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turn off 되고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open 회로에서 출력은 입력전압 를 그대로 따라간다.
입력이 음의 전압일 때 다이오드는 순 바이어스가 돼서 turn on 되고 전류가 흐른다. 전압의 극성을 고려해서 출력은 - 만큼의 전압으로 클리핑된다.
KVL에 의해 - - = 0
= - > --- 다이오드 ON , < - , = -
= - < --- 다이오드 OFF , > - , =
종합적으로 클리퍼는 신호의 일정한 레벨 위나 아래를 잘라내어 파형을 정형하는 회로임을 알 수 있다.
(3) 클램퍼
▶ 위 시뮬레이션에서 처음 양의 전압 주기동안은 캐패시터에 전하가 충전되있지 않고 다이오드가 역 바이어스여서 출력이 입력을 그대로 따라가는 모습이다. 입력이 음의 전압일 때 1/4주기에서 크기가 문턱전압 보다 클 때 다이오드는 순 바이어스가 돼서 turn on되고 순간적으로 캐패시터에 와 같은 크기를 유지하며 10V(의 첨두치 ) - 까지 충전된다. ( 에서 R = 0인 셈이므로) 음의 전압에서 감소하던 입력이 1/4주기를 넘어서면 증가하게 되므로 이때 다이오드는 역 바이어스가 되어 turn off 된다. 다이오드가 open 되면서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는 부하저항을 통해 방전을 시작한다. 하지만 클램핑을 위해 부하저항 과 C 값이 매우 커야한다. 그러면 시상수가 매우 커지고 방전속도가 매우 느려져서 캐패시터는 10V - 만큼의 크기를 가지는 일종의 직류 전원처럼 동작하게 된다.
KVL을 적용하면 - - + = 0 , = + ( : 10V - )이고,
출력은 입력에 만큼의 직류 성분이 더해진 파형을 나타내게 된다.
▶ 입력이 양의 전압일 때 1/4주기에서 크키가 문턱전압 보다 클 때 다이오드는 순 바이어스가 돼서 turn on 되고 순간적으로 캐패시터는 10V(의 첨두치 ) - 까지 충전된다. 양의 전압에서 증가하던 입력이 1/4주기를 넘어서면 감소하게 되므로 이때 다이오드는 역바이어스가 되어 turn off된다. 다이오드가 open 되면서 캐패시터는 시상수가 매우 크므로 10V - 만큼의 직류 전원처럼 동작한다.
KVL을 적용하면 - + + = 0 , = - ( : 10V - )이고,
출력은 입력이 의 직류 성분만큼 아래로 내려간 파형을 나타내게 된다.
종합적으로 클램퍼는 다이오드와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파형의 형태는 변화시키지 않고 직류레벨을 이동시켜 어떠한 레벨에 고정하는 회로임을 알 수 있다.
open 회로에서 출력은 입력전압 를 그대로 따라간다.
입력이 음의 전압일 때 다이오드는 순 바이어스가 돼서 turn on 되고 전류가 흐른다. 전압의 극성을 고려해서 출력은 - 만큼의 전압으로 클리핑된다.
KVL에 의해 - - = 0
= - > --- 다이오드 ON , < - , = -
= - < --- 다이오드 OFF , > - , =
종합적으로 클리퍼는 신호의 일정한 레벨 위나 아래를 잘라내어 파형을 정형하는 회로임을 알 수 있다.
(3) 클램퍼
▶ 위 시뮬레이션에서 처음 양의 전압 주기동안은 캐패시터에 전하가 충전되있지 않고 다이오드가 역 바이어스여서 출력이 입력을 그대로 따라가는 모습이다. 입력이 음의 전압일 때 1/4주기에서 크기가 문턱전압 보다 클 때 다이오드는 순 바이어스가 돼서 turn on되고 순간적으로 캐패시터에 와 같은 크기를 유지하며 10V(의 첨두치 ) - 까지 충전된다. ( 에서 R = 0인 셈이므로) 음의 전압에서 감소하던 입력이 1/4주기를 넘어서면 증가하게 되므로 이때 다이오드는 역 바이어스가 되어 turn off 된다. 다이오드가 open 되면서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는 부하저항을 통해 방전을 시작한다. 하지만 클램핑을 위해 부하저항 과 C 값이 매우 커야한다. 그러면 시상수가 매우 커지고 방전속도가 매우 느려져서 캐패시터는 10V - 만큼의 크기를 가지는 일종의 직류 전원처럼 동작하게 된다.
KVL을 적용하면 - - + = 0 , = + ( : 10V - )이고,
출력은 입력에 만큼의 직류 성분이 더해진 파형을 나타내게 된다.
▶ 입력이 양의 전압일 때 1/4주기에서 크키가 문턱전압 보다 클 때 다이오드는 순 바이어스가 돼서 turn on 되고 순간적으로 캐패시터는 10V(의 첨두치 ) - 까지 충전된다. 양의 전압에서 증가하던 입력이 1/4주기를 넘어서면 감소하게 되므로 이때 다이오드는 역바이어스가 되어 turn off된다. 다이오드가 open 되면서 캐패시터는 시상수가 매우 크므로 10V - 만큼의 직류 전원처럼 동작한다.
KVL을 적용하면 - + + = 0 , = - ( : 10V - )이고,
출력은 입력이 의 직류 성분만큼 아래로 내려간 파형을 나타내게 된다.
종합적으로 클램퍼는 다이오드와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파형의 형태는 변화시키지 않고 직류레벨을 이동시켜 어떠한 레벨에 고정하는 회로임을 알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