancer)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및 중재
(6) 예후
본문내용
자주 사용되지는 않지만, 만약 보존치료가 더 이상 효과적이지 않다면 시행될 수 있다. 감염된 엽 또는 분절의 절제술은 폐렴, 객혈, 합병증이 반복적으로 재발하는 환자에게 필요하다. 수술은 광범위하게 침습이 퍼져 있을 때는 바람직하지 않다. 가장 효과적인 치료 요법에도 불구하고 장애가 남게 되는 환자에게는 폐이식이 선택된다.
(5)간호 및 중재
하부 기도 감염의 조기 발견과 치료는 기관지 확장증과 같은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물질이나 폐쇄성 병소는 즉시 제거한다.
중요한 간호 목표는 배액을 촉진시키고 기관지 점액을 제거하는 것이다. 다양한 기도 청결법은 분비물제거를 촉진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도리 수 있다. 환자는 효율적인 심호흡 운동과 효과적으로 기침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체액배액을 포함한 흉부 물리요법은 폐의 감염된 부분에 시행되어야 한다. 배액을 촉진하기 위하여 침대에서 발을 4~6인치 정도 높이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체액배액의 자세를취하는 것을 돕기 위햐여 병원과 집에서 베개가 사용될 수 있다. 진동하는 점액 청결 장치는 숨을 내쉬는 동안 기도에 진동을 제공한다.
(6)예후
처방된 약물의 투약은 중요하다. 최대 효과를 얻기 위하여 환자는 처방된 약물 섭취의 중요성을 이해 할 필요가 있다. 환자는 의사에게 보고해야 할 부작용이나 악영향을 알아야 한다. 휴식은 과로를 예방하는 데 중요하다. 오한과 과도한 피로는 피한다. 좋은 영양 섭취는 중요하나, 환자가 가끔 식욕부진이 있는 경우 좋은 섭취의 유지가 어려울 수 있다. 호홉기계의 직접적 수분 공급 또한 기래 배출에 유익하므로 가정에서 증기 샤워를 통해 기래의 배출을 용이 하게 하므로 질병을 관리한다.
13.호흡부전
(1)정의
호흡부전이란 광범위하고 비특이적인 임상진단으로 호흡기가 신진대사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지 못하거나 이산화탄소를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급성호흡부전은 동맥혈 산소분압(PaO₂)이 50mmHg 이하이거나 동맥혈이산화탄소분압(PaCO₂)이 50mmHg 이상으로 정의된다.
(2)병태생리
저산소혈증성 호흡부전의 병태생리를 살며보면, 저산소혈증은 ①환기/관류 비율의 불균형②션트(shunt)③확산 장애④저환기로 야기된다. 병태생리 중 환기/관류 비율의 불균형에 대해 알아보면, ①환기/관류 비율의 불균형은 폐포와 모세혈관간의 산소 혹산을 적절하게 할 수 있는 폐포환기량과 폐관류량간의 비율이 부적적하여 저산소혈증을 초래하는 것을 위미하며, 기도 내 분비물 증가, 통증은 흉벽의 운동을 저하시켜 저환기를 유도하며 교감신경계 활성으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인 근육 수축, 혈관수축 및 산소 소모의 증가, 이산화탄소 생산 증가를 가져온다.
(3)임상증상
공통된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초조, 착란, 지남력 상실, 빈맥, 고혈압, 발한, 청색증, 호흡보조근육의 이용 등이 있다. 간호사는 환자의 호흡 횟수와 양상의 변화, 폐음의 변화, 저산소증과 과탄산증의 증산과 징후, 산소포화량의 감소 등에 대해 사정한다. 산화 상태를 적절하게 사정하기 위해서는 동맥혈 가스분석이 필요하다.
