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재 정리
2. 판소리 악조란?
3. 판소리 유파에 대해서
4. 수용과 비판
2. 판소리 악조란?
3. 판소리 유파에 대해서
4. 수용과 비판
본문내용
화에 밀착시켜 구체화하고 관념적 인과론과의 작품 내의 대결을 통해 표현한다는 점에서 특이한 가치가 있다.
판소리는 어느 것이나 새로운 경제적인 변화를 민감하게 반영하고 있다.
신분제에 입각한 사회질서는 금전적 이해관계 때문에 흔들리며 파괴되고, 신분적 제약에서 벗어나 인간적 해탈을 성취하고자 하는 욕구가 광범위하게 되었다. 군자라는 이름의 이상적 인간이라고 분식되던 양반 지배층이 오히려 추악하게 취급되고 미천한 하층민의 욕구와 주장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춘향가>는 표면적으로는 정절을 고취하나, 기생 춘향과 기생 아닌 춘향의 갈등에서 기생 아닌 춘향이 승리하는 것을 보여 줌으로써 신분적 제약에서 벗어나 인간적 해방을 서우치하자는 주장을 나타내고 있다.
신분적 사회질서를 지탱하고 있던 여러 가지 관념론과 도력률이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음을 명확히 인식하고 새로운 가치관을 모색하고 제시 하는 데서도 판소리는 주목할 만한 구실을 한다.
판소리가 지닌 두 가지 주제, 관념적 인과론과 현실적 합리주의는 작품 속에서 그냥 병존하는 관계는 아니다. 관념적 인과론은 언제나 엄숙하게 역설도나 이와 어긋나는 현실적 합리주의는 풍자와 해학을 통해서 표현된다. 판소리는 관념적 인과론을 표면에 내세우면서도 결과적으로 이를 부정하고 현실적 합리주의를 비난하는 것 같으면서도 사실상 이를 긍정하고 있다.
판소리는 구비문학으로서도 판소리계 소설로 전환되어서도 민족문화의 보람찬 성과의 하나로 높이 평가될 수 있는 확실한 근거를 가지고 있다.
2. 판소리의 악조
판소리의 조에는 우조(羽調), 계면조(界面調), 평조(平調)의 세 가지가 있다. 이 중 우조와 계면조가 판소리의 양대 악조에 속하고 우조와 계면조의 중간에 평조가 존재한다.
우조(羽調)는 가곡, 시조와 같은 정악의 선율을 판소리에서 사용한 것을 일컫는다. 웅장하고 호탕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남성답고 호기 넘치는 장면에서 사용한다.
춘향가에서 이몽룡의 사랑가, 변학도가 남원으로 행차하는 신년맞이, 적벽가에서 유비와 관운장과 장비의 풍채를 그리는 대목과 같이 장엄하고 남성적인 일이 벌어지거나 그러한 정경을 그리는 대목에 쓰이는 것을 볼 수 있다.
계면조(界面調)는 슬프고 애절한 느낌을 주는 악조이다.
춘향가에서 춘향이가 옥중에서 슬퍼 탄식하는 옥중가, 적벽가에서 군사들이 고향을 생각하고 슬퍼하는 군사설음, 심청가에서 심청이가 죽으러 가기 전날밤에 밤을 새며 탄식하는 대목과 같이 슬픈 일이 벌어지는 대목에 흔히 쓰인다.
평조(平調)는 역시 정악의 영향을 받은 음악으로 서양의 계이름으로 치면 레-미-솔-라-도의 음계를 지니고 있다.
춘향가에서 이몽룡이 글을 쓰는 천자풀이, 심청가에서 천자가 정원에서 온갖 꽃을 심어 놓고 즐기는 화초타령과 같이 맑고 명랑한 대목에 흔히 쓰인다.
이 밖에도 경드름, 반드름, 권제, 석화제 등이 있다.
3. 판소리 유파
판소리가 전승되면서 전승 계보에 따라 음악적 특성에 차이가 생기게 되었는데, 이를 '제(制)', '소릿제'라 한다.
