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초전자 물리학실험 - 물리량 측정과 오차
1. 실험제목 : 물리량 측정과 오차(공통1)
2. 실험목표
3. 실험장비 및 재료
4. 실험과정 및 분석
<실험과정>
5. 실험 애로사항, 특이점
6. 결론
1. 실험제목 : 물리량 측정과 오차(공통1)
2. 실험목표
3. 실험장비 및 재료
4. 실험과정 및 분석
<실험과정>
5. 실험 애로사항, 특이점
6. 결론
본문내용
0003136
15
4.07
-0.0056
0.00003136
16
4.07
-0.0056
0.00003136
17
4.04
-0.0356
0.00126736
18
4.07
-0.0056
0.00003136
19
4.1
0.0244
0.00059536
20
4.09
0.0144
0.00020736
21
4.12
0.0444
0.00197136
22
4.08
0.0044
0.00001936
23
4.07
-0.0056
0.00003136
24
4.07
-0.0056
0.00003136
25
4.06
-0.0156
0.00024336
26
4.07
-0.0056
0.00003136
27
4.01
-0.0656
0.00430336
28
4.05
-0.0256
0.00065536
29
4.1
0.0244
0.00059536
30
4.05
-0.0256
0.00065536
31
4.1
0.0244
0.00059536
32
4.07
-0.0056
0.00003136
33
4.06
-0.0156
0.00024336
34
4.03
-0.0456
0.00207936
35
4.06
-0.0156
0.00024336
36
4.04
-0.0356
0.00126736
37
4.09
0.0144
0.00020736
38
4.08
0.0044
0.00001936
39
4.07
-0.0056
0.00003136
40
4.07
-0.0056
0.00003136
41
4.1
0.0244
0.00059536
42
4.03
-0.0456
0.00207936
43
4.08
0.0044
0.00001936
44
4.09
0.0144
0.00020736
45
4.06
-0.0156
0.00024336
46
4.06
-0.0156
0.00024336
47
4.08
0.0044
0.00001936
48
4.07
-0.0056
0.00003136
49
4.06
-0.0156
0.00024336
50
4.1
0.0244
0.00059536
51
4.07
-0.0056
0.00003136
52
4.13
0.0544
0.00295936
53
4.12
0.0444
0.00197136
54
4.03
-0.0456
0.00207936
55
4.09
0.0144
0.00020736
56
4.1
0.0244
0.00059536
57
4.1
0.0244
0.00059536
58
4.08
0.0044
0.00001936
59
4.07
-0.0056
0.00003136
60
4.05
-0.0256
0.00065536
61
4.08
0.0044
0.00001936
62
4.07
-0.0056
0.00003136
63
4.08
0.0044
0.00001936
64
4.09
0.0144
0.00020736
65
4.08
0.0044
0.00001936
66
4.05
-0.0256
0.00065536
67
4.06
-0.0156
0.00024336
68
4.12
0.0444
0.00197136
69
4.08
0.0044
0.00001936
70
4.1
0.0244
0.00059536
71
4.1
0.0244
0.00059536
72
4.08
0.0044
0.00001936
73
4.12
0.0444
0.00197136
74
4.12
0.0444
0.00197136
75
4.13
0.0544
0.00295936
76
4.07
-0.0056
0.00003136
77
4.07
-0.0056
0.00003136
78
4.09
0.0144
0.00020736
79
3.97
-0.1056
0.01115136
80
4.11
0.0344
0.00118336
81
4.04
-0.0356
0.00126736
82
4.09
0.0144
0.00020736
83
4.1
0.0244
0.00059536
84
4.1
0.0244
0.00059536
85
4.06
-0.0156
0.00024336
86
4.07
-0.0056
0.00003136
87
4.09
0.0144
0.00020736
88
4.08
0.0044
0.00001936
89
4.08
0.0044
0.00001936
90
4.13
0.0544
0.00295936
91
4.04
-0.0356
0.00126736
92
4.12
0.0444
0.00197136
93
4.17
0.0944
0.00891136
94
4.1
0.0244
0.00059536
95
4.11
0.0344
0.00118336
96
3.99
-0.0856
0.00732736
97
4
-0.0756
0.00571536
98
4.09
0.0144
0.00020736
99
4.02
-0.0556
0.00309136
100
4.12
0.0444
0.00197136
평균 = 4.0756
편차제곱의 합 = 0.115264
1) 산술평균값(Average mean) = 4.0756
2) 조정된 표준편차
3) 조정된 오차(68.3%의 확률내 조정된 표준편차)
4) 평균값의 확률오차(50%의 확률내 조정된 표준편차)
결과적으로 우리가 측정한 동전의 무게는
68.3%의 신뢰도로 4.0756±0.0034 gr
50%의 신뢰도로 4.0756±0.0023 gr
로 결정할 수 있다.
