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2. 기본이념
3. 의무
4. 정신보건시설
5.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의 수행 등
6. 보호 및 치료
7. 시․도지사에 의한 입원조치의 해제
8. 가퇴원
9. 권익보호 및 지원 등
참고문헌
2. 기본이념
3. 의무
4. 정신보건시설
5.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의 수행 등
6. 보호 및 치료
7. 시․도지사에 의한 입원조치의 해제
8. 가퇴원
9. 권익보호 및 지원 등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다.
7. 시도지사에 의한 입원조치의 해제
① 입원한 자가 입원후 3월이 경과하면 당해 환자에 대한 입원조치를 해제해야 함.
② 2인 이상의 정신과전문의 또는 정신보건심판위원회의 심사결과 당해 정신질환자가 퇴원시 정신질환으로 자신 또는 타인을 해할 위험이 있다고 명백히 인정되는 경우 계속입원일로부터 3월 이내동안 당해인을 계속 입원시킬 수 있다.
③ 환자의 계속입원 시 시도지사는 환자 및 보호의무자에게 사유 및 기간을 서면으로 통지해야 함.
8. 가퇴원
- 일시 퇴원시켜 회복경과의 관찰이 필요하다고 인정 될 때 즉시 퇴원시키고 입원치료를 의뢰한 자에게 통보해야 함.
9. 권익보호 및 지원 등
① 입원금지 등 ② 권익보호 ③ 비밀누설의 금지 ④ 수용금지
⑤ 특수치료의 제한 ⑥ 행동제한의 금지 ⑦ 환자의 격리제한 ⑧ 직업지도 등
⑨ 단체시설의 보호육성 등 ⑩ 경제적 부담의 경감 등
⑪ 비용의 부담 및 징수 ⑫ 보조금 등
참고문헌
김영조 저, 핵심 사회복지법제론, 이데아시티 2014
김진원 저, 집중 사회복지학 핵심요약 암기노트, LEC에듀넷 2014
김경섭, 남성권 외 저, 사회복지법제론, 양서원 2013
박윤영 저, 사회복지법제론, 양서원 2014
7. 시도지사에 의한 입원조치의 해제
① 입원한 자가 입원후 3월이 경과하면 당해 환자에 대한 입원조치를 해제해야 함.
② 2인 이상의 정신과전문의 또는 정신보건심판위원회의 심사결과 당해 정신질환자가 퇴원시 정신질환으로 자신 또는 타인을 해할 위험이 있다고 명백히 인정되는 경우 계속입원일로부터 3월 이내동안 당해인을 계속 입원시킬 수 있다.
③ 환자의 계속입원 시 시도지사는 환자 및 보호의무자에게 사유 및 기간을 서면으로 통지해야 함.
8. 가퇴원
- 일시 퇴원시켜 회복경과의 관찰이 필요하다고 인정 될 때 즉시 퇴원시키고 입원치료를 의뢰한 자에게 통보해야 함.
9. 권익보호 및 지원 등
① 입원금지 등 ② 권익보호 ③ 비밀누설의 금지 ④ 수용금지
⑤ 특수치료의 제한 ⑥ 행동제한의 금지 ⑦ 환자의 격리제한 ⑧ 직업지도 등
⑨ 단체시설의 보호육성 등 ⑩ 경제적 부담의 경감 등
⑪ 비용의 부담 및 징수 ⑫ 보조금 등
참고문헌
김영조 저, 핵심 사회복지법제론, 이데아시티 2014
김진원 저, 집중 사회복지학 핵심요약 암기노트, LEC에듀넷 2014
김경섭, 남성권 외 저, 사회복지법제론, 양서원 2013
박윤영 저, 사회복지법제론, 양서원 2014
추천자료
우리나라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이해(자격조건,직무내용,기능,역할,현황)
도박 중독의 증상과 원인 및 치료와 예방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역할
생태체계이론) 생태체계관점과 생태학이론의 개념과 생태학 환경체계, 생태체계관점과 정신보...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사정분류체계) ICD-10에 따른 정신장애분류와 정신장애진단통계편람에 따...
노숙자 쉼터) 노숙자의 특성 및 유형과 사업내용,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
알코올상담센터 이용대상과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기능
정신보건정책 방향과 정신보건서비스의 효율화 및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과제
정신장애인범죄) 정신장애 범죄인의 특성과 재활의 주요 쟁점 및 정신보건사회복지에서의 과제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실천 대상별 서비스 -아동청소년과 노인의 정신건강
[정신보건사회복지론] 9장 정신사회재활 요약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역할★.
[A+레포트] 정신보건사회복지의 현황과 과제
정신보건사회복지 프로포절, <지적장애인과 함께하는 자전거 여행> 프로그램 사업
(A+ 요점정리,시험대비) [사회복지개론]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의 개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