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NHN(네이버) 기업 및 제품소개-네이버라인
2. 네이버라인(LINE) 선정 동기 / 시장 현황
Ⅱ 본론
1. 거시적 환경분석 - 문화적측면
2. 미시적 환경분석
1) 소비자 분석
① 일본 스마트폰 이용자 수
② 성별 및 연령대
③ 일본 스마트폰 시장 성장 추이
④ PC/모바일 앱 이용시 조작성과 이용 편의성 측면에서 모바일웹 사이트를 선호
3. NHN 네이버 라인(LINE)의 일본 현지화 마케팅 전략
1) 100개 이상의 앱을 조사
2) 무료 통화, 무료 문자 서비스
3) 모바일 이모티콘 스탬프
4) ‘라인팝, 포코팡’ 등 다양한 게임(Game) 출시
5) 캐릭터 상품
6) 컴퓨터 연동 서비스
7) 한국 브랜드를 숨기고 일본 시장 침투
8) 더 많은 기능
9) 그 외 다양한 기능들
Ⅲ 결론 및 시사점
Ⅳ 참고문헌
1. NHN(네이버) 기업 및 제품소개-네이버라인
2. 네이버라인(LINE) 선정 동기 / 시장 현황
Ⅱ 본론
1. 거시적 환경분석 - 문화적측면
2. 미시적 환경분석
1) 소비자 분석
① 일본 스마트폰 이용자 수
② 성별 및 연령대
③ 일본 스마트폰 시장 성장 추이
④ PC/모바일 앱 이용시 조작성과 이용 편의성 측면에서 모바일웹 사이트를 선호
3. NHN 네이버 라인(LINE)의 일본 현지화 마케팅 전략
1) 100개 이상의 앱을 조사
2) 무료 통화, 무료 문자 서비스
3) 모바일 이모티콘 스탬프
4) ‘라인팝, 포코팡’ 등 다양한 게임(Game) 출시
5) 캐릭터 상품
6) 컴퓨터 연동 서비스
7) 한국 브랜드를 숨기고 일본 시장 침투
8) 더 많은 기능
9) 그 외 다양한 기능들
Ⅲ 결론 및 시사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소비자들을 통해 창출된다는 점은 분명 기업의 수익구조 다변화라는 점에서 큰 위협적 요인이 되겠다. 단일시장에서의 시장지배력은 언젠가 한계치에 도달할 것이기에 일본이 아닌 신규 해외 시장 개척에 더욱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 기업의 매출 규모 및 서비스 수요층을 늘리고, 지속적으로 일본 시장에서 시장점유율 1위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현재의 고객층이 이탈하지 않도록 노력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일본 소비자는 네이버 라인의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하는 서비스라는 점에 높은 가치를 두고 있다. 따라서 더 좋은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서비스 이용자들의 무료 사용이라는 인식을 벗어나지 않는 외부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 및 계약을 통한 수익 창출이 더욱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한국의 카카오톡의 경우 외부 광고를 통한 매출이 전체 매출에 있어 상당히 높다는 점과 결속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써의 활용도가 높다는 점을 참고해 수익 창출원의 다변화에 대한 접근법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일본의 전체 휴대전화 가입자 수는 2013년 현재 약 1억 3천만 명으로 이 중 52.8%인 약 6천 9백만 명이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어 이러한 추세를 통해 2016년 말에는 일본 내 전체 휴대전화 가입자의 60%이상이 스마트폰 가입자로 구성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 결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 시장의 규모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수요가 증가하는 시장 규모 및 가변화 되는 시장상황에 맞추어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업체들은 다양한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즉, 경쟁사들의 경쟁은 치열해지고 서비스 제공 범위의 확장을 통해 단순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서 벗어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및 소셜 네트워크 게임(social network game)까지 그 서비스 제공범위를 다양화 해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흐름속에 네이버 라인은 무료 통화 앱의 선구자였던 스카이프(skype)가 전 세계 약 7억명이란 사용자를 보유하였음에도 전 세계 소비자를 대상으로 획일적인 인터페이스와 익숙한 사람이 아니면 사용하기 어려운 사용법으로 많은 사용자를 떠나 보냈던 사례를 명심해야 할 것이다. 라인은 “LINE@” 기업용 계좌를 활용해 일본의 10~20대 이용자들에게 긴급한 정보를 발신하며 이것을 일본 총리관저에서도 이용했을 만큼 앞으로도 철저하게 그 나라속에 들어가 그 나라의 환경에 맞게 라인이 가진 핵심가치를 차별적으로 제공한다면 앞으로도 일본 시장은 물론이고 전 세계 소비자들로 하여금 많은 관심과 기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네이버 라인 블로그 http://line.naver.jp/ko/
카와구치 모리노스케 (2009) 『문화가 제품이 되는 나라 일본을 말한다』, 김상태 역, 비즈니스맵