5. 실험 애로사항, 특이점
추 무게 측정하는 실험에서 원래 앉은뱅이저울을 이용해 무게를 측정해야했는데 매번 같은 값만 나와서 당황했다. 더 정밀한 도구인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추 무게를 측정할 수밖에 없었는데, 그 때에도 추가 자꾸 굴러다녀서 측정에 많은 곤란함이 있었다. 또 전자저울을 이용해서 측정한 무게를 통계화 했을 때 그래프가 잘 나오지 않고, 수치도 이상해서 곤란을 많이 겪었다.
빈도 분포를 분석해서 수치를 통계화 했을 때 나타나는 수치인 RMSE 가 정규분포와의 일치도를 뜻함을 알고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준값이 없어서 이것이 잘 된 실험인지 알 수가 없어서 아쉽다.
6. 결론
물리량을 측정할 때는 어쩔 수 없이 오차가 발생한다. 그 오차를 줄이기 위해 실험횟수를 늘리고 그 수치를 신뢰도로 표기하여 오차범위를 한정하여야 한다. 원래는 Logger Pro 3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오차범위를 구할 수 있는데 아직 사용법이 미숙하고 수치가 제대로 나오지 않아서 애를 많이 먹었다.
15
4.07
-0.0056
0.00003136
16
4.07
-0.0056
0.00003136
17
4.04
-0.0356
0.00126736
18
4.07
-0.0056
0.00003136
19
4.1
0.0244
0.00059536
20
4.09
0.0144
0.00020736
21
4.12
0.0444
0.00197136
22
4.08
0.0044
0.00001936
23
4.07
-0.0056
0.00003136
24
4.07
-0.0056
0.00003136
25
4.06
-0.0156
0.00024336
26
4.07
-0.0056
0.00003136
27
4.01
-0.0656
0.00430336
28
4.05
-0.0256
0.00065536
29
4.1
0.0244
0.00059536
30
4.05
-0.0256
0.00065536
31
4.1
0.0244
0.00059536
32
4.07
-0.0056
0.00003136
33
4.06
-0.0156
0.00024336
34
4.03
-0.0456
0.00207936
35
4.06
-0.0156
0.00024336
36
4.04
-0.0356
0.00126736
37
4.09
0.0144
0.00020736
38
4.08
0.0044
0.00001936
39
4.07
-0.0056
0.00003136
40
4.07
-0.0056
0.00003136
41
4.1
0.0244
0.00059536
42
4.03
-0.0456
0.00207936
43
4.08
0.0044
0.00001936
44
4.09
0.0144
0.00020736
45
4.06
-0.0156
0.00024336
46
4.06
-0.0156
0.00024336
47
4.08
0.0044
0.00001936
48
4.07
-0.0056
0.00003136
49
4.06
-0.0156
0.00024336
50
4.1
0.0244
0.00059536
51
4.07
-0.0056
0.00003136
52
4.13
0.0544
0.00295936
53
4.12
0.0444
0.00197136
54
4.03
-0.0456
0.00207936
55
4.09
0.0144
0.00020736
56
4.1
0.0244
0.00059536
57
4.1
0.0244
0.00059536
58
4.08
0.0044
0.00001936
59
4.07
-0.0056
0.00003136
60
4.05
-0.0256
0.00065536
61
4.08
0.0044
0.00001936
62
4.07
-0.0056
0.00003136
63
4.08
0.0044
0.00001936
64
4.09
0.0144
0.00020736
65
4.08
0.0044
0.00001936
66
4.05
-0.0256
0.00065536
67
4.06
-0.0156
0.00024336
68
4.12
0.0444
0.00197136
69
4.08
0.0044
0.00001936
70
4.1
0.0244
0.00059536
71
4.1
0.0244
0.00059536
72
4.08
0.0044
0.00001936
73
