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의 이해(2) - 수필론, 희곡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학의 이해(2) - 수필론, 희곡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수필론
1. 수필의 개념 및 장르의 설정
2. 수필의 어원
3. 수필의 특성
4. 수필의 종류

II. 희곡론
1. 희곡의 본질
2. 희곡의 요소
3. 희곡의 종류 - 비극, 희극, 희비극
4. 희곡의 삼일치론(trois units)

본문내용

감.
2) 희곡의 언어
① 무대지시문(지문): 무대 위의 상황설명을 하거나 지시하는 글.
② 대화(dialogue): 희곡의 본질적인 언어이며, 둘 이상이 주고받는 극중의 모든 대사.
㉠ 성격을 나타내고 플롯을 진행시켜야 한다. - 주인공의 대화와 다른 인물에 대한 설명은 바로 등장인물의 성격이나 심리를 표현.
㉡ 자연스러운 대화이어야 한다. - 희곡의 대화는 철저하게 자연스러운 구어체이어야 한다.
㉢ 간략하고 집중화된 대화이어야 한다. - 길이에 제한이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함.
③ 독백(monologue): 무대 위에서 한 사람의 인물이 혼자 말하는 대사.
- 독백은 의도적인 것으로, 감정이나 미래에 대한 암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④ 방백: 화자가 상대역에는 들리지 않는다고 설정하고 말하는 대사.
3) 희곡의 인물
① 소설의 인물보다 집중화되고 압축된 인물, 전형적인 인물, 개성적인 인물
② 희곡의 성격제시방법: 희곡의 경우에는 극중인물의 대화와 행동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 소설에서의 성격제시방법은 극적(사건으로 전달하는) 방법과 분석적(작가가 개입해서 전달하는) 방법이 있다.
※ 허드슨이 <문학연구서설>에서 말한 희곡의 성격묘사방법
① 플롯에 의한 성격묘사는 행동하고 있는 인물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성격 중 뚜렷한 점밖에 표현할 수 없으므로 인물이 뚜렷하고 단순하지 않으면 안 된다.
② 대화는 대체로 말하는 사람의 성격과 행동을 드러내는데, 그것들이 자연스럽게 나타나야 한다.
③ 주인공의 대화가 아니라 다른 인물의 언급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극중 인물의 성격을 표현할 수도 있다.
④ 등장인물의 유형
㉠ 돈키호테형: 세르반테스의 소설 <돈키호테>. 흔히 희극의 인간형이며 외향적 성격을 지닌 인물.
㉡ 햄릿형: 셰익스피어의 희곡 <햄릿>. 비극에 적당한 인간형으로 내향적 성격을 지닌 인물.
3. 희곡의 종류 - 비극, 희극, 희비극
1) 비극(tragedty)
① 비극의 정의와 字義
㉠ 비극에 관한 정의는 매우 다양하다.
※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비극은 엄숙하고 일정한 길이가 있어야 하며 묶어 놓은 어떤 행동을 모방하는 묘사라고 했다. 비극의 효과는 공포와 연민에 의해 이와 비슷한 감정의 정화(카타르시스)를 불러일으키는 데 있는 것이다.
㉡ 비극의 정의: 독일어 trauerspiel을 우리말로 옮긴 것. - trauer(悲) + spiel(劇) = 슬픈 극
- 오늘날 비극의 뜻으로 쓰이는 tragedy의 어원은 그리스어 tragoidia에서 유래.
② 비극과 운명
㉠ 그리스 고전비극의 경우: 주인공과 신과의 갈등을 묘사. -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 근대 고적 비극: 인간의 천성적 성격의 결함에 의한 패배를 묘사.(인간의 내면) - 셰익스피어 극의 대부분.
