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목차
1. 교육과정 운영
2. 교육과정 평가
3.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실제
2. 교육과정 평가
3.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실제
본문내용
교육과정의 운영과 평가
1. 교육과정 운영
1. 교육과정 운영의 개념
╋━━━━━━━━━━─────────
○ 교육과정 운영의 개념
개발된 교육과정을 학교와 교실에서 실천하는 과정
~ 교사가 실제로 수업을 전개하는 활동
○ 교육과정 운영은 단위학교에서 실천되는 활동
-> 교사와 학교장의 역할이 중요
* 교사 : 개발자 의도파악
재해석
실천
* 학교장 : 교육과정 수행 지원
1. 교육과정 운영의 개념
╋━━━━━━━━━━─────────
■ 교육과정 운영의 시행과 실행
○ 시행(implement)
교육법으로 고시되는 것을 행동으로 옮기는 수준을 의미
-> 교사의 역할 : 수동적, 소극적
○ 실행(enactment)
자발적 행위를 통하여 무엇을 만들어 가는 과정을 의미
-> 교사의 역할 : 주체적, 능동적
2. 교육과정 운영의 원리
╋━━━━━━━━━━─────────
* 운영 원리
적법성
타당성 현실성
민주성
전문성 전체성
≪ … 중 략 … ≫
2. 교육과정 평가
1.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
○ 교육과정평가 = 교육과정(대상) + 평가
- 교육과정 문서,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 운영, 교육과정 성과 등
• 특정 교육과정의 장점, 가치, 중요성에 관하여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판단하는 활동
• 국가 수준, 지방교육청 수준, 단위학교 수준에서 교육목표, 내용, 방법을
규정하고 있는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평가하는 교육평가 활동
1.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 정의방식의 차이〕⇒〔평가 대상 / 준거 / 평가방법의 차이〕
✔ 교과과정으로서 문서화된 교육과정 차원
✔ 교육현장에서 실제로 실천되는 교육과정 차원
✔ 학생이 경험하고 성취한 교육과정 차원
포괄적인 관점에서 교육과정평가를 설계, 실천할 필요성이 있음
1. 교육과정 운영
1. 교육과정 운영의 개념
╋━━━━━━━━━━─────────
○ 교육과정 운영의 개념
개발된 교육과정을 학교와 교실에서 실천하는 과정
~ 교사가 실제로 수업을 전개하는 활동
○ 교육과정 운영은 단위학교에서 실천되는 활동
-> 교사와 학교장의 역할이 중요
* 교사 : 개발자 의도파악
재해석
실천
* 학교장 : 교육과정 수행 지원
1. 교육과정 운영의 개념
╋━━━━━━━━━━─────────
■ 교육과정 운영의 시행과 실행
○ 시행(implement)
교육법으로 고시되는 것을 행동으로 옮기는 수준을 의미
-> 교사의 역할 : 수동적, 소극적
○ 실행(enactment)
자발적 행위를 통하여 무엇을 만들어 가는 과정을 의미
-> 교사의 역할 : 주체적, 능동적
2. 교육과정 운영의 원리
╋━━━━━━━━━━─────────
* 운영 원리
적법성
타당성 현실성
민주성
전문성 전체성
≪ … 중 략 … ≫
2. 교육과정 평가
1.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
○ 교육과정평가 = 교육과정(대상) + 평가
- 교육과정 문서,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 운영, 교육과정 성과 등
• 특정 교육과정의 장점, 가치, 중요성에 관하여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판단하는 활동
• 국가 수준, 지방교육청 수준, 단위학교 수준에서 교육목표, 내용, 방법을
규정하고 있는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평가하는 교육평가 활동
1.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 정의방식의 차이〕⇒〔평가 대상 / 준거 / 평가방법의 차이〕
✔ 교과과정으로서 문서화된 교육과정 차원
✔ 교육현장에서 실제로 실천되는 교육과정 차원
✔ 학생이 경험하고 성취한 교육과정 차원
포괄적인 관점에서 교육과정평가를 설계, 실천할 필요성이 있음
키워드
추천자료
[통합교육과정]통합교육과정의 필요성과 기능, 통합교육과정의 목표, 통합교육과정의 발전, ...
중학교(중등) 교육과정 기본구조, 중학교(중등)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과 편제, 중학교(중등)...
[초등교육과정]초등학교 아동의 특성, 초등학교의 역사,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특징, 초등학교...
초등학교의 교육특성, 초등학교의 시간배당, 초등학교의 수준별교육과정 운영, 초등학교의 수...
초등학교 6학년의 성장발달특징과 교육목표, 초등학교 6학년의 교육과정 편성운영과 시간배당...
[특수학교교육과정]특수학교교육과정의 목표와 방향, 특수학교교육과정의 개정과 추구하는 인...
단계형 수준별수업(교육과정, 학습) 의미와 취지, 단계형 수준별수업(교육과정, 학습) 지침과...
[영재교육과정][영재교육]영재의 정의, 영재의 판별, 영재교육과정의 의의, 영재교육과정의 ...
제7차교육과정의 성격, 제7차교육과정의 특징, 제7차교육과정의 개정 배경과 개정 중점, 제7...
[잠재적 교육과정]교육과정의 정의, 교육과정의 구성방침, 잠재적 교육과정의 정의, 잠재적 ...
학문중심교육과정의 개념, 학문중심교육과정의 특성, 학문중심교육과정의 등장배경, 학문중심...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방침과 운영방침,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적용대상...
우리나라 교육과정 운영 정책과 중등교육 활성화 간의 관련성
방통대 : 교직실무 C형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계획에 대해 논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