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아 기록한다.
4. 예상결론 및 Pspice Simulation
(1) 다이오드의 순·역방향 바이어스
순방향 바이어스역방향 바이어스
순방향 바이어스일 때 다이오드의 저항: = = 2.0103K
역방향 바이어스일 때 다이오드의 저항: = = 585.191K
▶ 순방향에 비해 역방향 바이어스일 때 다이오드의 저항이 매우 크게 계산 되었다.
실제로 멀티미터로 다이오드의 저항을 측정할 때 위와 비슷한 값이 나와야 할 것이다.
(2) 전압-전류 특성
▶ 순방향 바이어스일 때 전류와 전압의 변화
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이 0~0.8V가 되도록 입력전압을 가변하면서 그 때의 전류변화를 살펴본다.
▶ 역방향 바이어스 일 때 전압과 전류의 변화
(3) 클리퍼
▶ 파라미터 기능을 이용하여 입력전원의 첨두치를 5~10V 까지 1V씩 변화시켜보았다.
출력단의 변화를 보니 값이 증가하다가 약6V에서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최대 출력전압은 5.9V정도라고 할 수 있겠고 클리퍼회로는 신호를 적당한 레벨로 잘라서 노이즈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4) 리미터
▶ 입력전원의 첨두치를 1.2~3.8V 까지 0.6V씩 변화시켰다.
출력단의 정현파의 모습이 입력전원이 1.8V(약2V)이후일 때부터 일그러지는 것을 미세하게나마 확인할 수 있다. 리미터회로는 입력파형의 상하를 어느정도 레벨에서 잘라내어 진폭을 조절하여, 신호를 최대치와 최소치 사이에서 전달할 때 사용된다. 입력전원이 설정범위 내에 있을 때는 선형출력이 되지만 입력전원이 설정범위를 넘어가면 출력이 설정 값을 넘지 않도록 제한하게 된다.
4. 예상결론 및 Pspice Simulation
(1) 다이오드의 순·역방향 바이어스
순방향 바이어스역방향 바이어스
순방향 바이어스일 때 다이오드의 저항: = = 2.0103K
역방향 바이어스일 때 다이오드의 저항: = = 585.191K
▶ 순방향에 비해 역방향 바이어스일 때 다이오드의 저항이 매우 크게 계산 되었다.
실제로 멀티미터로 다이오드의 저항을 측정할 때 위와 비슷한 값이 나와야 할 것이다.
(2) 전압-전류 특성
▶ 순방향 바이어스일 때 전류와 전압의 변화
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이 0~0.8V가 되도록 입력전압을 가변하면서 그 때의 전류변화를 살펴본다.
▶ 역방향 바이어스 일 때 전압과 전류의 변화
(3) 클리퍼
▶ 파라미터 기능을 이용하여 입력전원의 첨두치를 5~10V 까지 1V씩 변화시켜보았다.
출력단의 변화를 보니 값이 증가하다가 약6V에서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최대 출력전압은 5.9V정도라고 할 수 있겠고 클리퍼회로는 신호를 적당한 레벨로 잘라서 노이즈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4) 리미터
▶ 입력전원의 첨두치를 1.2~3.8V 까지 0.6V씩 변화시켰다.
출력단의 정현파의 모습이 입력전원이 1.8V(약2V)이후일 때부터 일그러지는 것을 미세하게나마 확인할 수 있다. 리미터회로는 입력파형의 상하를 어느정도 레벨에서 잘라내어 진폭을 조절하여, 신호를 최대치와 최소치 사이에서 전달할 때 사용된다. 입력전원이 설정범위 내에 있을 때는 선형출력이 되지만 입력전원이 설정범위를 넘어가면 출력이 설정 값을 넘지 않도록 제한하게 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