크게 섬진강을 중심으로 동쪽지역(전라도 동북 지역)의 소리인 동편제(東便制)와 섬진강 서쪽 지역(전라도 서남 지역)의 소리인 서편제(西便制) 그리고 경기도와 충청도 지역에서 불리는 소리인 중고제(中高制)로 구분된다.
동편제는 장단도 길게 빼지 않고 짧게 그리고 분명히 끊어지며 리듬 또한 단조로우며 담백한 맛이 있다.
서편제는 남성적인 동편제 소리와는 달리 애절하며 섬세하여 여성적인 면이 있는 소리다. 동편제의 무뚝한 맛과는 달리 서편제는 수식과 기교가 많아 자상하며 듣는 사람의 애간장을 녹이는 듯한 감상적인 면이 강조되는 소리이다.
중고제는 동편제와 서편제의 절충형인 듯하나, 서편제보다 동편제 소리에 가깝다.
이밖에 서편제의 분파로 볼 수 있는 강산제와 호걸제, 석화제, 경드름제 등이 있다.
4. 수용과 비판
우리에게 다른 어떤 문학보다도 구비문학은 친숙하게 다가온다. 자라면서 자주 접하고 배워왔던 탓도 있겠지만 민중의 뜻을 잘 담고 있다는 그 특색 때문인지 거리감 없이 느껴진다. 그 중 판소리는 옛 우리 민중들의 마음을 속 시원히 풀어내주며 어르고 달랜다는 느낌이 강하게 드는 문학이다. 간혹 판소리 무대를 tv에서 볼 때 큰 무대 위에 조촐히 북과 고수 그리고 광대 이 셋만이 단촐하게 올라 공연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간소함을 떠나 왜소해 보이기 까지 하는 구성이지만 그 모습에서 큰 에너지가 느껴진다. 우리 민중들은 그 소리로 마음 속 깊은 한과 울분을 웃음과 눈물로 날려버렸을 것이다.
이번 판소리 부분의 리포트를 쓰면서 자료를 찾고 교재를 요약하는 과정에서 신재효라는 인물의 이름이 자주 거론되어왔다. 신재효는 전문적인 판소리 광대도 아니지만 19세기의 판소리계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이다. 그는 판소리 교육을 집단적으로 실시하고 정확한 장단과 창조를 재구성하였다. 하지만 그는 판소리에 짙은 민중적 요소를 양반적 요소로 바꾸면서 양반층의 요구에 수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는 자신이 지향하는 양반적요소를 판소리에 개입시킴으로서 민중의 한과 얼을 풀어주는 판소리의 매력을 반감시켰다고 생각된다. 물론 양반적 요소와 민중적 요소가 결합되어 두 계층이 조화롭게 수용할 수 있다면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 낸 거 겠지만 일반 민중과 양반과의 사이는 조화가 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기득권층인 양반이 얻는 많은 혜택과 일반 백성들이 겪는 차별등이 없어진 상태가 되야 할 것이다. 하지만 그렇지 못한 상태에서 이러한 판소리의 변화는 민중들의 향유 문학을 양반들의 입맛에 맞게 바꾼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신재효는 판소리에서 비현실적이고 불합리한 요소를 제거하고 현실성 있게 개작하였다. 이것은 문학적으로 본다면 긍정적일 수 있을지 몰라도 판소리의 다른 분야와 차별되는 멋을 없앤 것이라 생각된다.
판소리는 다른 구비문학처럼 아주 오랜 세월 동안 전해내려 온 것은 아니지만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민중의 생활 전반에 크게 자리잡은 문학이다. 연극도 좋고 뮤지컬도 좋지만 우리 고유의 소리인 판소리를 자주 듣고 접하는 것도 좋은 문화생활이 될 듯 싶다.
판소리는 어느 것이나 새로운 경제적인 변화를 민감하게 반영하고 있다.