(4)치료
치료의 목적은 저산소증과 호흡성 산증을 교정하며, 원인질환을 확인하여 치료를 하는 것이다. 산송됴벅으로 SaO₂를 90% 이상, 동맥혈 산소분압 60mmHg 이상으로 유지한다. 만약 산소공급으로 동맥혈 산소압력이 적정수준을 유지하지 못하면 기계적 환기를 해야 한다. 산증 치료로 폐포환기를 증가시키거나 중탄산염을 투여한다.
(5)간호 및 중재
간호사는 환자가 호흡하기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호흡곤란과 관련된 불안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완술, 유도 심상법(guided imagery), 기분 전환법과 같은 간호를 제공한다. 최소한의 자가간호를 시행하고 불필요한 시술을 하지 않는 등 에너지 보존방법을 시행한다. 기관지를 개방하고 가스교환을 촉진하기 위해 약물은 전신적으로 또는 흡입기를 통해 투여한다. 환자는 흡입기와 약물 사용, 심호흡과 다른 호흡운동 방법을 익혀야 하다.
(6)예후
호흡부전중 급성 호흡부전의 예후는 원인 질환과 관련이 있다. 약물 과량에 의한 경우는 예후가 좋으나 패혈증(septicemia)과 관련된 경우는 예후가 극히 불량하다.
14.폐색전증
(1)정의
폐색전증은 혈전, 종양세포, 공기, 지방 등이 전신 정맥순환에 유입되어 폐현관을 폐쇄하는 것이다. 폐쇄된 폐혈관의 크기에 따라 치명적인 상태가 될 수 있다.
(2)병태생리
대부분의 폐색전증은 심부혈전증(deep vein thrombosis)의 혈괴가 골반(pelvis)이나 하지에서 떨어져나와 대정맥과 우심방을 거쳐 폐동맥의 작은 혈관을 폐쇄한다. 폐동맥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폐쇄되면 환기(ventilation)가 정상을 유지할지라도 혈류가 감소되거나 정지되어 관류장애가 오므로 환기-관류 불균형을 초래한다. 큰 혈관이 폐쇄되면 폐혈관 저항이 증가되고, 폐동맥압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폐혈류를 유지하기 위해 우심실의 작용이 증가하게 되어 결국 우심부전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심박출량은 감소되고 수축기 혈압이 떨어지며 쇼크가 발생괴도 심한 경우 사망한다.
(3)임상증상
페색전증의 증상은 폐쇄된 폐동맥 부위와 혈관 크기에 따라 다르다. 폐색전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호흡곤란과 빈호흡이다. 그 외 실신, 빈맥, 발한, 저혈압, 청색증, 늑막통, 기침, 객혈을 보인다. 또한 미열, 가슴과 액와 피부의 점상출혈, 오심, 구토, 전신 권태감 등이 있으며 동맥혈 산소포화도가 저하된다.
(4)치료
폐색전증 치료는 e주로 약물요법을 포함한 비수술 요법을 시행하나 필요시 수술하게 된다.
①비수술적 요법
*산소요법
산소요법(oxygen therapy)에게 중요하다. 심한 저산소혈증 환자는 기계적 환기가 필요하며 ABGA주의깊게 사정해야한다.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비강 캐뉼러나 마스크로 산소를 투여한다.
*약물요법
항응고요법(Anticoagulation therapy) 색전이 커지는 것을 막고 새로운 혈괴 형성을 예방하기 위해 항응고제를 처방한다. 출혈, 뇌졸중, 위장관 질환, 수술 후, 분만 후, 최근의 외상 등이 있으면 금기
(5)간호 및 중재
하부 기도 감염의 조기 발견과 치료는 기관지 확장증과 같은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물질이나 폐쇄성 병소는 즉시 제거한다.
