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회로
2. 실험결과
3. 결론 및 토의
2. 실험결과
3. 결론 및 토의
본문내용
지스터라도 Saturation되기 때문에 = 으로 L이된다.
디지털 신호로만 따지면 여기서 끝날 수 있겠지만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파형을 관찰한 결과 수치적으로
, 모두 5V일 때의 (6.40mV)이 둘 중 하나만 5V일 때의 (15.2mV)보다 작게 측정되었다. 그 이유는 포화된 트랜지스터 자체를 임피던스로 볼 때 임피던스 두 대가 병렬 연결되면 총 임피던스는 작아지고 그에 걸리는 전압인 도 작아지기 때문인 것이다. 값이 정확한 두 배 차이가 나지 않는 이유는 임피던스로 보고 계산함에 있어 서로 차이가 있기 때문인 듯하다.
오실로스코프 화면에서 입력으로 준 5V 구형파의 최대값은 4.88V, 최소값은 80mV이었는데 이러한 이유는 파형발생기 내부적인 원인으로 인해 정확한 5V, 0V가 나오지 않은듯하다.
그리고 작은 신호 파형이 두껍게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이유는 프로브 문제 때문에 작은 신호가 노이즈를 타면서 생기는 것이었다. 그 밖에 기기나 도선의 내부저항 같이 엄청 미세한 영향은 배제하면
결과적으로 실험결과는 만족스럽게 잘 나왔다. 이것을 활용하여 다른 로직인 AND, OR, NAND등 여러가지를 구성하는 방법도 생각해 보면 좋을듯하다
디지털 신호로만 따지면 여기서 끝날 수 있겠지만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파형을 관찰한 결과 수치적으로
, 모두 5V일 때의 (6.40mV)이 둘 중 하나만 5V일 때의 (15.2mV)보다 작게 측정되었다. 그 이유는 포화된 트랜지스터 자체를 임피던스로 볼 때 임피던스 두 대가 병렬 연결되면 총 임피던스는 작아지고 그에 걸리는 전압인 도 작아지기 때문인 것이다. 값이 정확한 두 배 차이가 나지 않는 이유는 임피던스로 보고 계산함에 있어 서로 차이가 있기 때문인 듯하다.
오실로스코프 화면에서 입력으로 준 5V 구형파의 최대값은 4.88V, 최소값은 80mV이었는데 이러한 이유는 파형발생기 내부적인 원인으로 인해 정확한 5V, 0V가 나오지 않은듯하다.
그리고 작은 신호 파형이 두껍게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이유는 프로브 문제 때문에 작은 신호가 노이즈를 타면서 생기는 것이었다. 그 밖에 기기나 도선의 내부저항 같이 엄청 미세한 영향은 배제하면
결과적으로 실험결과는 만족스럽게 잘 나왔다. 이것을 활용하여 다른 로직인 AND, OR, NAND등 여러가지를 구성하는 방법도 생각해 보면 좋을듯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