성미나(2012), 문화콘텐츠산업 시스템 사례연구 :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위원회를 중심으로
Eric Pfanner, “A Japanese Social App Contacts New Shores”, the New York Times, 2013-09-05
http://www.nytimes.com/2013/09/06/technology/a-japanese-social-app-contacts-new-shores.html?pagewanted=1&_r=0
김나리,“해외서 더 유명한 ‘라인’, 29개월새 매출 무려…”, 디지털 타임즈 2013-11-07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3110802010151789002
강지연, “네이버 '라인', 내년 일본 증시 상장…1조엔 조달한다”한국경제 2013-10-25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3102515566
원요한, “잘나가던 카카오톡 `벤처 위기`에 빠져”, mk뉴스 2013-11-12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1120414
김효진, “네이버 라인, 미국·터키 등 다양한 국가서 가입자 늘어”한국경제 2013-11-07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311079469g
코트라 후쿠오카 무역관 총무성(2012년판 정보통신백서)
홍순재(2013), 카카오톡과 네이버라인을 통한 한일 양국의 소셜네트워크 환경 비교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해외콘텐츠시장 동향조사
일본지식정보센터(2013), LINE이 일본에서 인기 있는 이유
네이버 “라인” 블로그 (일본)
http://lineblog.naver.jp/
KOTRA글로벌윈도우 해외시장정보
http://www.globalwindow.org/gw/overmarket/GWOMAL020M.html?ARTICLE_ID=5006235&BBS_ID=10
일본 충무성
동양증권 리서치센터
[일본에게 일본을 묻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apanshops&logNo=90164313683
이데일리 뉴스(2013.11.7)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E41&DCD=A00504&newsid=03168486603003424
서울신문(2013.07.28)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30728800074
ZDNet Korea(2012.08.17)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20817113918
(뉴시스 2013. 10. 05)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31004_0012409129&cID=10402&pID=10400
모바일 메신저 LINE 공식 홈페이지
http://line.naver.jp/ko/
네이버 '라인' 글로벌 가입자 3억명 돌파 초읽기
http://news1.kr/articles/1419734
또한 일본 소비자는 네이버 라인의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하는 서비스라는 점에 높은 가치를 두고 있다. 따라서 더 좋은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서비스 이용자들의 무료 사용이라는 인식을 벗어나지 않는 외부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 및 계약을 통한 수익 창출이 더욱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한국의 카카오톡의 경우 외부 광고를 통한 매출이 전체 매출에 있어 상당히 높다는 점과 결속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써의 활용도가 높다는 점을 참고해 수익 창출원의 다변화에 대한 접근법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일본의 전체 휴대전화 가입자 수는 2013년 현재 약 1억 3천만 명으로 이 중 52.8%인 약 6천 9백만 명이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어 이러한 추세를 통해 2016년 말에는 일본 내 전체 휴대전화 가입자의 60%이상이 스마트폰 가입자로 구성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 결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 시장의 규모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수요가 증가하는 시장 규모 및 가변화 되는 시장상황에 맞추어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업체들은 다양한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즉, 경쟁사들의 경쟁은 치열해지고 서비스 제공 범위의 확장을 통해 단순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서 벗어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및 소셜 네트워크 게임(social network game)까지 그 서비스 제공범위를 다양화 해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흐름속에 네이버 라인은 무료 통화 앱의 선구자였던 스카이프(skype)가 전 세계 약 7억명이란 사용자를 보유하였음에도 전 세계 소비자를 대상으로 획일적인 인터페이스와 익숙한 사람이 아니면 사용하기 어려운 사용법으로 많은 사용자를 떠나 보냈던 사례를 명심해야 할 것이다. 라인은 “LINE@” 기업용 계좌를 활용해 일본의 10~20대 이용자들에게 긴급한 정보를 발신하며 이것을 일본 총리관저에서도 이용했을 만큼 앞으로도 철저하게 그 나라속에 들어가 그 나라의 환경에 맞게 라인이 가진 핵심가치를 차별적으로 제공한다면 앞으로도 일본 시장은 물론이고 전 세계 소비자들로 하여금 많은 관심과 기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네이버 라인 블로그 http://line.naver.jp/ko/
