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인구와 인구구조] 우리나라 인구의 구조와 증가요인, 인구이동, 한국의 인구분포와 인구밀도 (인구의 증감, 인구의 구조, 인구의 이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인구와 인구구조] 우리나라 인구의 구조와 증가요인, 인구이동, 한국의 인구분포와 인구밀도 (인구의 증감, 인구의 구조, 인구의 이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우리나라의 인구와 인구구조

Ⅰ. 인구의 증감

Ⅱ. 인구의 구조

Ⅲ. 한국의 인구분포와 인구밀도

Ⅳ. 인구의 이동

본문내용

76.9명/km2으로 남한에 비하면 훨씬 낮고, 남 북한을 합친 한국 전체의 인구밀도는 약 300인/km2이 된다.
4) 인구의 이동
인구의 이동 요인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종교적 인종적 이유 때문이라
고 할 수 있는데, 그 중 가장 직접적인 동기는 경제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
다. 도시와 농촌 간의 인구 이동이나, 과거에 수많은 유럽인들이 신대륙으로
개척 이주한 예를 보더라도 지역 간 생활수준에 격차가 생기면 곧바로 인구
이동은 발생하게 된다.
인구의 전출지역은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기반이 미약한 농어촌지역
이주가 되고, 이에 반하여 인구의 전입지역은 주로 인구의 부양력이 큰 신
개발지역이나 대도시, 공단조성지역 등이다. 인구의 이동은 그 이동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즉, 공간적으로는 국내 이동과 국외 이
동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시간적으로는 계절적 이동과 영구적 이동으로 구
분할 수 있다.
근대 초기까지는 국외 이동이 활발하였으나, 근래에는 산업화와 도시화로
국내의 지역 간 이동 현상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국내 이동을 보면 조선시대에는 사민정책에 의하여 남부의 농
민을 북부로 이주시켜 북부지방을 개척하였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임업, 광업,
공업의 개발에 따라 남부의 농촌 인구가 북부지방으로 이주하였다. 또 도시
가 발달함에 따라 농촌에서 도시지역으로 인구가 이동하였다. 해방 전까지의
국내 인구 이동은 주로 남부에서 북부로, 농촌에서 신흥도시로 이동하는 양
상을 나타내었다.
1945년 8.15해방과 1950년의 6.25전쟁은 우리나라에 대규모 국내 인구 이
동의 원인이 되었다. 해방 직후 북한에서 남한으로 약 180만 명이 이동했고
해외 있던 약 160만 명의 귀환 동포로 인하여 약 340만 명의 인구 이동 현
상을 나타냈다.
또한 6.25전쟁 기간 중에는 약 100만 명의 북한 거주민이 남한으로 이동
하여 갑작스런 인구의 이입 현상이 일어났다.
- 우리나라의 인구이동 -
1960년대부터 경제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많은 농어촌인구가 취업과 교육 기회를 찾아 도시와 신흥개발지역으로 이동하였다.
농촌을 떠나 도시로 향하는 이론향도 인구 이동은 그간의 대도시 및 공업지역 중심의 경제개발이 가져온 부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인구의 이동은 수도권을 비롯한 부산, 대구 등 대도시지역으로 인구 이동이 두드러졌으며, 공업도시인 울산, 구미, 창원, 포항, 안산 등도 이입 인구에 의해서 크게 성장되었다.
최근에는 도로의 발달과 승용차의 보급에 따라 추석, 설날 등 명절과 연휴기간 동안에 대대적인 인구의 일시적 이동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 인구의 국외 이동은 조선시대부터 시작되었으나, 일제의 침략으로 더욱 증가하였다. 조선 말기에는 간도와 연해주지방으로 많은 이민이 있었으며, 1900년 초에는 하와이로 이주하는 계약이민도 있었다.
일제강점기에는 많은 인구가 해외로 이주하여 만주와 중국에 약 220만 명, 구소련에 약 30만 명, 일본에 약 200만 명의 동포가 살고 있었다. 현재도 일본에 약 68만 명, 중국에 약 198만 명, 러시아에 약 44만 명,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를 비롯한 세계 각국에 우리 동포가 거주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해외이민이 본격화된 때는 1962년 해외이주법이 제정된 이후부터 활기를 띠기 시작하였다. 이민대상국은 주로 남 북아메리카 지역으로 이 중에서도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등이다.
특히 미국은 우리나라에서 이민이 가장 많은 나라로서 전체 이민의 약 80%정도를 차지하는데, 주로 초청이민, 입양이민, 국제결혼 등의 형식으로 이민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매년 미국으로의 이민 수가 증가하여 현재 약 145만 명을 넘고 있다. 그 중 캘리포니아지방에 2/3가 거주하고 있으며 그 밖에 대서양 연안 및 5대호지방의 대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특히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뉴욕, 시카고 등에는 코리아타운(Korea town)이 형성되어 있다.
또 캐나다에 대한 이민은 미국보다 늦게 이루어졌지만, 토론토, 벤쿠버를 중심으로 우리 동포가 거주하고 있는데, 매년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 와서는 유럽,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지역에 의료진과 기술자 등의 인력 수출이 활발하며, 해외건설의 붐을 타고 기술자와 기능공 진출이 활발하였다.
앞으로 산업 경제의 발달에 따라 해외 취업, 원양어선단의 활약, 아프리카지역의 국내 기업 진출 등으로 인해 해외 이주는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다.
  • 가격2,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4.09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23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