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현대여가의 기능
Ⅰ. 여가의 긍정적 기능
1. 신체적 기능
2. 심리적 기능
3. 교육적 기능
4. 사회적 기능
5. 문화적 기능
6. 자기실현적 기능
7. 경제적 기능
Ⅱ. 여가의 부정적 기능
1. 획일적 기능
2. 모방적 기능
3. 위장화 기능
4. 무감각화 기능
5. 향락화 기능
Ⅰ. 여가의 긍정적 기능
1. 신체적 기능
2. 심리적 기능
3. 교육적 기능
4. 사회적 기능
5. 문화적 기능
6. 자기실현적 기능
7. 경제적 기능
Ⅱ. 여가의 부정적 기능
1. 획일적 기능
2. 모방적 기능
3. 위장화 기능
4. 무감각화 기능
5. 향락화 기능
본문내용
사고나 판단이 소외당하는 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너무 개성화되고 특수한 여가를 즐기는 것은 무가치한 것으로 간주되는 반면, 다수가 즐기는 여가활동이 오히려 값지고 보람 있는 것으로 여기게 되어 궁극적으로는 각자의 인간성 상실을 초래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여가생활의 획일성은 매스미디어(mass media)의 영향과 여가의 상업화 추구에 따른 파생물로 볼 수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특정기업의 이윤추구를 위하여 각종 매스미디어를 통한 특정여가가 강요되면서 대중은 선택의 여지없이 획일적인 여가를 택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획일화된 여가를 강요받았을 때 그러한 환경에 처해 있는 인간 또한 획일화되며, 매스미디어를 통한 획일적인 정보와 지식이 대중들에게 전달되어 대중은 사회적인 유대를 상실하고 점차 동질화 획일화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여가산업조차 이윤추구만 목적으로 한 영리단체가 지배하고 매스미디어를 통하여 이윤이 많은 여가만을 지배적으로 선전하면서 대중은 획일화된 여가만을 선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자기본래의 개성발휘에 목적을 두는 여가추구가 전도되어 획일성이 작용하게 된다.
(2) 모방적 기능(imitation function)
현대의 여가에는 유행심리에 따른 모방성이 작용하는 바, 이러한 유행심리 속에는 지성적인 사고보다 정서적이고 맹목적인 행동이 앞서게 되며, 이러한 경향이 사회적 풍조를 이를 때에는 대중에게 전염되어 전사회적으로 파급 확산될 뿐 아니라 대중문화에까지 중독현상을 미치게 된다.
프롬(Erich Promm)은 이와 같은 현대의 인간상을 시장지향형(market oriented)이라고 부르고, 이러한 시장지향적 가치체계는 교환가치에 의존하기 때문에 상품이든, 인격이든 어떻게 하면 잘 팔리고 비싼 값으로 수요에 응할 수 있는가에만 관심이 있으며, 또한 다른 사람의 기호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자동인형적 순응태도가 좋은 처세방편으로 여기고 행동한다. 이에 대하여 리이즈만(David Riesman)은 이를 타인지향형(other-oriented)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이와 관련된 성격특징으로서 그는 개인의 인기를 모으는데 골몰하고 항상 도처에서 오는 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하여 불안한 심리가 팽배하고 있다고 한다.
이와 같이 현대사회에 있어서 여가생활은 반드시 자기 자신이 지향하는 방향으로 영위되지 않고 주변의 여건과 사회 환경에 의하여 많이 모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위장화 기능(maskness function)
사회 내에 유행심리가 팽배할 경우 대중에 대하여 역작용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왜냐하면 개인은 여가를 통하여 자기의 행위를 위장화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자기를 실제 이상으로 과시하거나 위장시켜 다른 사람들에게 잘 보이고 그들의 인기를 차지해 보려는 심리이다. 이와 같이 대중여가는 개인의 과시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대상으로 전락될 가능성이 많으므로 일시적으로나마 현재보다 높은 지위에서 자기를 나타내어 보이기 위하여 분수에 맞지 않은 사치와 낭비를 가져 오게 하고, 소비성향을 자극할 우려가 있다.
특히 현대인의 여가생활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것은 여가가 자기실현의 수단으로서 행하여지기보다는 타인에게 내보이기 위하여 행하여지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조직 속의 인간소외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과도한 오락의존의 생활을 영위한 결과, 오락마비 중에 빠짐으로써 또다시 자아를 상실하는 이중소외 현상을 일으키게 되며, 나아가서는 무치증(無恥症)의 징조를 수반할 가능성이 있다.
(4) 무감각화 기능(insensibility function)
나쁘게 조직된 대중오락이나 여가의 그릇된 이용은 개인이나 사회의 의식을 불건전하게 하고 삶의 의욕을 상실시키는 결과를 가져 오게 한다. 여기서 여가에 대한 맹목적인 추구로 인하여 정치적 사회적 문제에 대한 무감각화 현상을 조장하고 국민의 건전한 여가발전을 저해할 소지가 있다.