카와구치 모리노스케 (2009) 『문화가 제품이 되는 나라 일본을 말한다』, 김상태 역, 비즈니스맵
성미나(2012), 문화콘텐츠산업 시스템 사례연구 :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위원회를 중심으로
Eric Pfanner, “A Japanese Social App Contacts New Shores”, the New York Times, 2013-09-05
http://www.nytimes.com/2013/09/06/technology/a-japanese-social-app-contacts-new-shores.html?pagewanted=1&_r=0
김나리,“해외서 더 유명한 ‘라인’, 29개월새 매출 무려…”, 디지털 타임즈 2013-11-07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3110802010151789002
강지연, “네이버 '라인', 내년 일본 증시 상장…1조엔 조달한다”한국경제 2013-10-25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3102515566
원요한, “잘나가던 카카오톡 `벤처 위기`에 빠져”, mk뉴스 2013-11-12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1120414
김효진, “네이버 라인, 미국·터키 등 다양한 국가서 가입자 늘어”한국경제 2013-11-07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311079469g
코트라 후쿠오카 무역관 총무성(2012년판 정보통신백서)
홍순재(2013), 카카오톡과 네이버라인을 통한 한일 양국의 소셜네트워크 환경 비교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해외콘텐츠시장 동향조사
일본지식정보센터(2013), LINE이 일본에서 인기 있는 이유
네이버 “라인” 블로그 (일본)
http://lineblog.naver.jp/
KOTRA글로벌윈도우 해외시장정보
http://www.globalwindow.org/gw/overmarket/GWOMAL020M.html?ARTICLE_ID=5006235&BBS_ID=10
일본 충무성
동양증권 리서치센터
[일본에게 일본을 묻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apanshops&logNo=90164313683
이데일리 뉴스(2013.11.7)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E41&DCD=A00504&newsid=03168486603003424
서울신문(2013.07.28)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30728800074
ZDNet Korea(2012.08.17)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20817113918
(뉴시스 2013. 10. 05)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31004_0012409129&cID=10402&pID=10400
모바일 메신저 LINE 공식 홈페이지
http://line.naver.jp/ko/
네이버 '라인' 글로벌 가입자 3억명 돌파 초읽기
http://news1.kr/articles/1419734
추천자료
카카오톡 마케팅사례분석과 새로운 마케팅전략제안 및 나의견해
소셜커머스,티몬,티켓몬스터,쿠팡,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
(A+평가 레포트)SNS의 정의, 특성, 유형, 발전과정, 이용현황
블로그마케팅,블로그마케팅성공사례,블로그마케팅발전방향,블러그마케팅,블러그마케팅성공사례
프렌치카페 카페믹스 마케팅전략 - 남양유업 프렌치카페 카페믹스 마케팅사례분석과 프렌치카...
LG생활건강 마케팅전략 분석과 LG생활건강 기업경영분석 및 LG생활건강 새로운 마케팅전략제...
[디지털 경제 보고서] 페이스북 (Facebook) (시장의 규모, 성장 전망, SNS, 기업 분석, 수익 ...
벅스뮤직(BUGS) 마케팅사례분석과 벅스 경쟁사(멜론) 비교분석및 벅스뮤직 새로운도약위한 마...
락앤락 중국진출 마케팅 전략분석과 마케팅조사분석및 락앤락 새로운 마케팅전략 제안 - 4P전...
마케팅성공, 기업성공사례- LOCK & LOCK(락앤락)’의 중국시장 성공 사례 분석, 4P, SWOT,...
대선과 매스미디어-매스 미디어가 대선에 미치는 영향,대선의 특찮 매스컴,대선과 언론,방송...
카페베네(Caffe Bene) vs 스타벅스(Starbucks)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 스타벅스 vs 카페베네 ...
마케팅PR - 유니클로, 유니클로의 성공적인 MPR 사례 ( 유니클로 소개, 마케팅 배경, MPR 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