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휘의미론] 색채어장과 요리어장의 예시와 분석 레포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어휘의미론] 색채어장과 요리어장의 예시와 분석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색채어장
1.1. 한국어의 ‘푸르다’
1.2. 한국어의 ‘검다’
1.3. 한국어의 ‘희다’
1.4. 한국어의 ‘살색’, ‘하늘색’ 논란
1.5. 한국어 색채의 특성

2. 조리어장
2.1 가열 취사
2.2 비 가열 취사-비 칼질, 칼질

본문내용

2. 외국의 \'검다\'의 의미
중국에서 검은색은 \'사악함, 불결, 범죄\'와 같이 대개 좋지 않은 것과 연관되어 있다. 중국에서도 음흉한 자들을 표현할 때 \'흑(黑)\'을 쓴다.
한국 영화 \'조폭마누라\'를 중국에서는 我的黑道老婆로 표기한다.
미국에서는 \'black list\'라는 관용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검은색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프랑스에서도 \'검다\'는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다. \'누아르\'는 프랑스어로 \'검다\'는 뜻인데, 범죄와 폭력을 주된 요소로 하는 영화를 \'필름 누아르\'라고 한다.
반면에 서양과는 반대로 아프리카의 여러 문화권에서 \'검다\'는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1.3. 한국어의 ‘희다’
기본 색채 형용사 \'희다\'는 사전적 의미로는 \'눈이나 우유의 빛깔과 같이 밝고 선명하다\'는 뜻이다.
옛날부터 \'희다\'는 주로 깨끗하고 고결한 이미지로 우리 민족을 대변하는 색으로 인정받아 왔다.
\'희다\'를 긍정적으로 보는 대표적인 예는 한국에서 \'흰색\'은 상복을 상징한다. 수의의 흰색은 밝음과 영원을 의미하는 것으로 영혼불멸을 상징한다.
ㄱ. 결백하다
ㄴ. 살결이 희면 열 가지 흉을 감춘다
(ㄱ)처럼 한국어에서는 죄가 없다 혹은 순결하고 솔직한 성격을 말할 때 흰색으로 표현을 한다.
(ㄴ)에서 \'희다\'의 이미지는 \'고운 살결\'의 뜻을 연상시킨다.
  • 가격3,000
  • 페이지수39페이지
  • 등록일2014.03.24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9092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