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동의 신체검진 절차와 정상 소견 및 이상 징후
1. 신체사정 절차
2. 신체사정
- 일반적인 측정
- 활력징후
- 전반적인 외모
- 피부
- 눈
- 여아생식기
- 남아 생식기
- 등과 직장
- 사지
- 신경 근육계
1. 신체사정 절차
2. 신체사정
- 일반적인 측정
- 활력징후
- 전반적인 외모
- 피부
- 눈
- 여아생식기
- 남아 생식기
- 등과 직장
- 사지
- 신경 근육계
본문내용
아동의 신체검진 절차와 정상 소견 및 이상 징후
신체사정 절차
╋━━━━━━━━━━─────────
▇ 정상실내 온도와 비자극적인 검사환경을 제공
▇ 검사기구 미리 점검, 쉽게 이용 가능하게 준비
▇ 열 손실 방지 위해 검진 부위만 노출
▇ 머리에서 발가락까지 진행
▇ 영아 스트레스 최소화 위해 검사 빠르게 진행
▇ 검사 중 영아를 편안하게 해줌
신 체 사 정
일반적인 측정
╋━━━━━━━━━━─────────
1) 일반적 소견
▇ 머리둘레 : 33~33.5cm(13~14인치)
→가슴둘레보다 약2~3cm큼
▇ 가슴둘레 : 30.5~33cm(12~13인치)
▇ 두정・둔부길이 : 31~35cm(12.2~13.8인치)
→대략 머리 둘레와 같음
▇ 머리-발꿈치길이 : 48~53(19~21인치)
▇ 출생체중 : 2700~4000g(6~91b)
2) 일반적 변이/심각하지 않은 이상
▇ 머리둘레 : 생 후 주형은 머리둘레 변화
▇ 가슴둘레 : 머리둘레와 출생 직 후 1~2일간 같을 수 있음
▇ 출생체중 : 첫 주 출생체중의 10%가 소실, 10~14일 동안 다시 증가
3) 잠재적 곤란징후/심각한 이상
▇ 머리둘레 : <10 백분위수 or >90백분위수
▇ 출생 시 체중 : <10백분위수 or >90백분위수
활 력 징 후
╋━━━━━━━━━━─────────
1) 일반적 소견
▇ 액와체온 : 36.5~37.6 ℃
▇ 심첨 맥박 수 : 120~140회/분
▇ 호흡수 : 30~60회/분
▇ 전동혈압계 : 팔&장딴지 65/41 mmHg
2) 일반적 변이/심각하지 않은 이상
▇ 제1반응기(6-8시간)에 심박동수는 분당 180회까지 갈 수 있음
▇ 제1반응기 (6-8시간)에 호흡수는 분당 80회까지 갈 수 있음
▇ 울음으로 인해 각 활력징후의 약간의 변화가 있을 수 있음
3) 잠재적 곤란징후/심각한 이상
▇ 고/저체온증
▇ 빈맥/서맥
▇ 빈호흡/무호흡
▇ 하지수축기압이 상지보다6~9mmHg 정도 낮음(대동맥 축삭 징후)
신체사정 절차
╋━━━━━━━━━━─────────
▇ 정상실내 온도와 비자극적인 검사환경을 제공
▇ 검사기구 미리 점검, 쉽게 이용 가능하게 준비
▇ 열 손실 방지 위해 검진 부위만 노출
▇ 머리에서 발가락까지 진행
▇ 영아 스트레스 최소화 위해 검사 빠르게 진행
▇ 검사 중 영아를 편안하게 해줌
신 체 사 정
일반적인 측정
╋━━━━━━━━━━─────────
1) 일반적 소견
▇ 머리둘레 : 33~33.5cm(13~14인치)
→가슴둘레보다 약2~3cm큼
▇ 가슴둘레 : 30.5~33cm(12~13인치)
▇ 두정・둔부길이 : 31~35cm(12.2~13.8인치)
→대략 머리 둘레와 같음
▇ 머리-발꿈치길이 : 48~53(19~21인치)
▇ 출생체중 : 2700~4000g(6~91b)
2) 일반적 변이/심각하지 않은 이상
▇ 머리둘레 : 생 후 주형은 머리둘레 변화
▇ 가슴둘레 : 머리둘레와 출생 직 후 1~2일간 같을 수 있음
▇ 출생체중 : 첫 주 출생체중의 10%가 소실, 10~14일 동안 다시 증가
3) 잠재적 곤란징후/심각한 이상
▇ 머리둘레 : <10 백분위수 or >90백분위수
▇ 출생 시 체중 : <10백분위수 or >90백분위수
활 력 징 후
╋━━━━━━━━━━─────────
1) 일반적 소견
▇ 액와체온 : 36.5~37.6 ℃
▇ 심첨 맥박 수 : 120~140회/분
▇ 호흡수 : 30~60회/분
▇ 전동혈압계 : 팔&장딴지 65/41 mmHg
2) 일반적 변이/심각하지 않은 이상
▇ 제1반응기(6-8시간)에 심박동수는 분당 180회까지 갈 수 있음
▇ 제1반응기 (6-8시간)에 호흡수는 분당 80회까지 갈 수 있음
▇ 울음으로 인해 각 활력징후의 약간의 변화가 있을 수 있음
3) 잠재적 곤란징후/심각한 이상
▇ 고/저체온증
▇ 빈맥/서맥
▇ 빈호흡/무호흡
▇ 하지수축기압이 상지보다6~9mmHg 정도 낮음(대동맥 축삭 징후)
추천자료
[간호학]아동간호학
아동간호학 급성기관지염 케이스
아동간호학 소아병동 Pneumonia case
아동간호학 폐렴
아동간호학 실습 신생아 중환자실 NICU 케이스
아동간호학-조별과제(수정)
아동간호학) 신생아중환자실 NICU 미숙아 case 케이스
아동간호학 간호진단 (위장관 염증과 관련된 설사, 소변량 감소로 구토, 설사와 관련된 체액...
아동간호학 TTN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케이스 간호과정
PED 소아과 입원아동 간호사례연구 수족구병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아동간호학
아동간호학 case study - 당뇨 어머니의 신생아
아동간호학 황달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 뇌수막염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