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단칠정논쟁
 (1) 기본개념정리
 (2) 발단
 (3) 전개 및 중심내용
  1. 1차 논쟁
  ※ 정리
  2. 2차 논쟁
  ※ 정리
  3. 3차 논쟁
  ※ 정리
 (4) 결말
 (5) 의의

2. 현대적 의의
 (1) 수직적 관계, 수평적 관계에 대한 논의
 (2) 학문의 목적과 관련한 논의

3.결론

<토론거리>

본문내용

사람들이 대우 받는 새로운 신분 제도를 형성하게 될 것이고 사람들은 돈을 추구하려다 돈에 의해 지배를 받는 상황에 까지 오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학문 본래의 목적인 진리 탐구를 위해 열의를 다했던 우리 조상들의 삶은 현재에 어떠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가. 물론 위와 같은 상황에 대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 학문이 돈에 종속 되지 않고 그 학문 자체로 탐구될 수 있게 된다면 각 학문의 발전은 더 커질 수 있다. 현재 우리가 소비하고 있는 물품들을 살펴보면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현재의 학문과 기업의 사회적 구조는 실용적인 학문을 통해 그것을 기업의 판매 물품이나 판매 전략에 이용하여 더 많은 이윤을 창출하도록 되어 있다. 음식과 관련해서도 식품학은 어떻게 하면 사람들의 미각을 자극하여 더 많은 사람들을 이 음식에 매료시킬 수 있을까 하는 측면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본래의 조리 식품학이 추구해야 될 근본적인 목적은 어떻게 하면 인간의 건강에 알맞은 음식을 만드느냐 하는 것이다. 하지만 대개의 경우 이처럼 학문의 본래 목적보다는 그것을 이용한 돈벌이에 더 관심이 많기 때문에 식품학은 인간의 건강과는 상관없이 혀 자극하는 학문으로 변질되어 인간 사회에 도움이 되지 않고 그저 음식업자들의 매출액에만 도움을 주게 된다. 이처럼 학문이 그 본래의 목적을 벗어났을 경우에는 어떤 일정한 계층의 경제적 이익에 도움을 줄지는 몰라도 그것이 인간 전체 입장에서는 피해로 작용 하는 것이다. 조선의 유학자들은 오직 학자로써의 진리탐구에 매진하였고 그것은 결국 나라전체에 이득이 되는 행동이었던 것이다. 앞의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그들은 학문적 열의를 통해 중국 유학과는 다른 또 다른 한국 유학의 독자성을 발전시켰고 이후의 우리 유학의 문화는 중국과는 다른 길을 걸을 수 있게 되었다.
학문의 목적이 진리탐구여야 한다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이다. 그런 당위적인 명제로써만이 아니라 학문의 목적이 진리탐구가 되었을 경우에는 그것은 학문 그 자체의 발전을 가져다주고 그것은 결국 인간 사회 전체에 도움이 된다.
3.결론
오늘날 우리의 문화는 전통문화와 많은 단절을 보이고 있지만, 우리문화의 뿌리에는 유학사상과 유교문화가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지금 이 시점에서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양의 사상을 차용할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삶에 녹아있는 유학을 통해서 해결하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노인문제를 해결하는 경우 서양의 사상으로는 노후 대책, 실버타운 건설 등 물질적인 것에만 치우칠 수밖에 없다. 반면 유학의 경우 효(孝)의 개념을 적용하게 되면 물질적인 것뿐만 아니라, 정신적 측면까지 고려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우리의 삶에서 100여년 정도밖에 되지 않은 서양사상보다는 1600년이 넘게 지속된 유학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합하다는 것이다. 최근 새로운 시대의 사상으로서 유학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전근대에서 근대사회를 가는데 서양의 사상이 바탕이 되었다면, 근대사회에서 탈근대로 전환하는 지금 시점에서 유학은 풍부한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토론거리>
1.사단칠정과 같은 논변이 물론 성리학적 인식론의 새로운 지평을 넓혔다는 것과 같은 의의가 있지만 과연 이러한 논변이 필요가 있었던 것일까? 직설적으로 말해 실생활에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 탁상공론에 지나지 않은 것으로 볼 수도 있지 않겠는가? 여러분의 생각은?
2.주자학의 개념적 차원에서 더 정확했던 기대승의 의견에 동의 하는가? 아니면 결론적으로 주자학의 기본이념에 충실했던 이황의 의견에 동의하는가?
3.이황처럼 선과 악은 협력할 수 없는 대응하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가 ?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4.10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25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