여가시간이 잘못 활용되는 것도 문제이지만, 그것이 창조적 능동적으로 이용되지 못할 때 생기는 나태함과 무력감도 개인적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된다. 따라서 늘어난 시간적 공백을 어떻게 메우느냐 하는 것도 미래에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될 수 있다.
즉, 산업사회에서는 노동의 단조로움이 고통의 원인이 되었으나, 앞으로는 늘어난 여가시간을 어떻게 유효적절하게 활용할 것인가가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특히 실업의 증가로 일자리를 찾기 힘든 젊은이들이 일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정신적 정서적인 안정을 여가를 통해 얼마만큼 보상받을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견해가 많다.
근대 정치가들이 스포츠를 장려한 이유로 국민들이 선수와 자신을 동일시하게끔 하여 그 속에서 정치적 불만을 해소하도록 하여 정치적인 무관심을 조장하려는데 있다. 그리고 현대정치의 대표적 놀이조작인 3S(sport, sex, screen)가 본래 로마시대에 세계통치의 교활한 지혜인 빵과 서커스의 연장 및 확대인 것처럼, 여가자체가 정치조작의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데에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5) 향락화 기능(hedonism function)
여가가 건전하게 행사되지 못하고 향락적 순간적 쾌락적인 방향으로 흐른 다면 인간은 그 속에서 가치관을 찾지 못하고 혼돈에 빠지게 된다. 말초신경적 쾌락을 추구할 때는 모든 것을 초월하는 여가의 건전한 역사적 세계적 정신이 자리 잡을 들도 없다. 거기에는 오직 쾌락을 추구하는 것만이 최고의 선이며 가치이기 때문이다.
향락적인 것만을 추구하면서 인간은 지금까지 지녀왔던 도덕관, 윤리관, 더 나아가 세계관과 역사관을 포기하게 되며, 이 자리를 쾌락(pleasure)이 최고라는 향락제일주의가 차지하게 된다. 그 결과 기업화된 향락지향적 여가산업의 성업은 청소년교육이나 국민의 가치관 형성에 역기능을 가져올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영리추구에만 몰두하는 경우, 사회적 도덕적 책임감이 결여될 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의 안일주의적 사고와 퇴행적 의식형성을 방지할 통제기능을 잃게 되어 향락성을 극대화시키도록 자극할 소지가 있다. 이러한 대중여가의 향락성은 매춘, 범죄, 퇴폐적 윤락, 청소년 비행 등의 기본적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여가생활의 획일성은 매스미디어(mass media)의 영향과 여가의 상업화 추구에 따른 파생물로 볼 수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특정기업의 이윤추구를 위하여 각종 매스미디어를 통한 특정여가가 강요되면서 대중은 선택의 여지없이 획일적인 여가를 택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획일화된 여가를 강요받았을 때 그러한 환경에 처해 있는 인간 또한 획일화되며, 매스미디어를 통한 획일적인 정보와 지식이 대중들에게 전달되어 대중은 사회적인 유대를 상실하고 점차 동질화 획일화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여가산업조차 이윤추구만 목적으로 한 영리단체가 지배하고 매스미디어를 통하여 이윤이 많은 여가만을 지배적으로 선전하면서 대중은 획일화된 여가만을 선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자기본래의 개성발휘에 목적을 두는 여가추구가 전도되어 획일성이 작용하게 된다.
(2) 모방적 기능(imitation function)
현대의 여가에는 유행심리에 따른 모방성이 작용하는 바, 이러한 유행심리 속에는 지성적인 사고보다 정서적이고 맹목적인 행동이 앞서게 되며, 이러한 경향이 사회적 풍조를 이를 때에는 대중에게 전염되어 전사회적으로 파급 확산될 뿐 아니라 대중문화에까지 중독현상을 미치게 된다.
프롬(Erich Promm)은 이와 같은 현대의 인간상을 시장지향형(market oriented)이라고 부르고, 이러한 시장지향적 가치체계는 교환가치에 의존하기 때문에 상품이든, 인격이든 어떻게 하면 잘 팔리고 비싼 값으로 수요에 응할 수 있는가에만 관심이 있으며, 또한 다른 사람의 기호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자동인형적 순응태도가 좋은 처세방편으로 여기고 행동한다. 이에 대하여 리이즈만(David Riesman)은 이를 타인지향형(other-oriented)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이와 관련된 성격특징으로서 그는 개인의 인기를 모으는데 골몰하고 항상 도처에서 오는 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하여 불안한 심리가 팽배하고 있다고 한다.