㉢ 자연주의 근대극: 등장인물과 사회와의 갈등을 묘사. - 입센의 <인형의 집>
③ 비극의 효과
㉠ 연민(pity): 일반적으로 비극 속에서 주인공이 겪게 되는 불행한 일에 대해서 관객이 갖는 불쌍히 여기는 마음.
- 타인에 대한 감정
㉡ 공포(fear): 관객보다 뛰어난 인물들이라고 할 수 있는 비극의 주인공이 겪는 비극적 사건들이 바로 관객들에게도 일어날 수 있다는 두려움으로 생기는 것. - 자신에 대한 감정
※ 연민과 공포는 함께 묶어서 생각해야 하며, 비극의 효과인 감정의 정화를 불러일으키는 결정적 요소.
㉢ 카타르시스(catharsis): 정화(purification)의 의미와 배설(purgation)의 의미를 지님.
※ 비극이 연민과 공포를 정화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의 감정에 의하여 독특한 감정의 정화를 일으킨다는 사실에 의해야 함.
④ 비극의 특질
㉠ 비극은 주동인물이 운명이나 성격, 상황 등에 부딪쳐서 투쟁하다가 좌절되는 내용의 연극이므로 진지하고 장중하고 고양된 인생의 여러 상황을 나타내는 것.
㉡ 비극의 주인공은 선을 대표하고 반동인물과의 갈등은 선악 간의 갈등으로 표현된다. 비극의 주인공이란 선인으로서 비극적 결함을 지닌 인물인 것.
㉢ 비극의 동기는 바로 이 비극적 결함에서 비롯됨. 비극적 결함이란 비극에서 주인공을 파멸로 이끄는 주인공의 결점을 의미. (예: 햄릿의 우유부단한 성격)
㉣ 비극의 결말은 주인공의 파멸. (예: 오이디푸스, 오셀로) - 비극적인 것과 슬픈 것은 구분되어야 함.
2) 희극(comedy)
① 희극의 정의와 字義
㉠ 정의(사전적 정의): “희극은 경쾌하고 재미있고 때로는 풍자적인 인물이 주로 행복한 결말을 맺는 일상생활을 상연하는 무대극이다.”
㉡ 字義: 오늘날 희극이란 뜻으로 쓰이는 comedy의 어원은 그리스어 comoidia에서 유래.
② 유머(humor): 중세 및 르네상스시대의 생리학 용어로써 정답고 긍정적인 형태의 희극성.
③ 위트(wit): 모순과 해결에 의한 순간적인 전환으로 우스꽝스러운 효과를 나타내는 표현법. - 일종의 골계(滑稽)
④ 희극의 종류
㉠ 소극(笑劇; farce): 해학을 기발하게 표현하여 사람을 웃길 목적으로 지은 비속한 연극. 저속한 코미디(low comedy)
※ 과장된 표현, 엉터리 소동, 개그(gag), 슬랩스틱(slapstick), 우연성, 황당무계함 등이 특징이며 줄거리도 좌충우돌식의 비속한 연극.
㉡ 코미디아 델라르테(comedia dell’arte): 16세기 초에서 18세기 초까지 성행한 이탈리아 민간의 직업배우들에 의한 즉흥 희극.
※ 배우들은 가면을 쓰고 줄거리를 적은 것, 또는 미리 의논한 줄거리에 따라 즉흥적 기지나 우스꽝스러운 몸짓으로 연기하고, 다소의 대사는 즉석에서 주고받기도 함. 유럽의 전체 연극에서 꽤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
㉢ 풍속희극(comedy of manners): 몰리에르로부터 시작되어 영국의 17세기 후반기, 즉 왕정복고시대에 성행된 희극.
※ 당시상류사회(사치하고 음란하던 왕정복고기의 귀족사회)의 풍습을 묘사, 당시의 젊은 남녀들의 연애에 나타나는 표층을 분석하여 풍자와 위트가 풍부한 대화를 가진 희극.
㉣ 최루희극(comedia larmoyante): 눈물희극. 풍속희극이 남긴 건조하고 두드러진 웃음에 대한 반동으로 출현한 희극.
※ 고전비극과 희극의 어느
  • 가격1,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4.02.25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61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