중요한 간호 목표는 배액을 촉진시키고 기관지 점액을 제거하는 것이다. 다양한 기도 청결법은 분비물제거를 촉진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도리 수 있다. 환자는 효율적인 심호흡 운동과 효과적으로 기침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체액배액을 포함한 흉부 물리요법은 폐의 감염된 부분에 시행되어야 한다. 배액을 촉진하기 위하여 침대에서 발을 4~6인치 정도 높이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체액배액의 자세를취하는 것을 돕기 위햐여 병원과 집에서 베개가 사용될 수 있다. 진동하는 점액 청결 장치는 숨을 내쉬는 동안 기도에 진동을 제공한다.
(6)예후
처방된 약물의 투약은 중요하다. 최대 효과를 얻기 위하여 환자는 처방된 약물 섭취의 중요성을 이해 할 필요가 있다. 환자는 의사에게 보고해야 할 부작용이나 악영향을 알아야 한다. 휴식은 과로를 예방하는 데 중요하다. 오한과 과도한 피로는 피한다. 좋은 영양 섭취는 중요하나, 환자가 가끔 식욕부진이 있는 경우 좋은 섭취의 유지가 어려울 수 있다. 호홉기계의 직접적 수분 공급 또한 기래 배출에 유익하므로 가정에서 증기 샤워를 통해 기래의 배출을 용이 하게 하므로 질병을 관리한다.
13.호흡부전
(1)정의
호흡부전이란 광범위하고 비특이적인 임상진단으로 호흡기가 신진대사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지 못하거나 이산화탄소를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급성호흡부전은 동맥혈 산소분압(PaO₂)이 50mmHg 이하이거나 동맥혈이산화탄소분압(PaCO₂)이 50mmHg 이상으로 정의된다.
(2)병태생리
저산소혈증성 호흡부전의 병태생리를 살며보면, 저산소혈증은 ①환기/관류 비율의 불균형②션트(shunt)③확산 장애④저환기로 야기된다. 병태생리 중 환기/관류 비율의 불균형에 대해 알아보면, ①환기/관류 비율의 불균형은 폐포와 모세혈관간의 산소 혹산을 적절하게 할 수 있는 폐포환기량과 폐관류량간의 비율이 부적적하여 저산소혈증을 초래하는 것을 위미하며, 기도 내 분비물 증가, 통증은 흉벽의 운동을 저하시켜 저환기를 유도하며 교감신경계 활성으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인 근육 수축, 혈관수축 및 산소 소모의 증가, 이산화탄소 생산 증가를 가져온다.
(3)임상증상
공통된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초조, 착란, 지남력 상실, 빈맥, 고혈압, 발한, 청색증, 호흡보조근육의 이용 등이 있다. 간호사는 환자의 호흡 횟수와 양상의 변화, 폐음의 변화, 저산소증과 과탄산증의 증산과 징후, 산소포화량의 감소 등에 대해 사정한다. 산화 상태를 적절하게 사정하기 위해서는 동맥혈 가스분석이 필요하다.
(4)치료
치료의 목적은 저산소증과 호흡성 산증을 교정하며, 원인질환을 확인하여 치료를 하는 것이다. 산송됴벅으로 SaO₂를 90% 이상, 동맥혈 산소분압 60mmHg 이상으로 유지한다. 만약 산소공급으로 동맥혈 산소압력이 적정수준을 유지하지 못하면 기계적 환기를 해야 한다. 산증 치료로 폐포환기를 증가시키거나 중탄산염을 투여한다.
(5)간호 및 중재
간호사는 환자가 호흡하기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호흡곤란과 관련된 불안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완술, 유도 심상법(guided imagery), 기분 전환법과 같은 간호를 제공한다. 최소한의 자가간호를 시행하고 불필요한 시술을 하지 않는 등 에너지 보존방법을 시행한다. 기관지를 개방하고 가스교환을 촉진하기 위해 약물은 전신적으로 또는 흡입기를 통해 투여한다. 환자는 흡입기와 약물 사용, 심호흡과 다른 호흡운동 방법을 익혀야 하다.
(6)예후
호흡부전중 급성 호흡부전의 예후는 원인 질환과 관련이 있다. 약물 과량에 의한 경우는 예후가 좋으나 패혈증(septicemia)과 관련된 경우는 예후가 극히 불량하다.
