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관광과 지리학
Ⅰ. 관광지리학의 정의
Ⅱ. 관광지리학의 연구 분야
1. 관광 구성요소와 관광입지에 관한 연구
1) 관광주체(관광객)
2) 관광객체(관광지원)
3) 관광매체(관광시설)
2. 관광지역에 관한 연구
1) 관광지역 연구 대상
2) 관광지역 개발 내용
3) 관광지 개발에 있어서의 지리학의 역할
Ⅲ. 응용과학으로서의 관광지리학
Ⅰ. 관광지리학의 정의
Ⅱ. 관광지리학의 연구 분야
1. 관광 구성요소와 관광입지에 관한 연구
1) 관광주체(관광객)
2) 관광객체(관광지원)
3) 관광매체(관광시설)
2. 관광지역에 관한 연구
1) 관광지역 연구 대상
2) 관광지역 개발 내용
3) 관광지 개발에 있어서의 지리학의 역할
Ⅲ. 응용과학으로서의 관광지리학
본문내용
관광의 3대 구성요소인 관광주
체, 관광객체, 관광매체에 대한 지리학적 연구뿐만 아니라 관광객을 위한 서
비스와 사회 문화적 문제들도 취급한다. 따라서 관광지리학은 외견상으로는
문화지리학 분야에 속하는 것처럼 생각되나 자연지리학, 경제지리학 등을 통
하여 한 가지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되기 때문에 다
양한 응용지리학 분야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관광은 지리학의 연구 대상으로
서 지리학자들에게 다양한 연구 분야를 제공하고 있다.
지리학 중 경제지리학과 관광지리학 부문에서 응용과학으로서의 성과는 관
광입지론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프랑스 P. Defert의 <관광입지론>과 독일의 H. Todt의 <여행목적지의 공간적 질서에 대하여>는 모두 실증적인 연구로서 주목할 만한 것이다.
P. Defert는 관광입지론을 전개함에 있어 J. G. V. Thunenn의 '농업입지론'
이나 E. M. Hoover의 '공업입지론'의 단순한 적용만으로서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면서,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1) 농업 및 공업입지의 경우에는 수송비에 영향을 줄 만큼 대량생산물의 입
지가 문제였으나, 관광지의 경우는 수송비 이외에도 다른 요소(텔렉스
전화료)가 중요하다.
(2) 관광입지는 자연결정론에 따라야 한다.
(3) 19세기 입지론의 시대와는 달라서 교통수단도 다양해졌고, 철도수송만 가
지고는 관광입지를 이해할 수 없다.
(4) 관광입지의 경우에는 거리라는 것이 관광객에게 주는 '심리적 감가(減價,
(depreciation psychologique)'를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5) 농업 및 공업입지론에서는 이동하는 것이 상품인 데 반하여, 관광입지론
에 있어서는 상품은 이동하지 않고 사람이 이동한다.
(6) 관광입지는 완전경쟁이라는 것과 거리가 밀고 독점에 가까운 시장을 형성
한다.
이상과 같은 여러 이유를 들어 관광입지론을 독자적인 입장에서 전개하고
있다. 이와 같이 P. Defert는 관광입지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완성하였는데,
그 결과로서 다음과 같은 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원리 1] 이제 한 지역의 특정 공간의 중심에 위치하는 단일지역시장이
주어졌다고 한다면 그 주변의 입지 중요도는 거리에 반비례한다.
[원리 2] 동일하게 중요성을 가진 복수지역시장이 주어지고 그들이 자원
(資源; R1, R2, R3등)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위치하는 것이라 한다면, 본래의
입지 중요도는 R1 R2, R3 등의 근원적인 가치의 함수가 된다.
[원리 3] 이질적인 중요성을 가진 복수의 지역시장과 등거리(等距離)에 위
치하는 복수의 관광자원에 대해서는 개개의 자원에 관한 본래의 입지 중요
도는 개개의 지역시장에 유입하는 관광객의 잠재적인 크기에 의존한다.
[원리 4] 한 특정 공간 가운데서 균등하면서 또한 동등한 거리를 가진 지
역시장에 있어서는 본래 동질의 자원에 관한 입지 중요도는 설비가 지니는
여러 요소에 의존한다.
[원리 5] 다른 사정(거리, 지역, 시장, 위치의 가치, 설비)이 동등한 입지
의 발전은 한 기지(station)에 의해서 이미 얻어진 기성의 중요도에 비례한다.
[계 1] 이질의 국내 공간에 있어서는 상기여러 원리와 관련 여러 변수가 지역에 따라 상이함을 고려해 넣는다면 '지역동화계수'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된다.
[계 2] 이질의 국제 공간에 있어서는 상기 여러 원리의 관련 여러 변수가 지역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고려해 넣는다면 한편으로는 '국내동화계수(Coefficient de nationalization)'에, 또 다른 한편으로는 국경을 넘은 공간에서의 변화에 기인하는 '마찰계수'의 영향을 받게 된다.
