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회로
2. 실험결과
3. 결론 및 토의
2. 실험결과
3. 결론 및 토의
본문내용
매우 크면 캐패시터는 방전을 하지 않고 직류 전압원처럼 보이게 된다. 따라서 출력은 - 즉, -2까지 내려가게 된다. 클램퍼회로를 구현할 때 캐패시터와 부하저항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해야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시상수 =RC가 작으면 캐패시터가 직류전압원처럼 동작하지 못하고 방전해버리기 때문이다.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면서 두 개의 채널을 나타낼 때 Volt/div 값을 일치시키고 수직 값을 맞춰서 보면 입력과 출력을 정확하게 비교하여 볼 수 있다는 것도 유의하여야한다. 그리고 오실로스코프로 출력파형을 확인하면서 파형은 Pspice 시뮬레이션처럼 예상대로 나왔지만 값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았다. 오실로스코프나 파형발생기의 내부저항이나 작은 전력 손실이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도선이나 breadboard등의 작은 요인들도 있었을 것이다.
이번 실험을 통해 어떤 입력을 주었을 때 출력으로 원하는 신호레벨을 정할 수 있는 클리퍼나 클램퍼에 대해 배웠다. 다이오드, 저항, 바이어스 전원의 배치에 따라 각각 다른 레벨을 제한할 수 있다. 실험에서 구성했던 회로들 말고도 소자를 다르게 구성했을 때 어떤 파형을 나타낼지 생각해보면 응용에 많이 도움될 것이다.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면서 두 개의 채널을 나타낼 때 Volt/div 값을 일치시키고 수직 값을 맞춰서 보면 입력과 출력을 정확하게 비교하여 볼 수 있다는 것도 유의하여야한다. 그리고 오실로스코프로 출력파형을 확인하면서 파형은 Pspice 시뮬레이션처럼 예상대로 나왔지만 값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았다. 오실로스코프나 파형발생기의 내부저항이나 작은 전력 손실이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도선이나 breadboard등의 작은 요인들도 있었을 것이다.
이번 실험을 통해 어떤 입력을 주었을 때 출력으로 원하는 신호레벨을 정할 수 있는 클리퍼나 클램퍼에 대해 배웠다. 다이오드, 저항, 바이어스 전원의 배치에 따라 각각 다른 레벨을 제한할 수 있다. 실험에서 구성했던 회로들 말고도 소자를 다르게 구성했을 때 어떤 파형을 나타낼지 생각해보면 응용에 많이 도움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