14.폐색전증
(1)정의
폐색전증은 혈전, 종양세포, 공기, 지방 등이 전신 정맥순환에 유입되어 폐현관을 폐쇄하는 것이다. 폐쇄된 폐혈관의 크기에 따라 치명적인 상태가 될 수 있다.
(2)병태생리
대부분의 폐색전증은 심부혈전증(deep vein thrombosis)의 혈괴가 골반(pelvis)이나 하지에서 떨어져나와 대정맥과 우심방을 거쳐 폐동맥의 작은 혈관을 폐쇄한다. 폐동맥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폐쇄되면 환기(ventilation)가 정상을 유지할지라도 혈류가 감소되거나 정지되어 관류장애가 오므로 환기-관류 불균형을 초래한다. 큰 혈관이 폐쇄되면 폐혈관 저항이 증가되고, 폐동맥압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폐혈류를 유지하기 위해 우심실의 작용이 증가하게 되어 결국 우심부전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심박출량은 감소되고 수축기 혈압이 떨어지며 쇼크가 발생괴도 심한 경우 사망한다.
(3)임상증상
페색전증의 증상은 폐쇄된 폐동맥 부위와 혈관 크기에 따라 다르다. 폐색전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호흡곤란과 빈호흡이다. 그 외 실신, 빈맥, 발한, 저혈압, 청색증, 늑막통, 기침, 객혈을 보인다. 또한 미열, 가슴과 액와 피부의 점상출혈, 오심, 구토, 전신 권태감 등이 있으며 동맥혈 산소포화도가 저하된다.
(4)치료
폐색전증 치료는 e주로 약물요법을 포함한 비수술 요법을 시행하나 필요시 수술하게 된다.
①비수술적 요법
*산소요법
산소요법(oxygen therapy)에게 중요하다. 심한 저산소혈증 환자는 기계적 환기가 필요하며 ABGA주의깊게 사정해야한다.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비강 캐뉼러나 마스크로 산소를 투여한다.
*약물요법
항응고요법(Anticoagulation therapy) 색전이 커지는 것을 막고 새로운 혈괴 형성을 예방하기 위해 항응고제를 처방한다. 출혈, 뇌졸중, 위장관 질환, 수술 후, 분만 후, 최근의 외상 등이 있으면 금기
추천자료
우리몸에서 호흡기의 중요성과 호흡기 질환의 발생과 식이관리를 제시하여라.
[식사요법]호흡기 질환의 발생현황과 원인, 치료 및 영양관리 방법
호흡기 기관의 특징과 관련 질환
식사요법 - 호흡기 질환의 발생 현황과 치료 영양관리
우리나라 호흡기 질환의 종류 및 발생현황과 예방법 및 영양관리에 대하여
호흡기(호흡기관, 호흡계통) 구조, 호흡기(호흡기관, 호흡계통) 질환, 호흡기(호흡기관, 호흡...
[신체검진방법, 체력, 아동, 흉곽과 폐, 유방암, 신장이식]체력의 신체검진방법, 아동의 신체...
[물리치료] 만성 폐쇄성 호흡기 질환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간호과정,간호진단
[아동건강교육] <영유아 질병> 영유아의 흔한 질병 - 호흡기 질환, 소화기 질환, 구강 질환 ...
만병통치 가정요법 (소화기 질환, 운동기 질환, 순환기 질환, 호흡기 질환, 생식기 질환, 부...
[호흡기 질환] 호흡기계의 구조와 생리, 호흡기 질환(호흡기계 질환)과 영양의 관계, 호흡기 ...
호흡 재활 [구조와 기능, 병태생리, 호흡기 질환, 간호사정, 재활간호중재]
[간호학] 호흡기 질환 및 치료 (아동기 호흡기 질환의 특징 상기도문제 및 세기관지염을 포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