이와 같이 현대사회에 있어서 여가생활은 반드시 자기 자신이 지향하는 방향으로 영위되지 않고 주변의 여건과 사회 환경에 의하여 많이 모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위장화 기능(maskness function)
사회 내에 유행심리가 팽배할 경우 대중에 대하여 역작용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왜냐하면 개인은 여가를 통하여 자기의 행위를 위장화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자기를 실제 이상으로 과시하거나 위장시켜 다른 사람들에게 잘 보이고 그들의 인기를 차지해 보려는 심리이다. 이와 같이 대중여가는 개인의 과시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대상으로 전락될 가능성이 많으므로 일시적으로나마 현재보다 높은 지위에서 자기를 나타내어 보이기 위하여 분수에 맞지 않은 사치와 낭비를 가져 오게 하고, 소비성향을 자극할 우려가 있다.
특히 현대인의 여가생활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것은 여가가 자기실현의 수단으로서 행하여지기보다는 타인에게 내보이기 위하여 행하여지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조직 속의 인간소외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과도한 오락의존의 생활을 영위한 결과, 오락마비 중에 빠짐으로써 또다시 자아를 상실하는 이중소외 현상을 일으키게 되며, 나아가서는 무치증(無恥症)의 징조를 수반할 가능성이 있다.
(4) 무감각화 기능(insensibility function)
나쁘게 조직된 대중오락이나 여가의 그릇된 이용은 개인이나 사회의 의식을 불건전하게 하고 삶의 의욕을 상실시키는 결과를 가져 오게 한다. 여기서 여가에 대한 맹목적인 추구로 인하여 정치적 사회적 문제에 대한 무감각화 현상을 조장하고 국민의 건전한 여가발전을 저해할 소지가 있다.
여가시간이 잘못 활용되는 것도 문제이지만, 그것이 창조적 능동적으로 이용되지 못할 때 생기는 나태함과 무력감도 개인적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된다. 따라서 늘어난 시간적 공백을 어떻게 메우느냐 하는 것도 미래에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될 수 있다.
즉, 산업사회에서는 노동의 단조로움이 고통의 원인이 되었으나, 앞으로는 늘어난 여가시간을 어떻게 유효적절하게 활용할 것인가가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특히 실업의 증가로 일자리를 찾기 힘든 젊은이들이 일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정신적 정서적인 안정을 여가를 통해 얼마만큼 보상받을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견해가 많다.
근대 정치가들이 스포츠를 장려한 이유로 국민들이 선수와 자신을 동일시하게끔 하여 그 속에서 정치적 불만을 해소하도록 하여 정치적인 무관심을 조장하려는데 있다. 그리고 현대정치의 대표적 놀이조작인 3S(sport, sex, screen)가 본래 로마시대에 세계통치의 교활한 지혜인 빵과 서커스의 연장 및 확대인 것처럼, 여가자체가 정치조작의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데에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5) 향락화 기능(hedonism function)
여가가 건전하게 행사되지 못하고 향락적 순간적 쾌락적인 방향으로 흐른 다면 인간은 그 속에서 가치관을 찾지 못하고 혼돈에 빠지게 된다. 말초신경적 쾌락을 추구할 때는 모든 것을 초월하는 여가의 건전한 역사적 세계적 정신이 자리 잡을 들도 없다. 거기에는 오직 쾌락을 추구하는 것만이 최고의 선이며 가치이기 때문이다.
향락적인 것만을 추구하면서 인간은 지금까지 지녀왔던 도덕관, 윤리관, 더 나아가 세계관과 역사관을 포기하게 되며, 이 자리를 쾌락(pleasure)이 최고라는 향락제일주의가 차지하게 된다. 그 결과 기업화된 향락지향적 여가산업의 성업은 청소년교육이나 국민의 가치관 형성에 역기능을 가져올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영리추구에만 몰두하는 경우, 사회적 도덕적 책임감이 결여될 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의 안일주의적 사고와 퇴행적 의식형성을 방지할 통제기능을 잃게 되어 향락성을 극대화시키도록 자극할 소지가 있다. 이러한 대중여가의 향락성은 매춘, 범죄, 퇴폐적 윤락, 청소년 비행 등의 기본적 원인이 되고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주 5일제 근무에 따른 여가의 스포츠 사회학적 분석
광고의 기능
[노인복지]노인 여가생활의 필요성과 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의 유교와 순기능, 역기능, 그 현대적 가치
[스마트폰] 스마트폰 대중화로 인한 사회변화양상 및 순기능과 역기능 - 스마트폰중독 스마트...
일본인(일본사람)의 기질, 일본인(일본사람)의 의식구조, 일본인(일본사람)의 제국의식, 일본...
우리나라는 노인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노인여가활동의 효율적인 방안에 대...
[노인복지론] 노년기 여가활동 및 참여에 기술하고 참여상의 문제점과 촉진방안을 논하시오 :...
국가와 사회의 기능 및 제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