4.12
0.0444
0.00197136
74
4.12
0.0444
0.00197136
75
4.13
0.0544
0.00295936
76
4.07
-0.0056
0.00003136
77
4.07
-0.0056
0.00003136
78
4.09
0.0144
0.00020736
79
3.97
-0.1056
0.01115136
80
4.11
0.0344
0.00118336
81
4.04
-0.0356
0.00126736
82
4.09
0.0144
0.00020736
83
4.1
0.0244
0.00059536
84
4.1
0.0244
0.00059536
85
4.06
-0.0156
0.00024336
86
4.07
-0.0056
0.00003136
87
4.09
0.0144
0.00020736
88
4.08
0.0044
0.00001936
89
4.08
0.0044
0.00001936
90
4.13
0.0544
0.00295936
91
4.04
-0.0356
0.00126736
92
4.12
0.0444
0.00197136
93
4.17
0.0944
0.00891136
94
4.1
0.0244
0.00059536
95
4.11
0.0344
0.00118336
96
3.99
-0.0856
0.00732736
97
4
-0.0756
0.00571536
98
4.09
0.0144
0.00020736
99
4.02
-0.0556
0.00309136
100
4.12
0.0444
0.00197136
평균 = 4.0756
편차제곱의 합 = 0.115264
1) 산술평균값(Average mean) = 4.0756
2) 조정된 표준편차
3) 조정된 오차(68.3%의 확률내 조정된 표준편차)
4) 평균값의 확률오차(50%의 확률내 조정된 표준편차)
결과적으로 우리가 측정한 동전의 무게는
68.3%의 신뢰도로 4.0756±0.0034 gr
50%의 신뢰도로 4.0756±0.0023 gr
로 결정할 수 있다.
5. 실험 애로사항, 특이점
추 무게 측정하는 실험에서 원래 앉은뱅이저울을 이용해 무게를 측정해야했는데 매번 같은 값만 나와서 당황했다. 더 정밀한 도구인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추 무게를 측정할 수밖에 없었는데, 그 때에도 추가 자꾸 굴러다녀서 측정에 많은 곤란함이 있었다. 또 전자저울을 이용해서 측정한 무게를 통계화 했을 때 그래프가 잘 나오지 않고, 수치도 이상해서 곤란을 많이 겪었다.
빈도 분포를 분석해서 수치를 통계화 했을 때 나타나는 수치인 RMSE 가 정규분포와의 일치도를 뜻함을 알고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준값이 없어서 이것이 잘 된 실험인지 알 수가 없어서 아쉽다.
6. 결론
물리량을 측정할 때는 어쩔 수 없이 오차가 발생한다. 그 오차를 줄이기 위해 실험횟수를 늘리고 그 수치를 신뢰도로 표기하여 오차범위를 한정하여야 한다. 원래는 Logger Pro 3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오차범위를 구할 수 있는데 아직 사용법이 미숙하고 수치가 제대로 나오지 않아서 애를 많이 먹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일반물리학 실험 등가속도 측정 결과레포트
기초공학실험 - 온도측정
[일반물리학 실험] 휘트스톤 브릿지를 이용한 저항 측정 -결과-
[일반 물리학 실험] 제2장 길이와 곡률반경 측정
[물리학 실험] 3-8 오실로스코프 측정
기초공학실험 압력측정
[기초공학실험] RC회로 - RC필터와 정류회로 : RC회로를 이해하고, 전자장치에 유입되는 원치...
[물리학 실험] (예비+결과) 등전위선 측정 (실험레포트 만점 자료)
물리학 실험 - 빛지레를 이용한 물체의 두께 측정
전기전자 기초실험 2장 옴의 법칙(ohm`s law) 예비, 결과
일반물리학 실험 - 탄동진자에 의한 탄환의 속도 측정(Measure the Speed of the Bullet by t...
[일반 물리학 실험] 막대의 영률측정 : 금속막대의 중심에 추를 달아 휘어지게 한 후, 그 중...
[일반물리학 실험] 길이 및 곡률반경 측정 (결과 보고서)
물리 실험-전자 측정 연습,실험 목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