체, 관광객체, 관광매체에 대한 지리학적 연구뿐만 아니라 관광객을 위한 서
비스와 사회 문화적 문제들도 취급한다. 따라서 관광지리학은 외견상으로는
문화지리학 분야에 속하는 것처럼 생각되나 자연지리학, 경제지리학 등을 통
하여 한 가지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되기 때문에 다
양한 응용지리학 분야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관광은 지리학의 연구 대상으로
서 지리학자들에게 다양한 연구 분야를 제공하고 있다.
지리학 중 경제지리학과 관광지리학 부문에서 응용과학으로서의 성과는 관
광입지론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프랑스 P. Defert의 <관광입지론>과 독일의 H. Todt의 <여행목적지의 공간적 질서에 대하여>는 모두 실증적인 연구로서 주목할 만한 것이다.
P. Defert는 관광입지론을 전개함에 있어 J. G. V. Thunenn의 '농업입지론'
이나 E. M. Hoover의 '공업입지론'의 단순한 적용만으로서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면서,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1) 농업 및 공업입지의 경우에는 수송비에 영향을 줄 만큼 대량생산물의 입
지가 문제였으나, 관광지의 경우는 수송비 이외에도 다른 요소(텔렉스
전화료)가 중요하다.
(2) 관광입지는 자연결정론에 따라야 한다.
(3) 19세기 입지론의 시대와는 달라서 교통수단도 다양해졌고, 철도수송만 가
지고는 관광입지를 이해할 수 없다.
(4) 관광입지의 경우에는 거리라는 것이 관광객에게 주는 '심리적 감가(減價,
(depreciation psychologique)'를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5) 농업 및 공업입지론에서는 이동하는 것이 상품인 데 반하여, 관광입지론
에 있어서는 상품은 이동하지 않고 사람이 이동한다.
(6) 관광입지는 완전경쟁이라는 것과 거리가 밀고 독점에 가까운 시장을 형성
한다.
이상과 같은 여러 이유를 들어 관광입지론을 독자적인 입장에서 전개하고
있다. 이와 같이 P. Defert는 관광입지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완성하였는데,
그 결과로서 다음과 같은 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원리 1] 이제 한 지역의 특정 공간의 중심에 위치하는 단일지역시장이
주어졌다고 한다면 그 주변의 입지 중요도는 거리에 반비례한다.
[원리 2] 동일하게 중요성을 가진 복수지역시장이 주어지고 그들이 자원
(資源; R1, R2, R3등)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위치하는 것이라 한다면, 본래의
입지 중요도는 R1 R2, R3 등의 근원적인 가치의 함수가 된다.
[원리 3] 이질적인 중요성을 가진 복수의 지역시장과 등거리(等距離)에 위
치하는 복수의 관광자원에 대해서는 개개의 자원에 관한 본래의 입지 중요
도는 개개의 지역시장에 유입하는 관광객의 잠재적인 크기에 의존한다.
[원리 4] 한 특정 공간 가운데서 균등하면서 또한 동등한 거리를 가진 지
역시장에 있어서는 본래 동질의 자원에 관한 입지 중요도는 설비가 지니는
여러 요소에 의존한다.
[원리 5] 다른 사정(거리, 지역, 시장, 위치의 가치, 설비)이 동등한 입지
의 발전은 한 기지(station)에 의해서 이미 얻어진 기성의 중요도에 비례한다.
[계 1] 이질의 국내 공간에 있어서는 상기여러 원리와 관련 여러 변수가 지역에 따라 상이함을 고려해 넣는다면 '지역동화계수'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된다.
[계 2] 이질의 국제 공간에 있어서는 상기 여러 원리의 관련 여러 변수가 지역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고려해 넣는다면 한편으로는 '국내동화계수(Coefficient de nationalization)'에, 또 다른 한편으로는 국경을 넘은 공간에서의 변화에 기인하는 '마찰계수'의 영향을 받게 된다.
추천자료
관광동기와 유인전략이 환경관광수요에 미치는 영향
관광 산업의 실태와 관광 정책의 문제점 및 관광 산업의 발전방향 제언
[올해최신A+자료]전북지역 문화 관광자원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전북지역 문화관광자...
관광 만족도 극대화 방안 관광행태를 분석함 만족도를 극대화 전략(20대 여성 중심) (2012년 ...
농촌관광의 개요, 사례, 농촌관광의 발전방안 조사
[A+] 한국국제관광전(KOTFA)가 관광산업에 미친 영향 분석 선진국 사례 한국의 전시산업 M...
한류관광 콘텐츠 발굴 및 확충방안,한류관광,한류월드의현황및문제점
[구매의도][관광객][관광동기][구매][외국브랜드][원산지이미지]구매의도와 관광객, 구매의도...
[국제][국제방송][국제관광][국제꽃박람회][국제영화제][국제축제][국제페스티벌][방송][관광...
[관광업 경영][관광산업 경영][관광업 경영평가][관광업 경영성과]관광업(관광산업)의 경영형...
국내외 관광동향 사례조사 (생태관광/ 에코투어리즘(Eco Tourism)/ 지속가능한 관광)
[취미와예술]교재 5장에 나와 있는 국내 주요 생태관광지중 한곳 여행한후 여행기(관광지 특...
관광학원론 - 관광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세계와 여행)
[의료관광] 의료관광의 마케팅 사례, 우리나라 의료관광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