신분제에 입각한 사회질서는 금전적 이해관계 때문에 흔들리며 파괴되고, 신분적 제약에서 벗어나 인간적 해탈을 성취하고자 하는 욕구가 광범위하게 되었다. 군자라는 이름의 이상적 인간이라고 분식되던 양반 지배층이 오히려 추악하게 취급되고 미천한 하층민의 욕구와 주장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춘향가>는 표면적으로는 정절을 고취하나, 기생 춘향과 기생 아닌 춘향의 갈등에서 기생 아닌 춘향이 승리하는 것을 보여 줌으로써 신분적 제약에서 벗어나 인간적 해방을 서우치하자는 주장을 나타내고 있다.
신분적 사회질서를 지탱하고 있던 여러 가지 관념론과 도력률이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음을 명확히 인식하고 새로운 가치관을 모색하고 제시 하는 데서도 판소리는 주목할 만한 구실을 한다.
판소리가 지닌 두 가지 주제, 관념적 인과론과 현실적 합리주의는 작품 속에서 그냥 병존하는 관계는 아니다. 관념적 인과론은 언제나 엄숙하게 역설도나 이와 어긋나는 현실적 합리주의는 풍자와 해학을 통해서 표현된다. 판소리는 관념적 인과론을 표면에 내세우면서도 결과적으로 이를 부정하고 현실적 합리주의를 비난하는 것 같으면서도 사실상 이를 긍정하고 있다.
판소리는 구비문학으로서도 판소리계 소설로 전환되어서도 민족문화의 보람찬 성과의 하나로 높이 평가될 수 있는 확실한 근거를 가지고 있다.
2. 판소리의 악조
판소리의 조에는 우조(羽調), 계면조(界面調), 평조(平調)의 세 가지가 있다. 이 중 우조와 계면조가 판소리의 양대 악조에 속하고 우조와 계면조의 중간에 평조가 존재한다.
우조(羽調)는 가곡, 시조와 같은 정악의 선율을 판소리에서 사용한 것을 일컫는다. 웅장하고 호탕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남성답고 호기 넘치는 장면에서 사용한다.
춘향가에서 이몽룡의 사랑가, 변학도가 남원으로 행차하는 신년맞이, 적벽가에서 유비와 관운장과 장비의 풍채를 그리는 대목과 같이 장엄하고 남성적인 일이 벌어지거나 그러한 정경을 그리는 대목에 쓰이는 것을 볼 수 있다.
계면조(界面調)는 슬프고 애절한 느낌을 주는 악조이다.
춘향가에서 춘향이가 옥중에서 슬퍼 탄식하는 옥중가, 적벽가에서 군사들이 고향을 생각하고 슬퍼하는 군사설음, 심청가에서 심청이가 죽으러 가기 전날밤에 밤을 새며 탄식하는 대목과 같이 슬픈 일이 벌어지는 대목에 흔히 쓰인다.
평조(平調)는 역시 정악의 영향을 받은 음악으로 서양의 계이름으로 치면 레-미-솔-라-도의 음계를 지니고 있다.
춘향가에서 이몽룡이 글을 쓰는 천자풀이, 심청가에서 천자가 정원에서 온갖 꽃을 심어 놓고 즐기는 화초타령과 같이 맑고 명랑한 대목에 흔히 쓰인다.
이 밖에도 경드름, 반드름, 권제, 석화제 등이 있다.
3. 판소리 유파
판소리가 전승되면서 전승 계보에 따라 음악적 특성에 차이가 생기게 되었는데, 이를 '제(制)', '소릿제'라 한다.
크게 섬진강을 중심으로 동쪽지역(전라도 동북 지역)의 소리인 동편제(東便制)와 섬진강 서쪽 지역(전라도 서남 지역)의 소리인 서편제(西便制) 그리고 경기도와 충청도 지역에서 불리는 소리인 중고제(中高制)로 구분된다.
동편제는 장단도 길게 빼지 않고 짧게 그리고 분명히 끊어지며 리듬 또한 단조로우며 담백한 맛이 있다.
서편제는 남성적인 동편제 소리와는 달리 애절하며 섬세하여 여성적인 면이 있는 소리다. 동편제의 무뚝한 맛과는 달리 서편제는 수식과 기교가 많아 자상하며 듣는 사람의 애간장을 녹이는 듯한 감상적인 면이 강조되는 소리이다.
중고제는 동편제와 서편제의 절충형인 듯하나, 서편제보다 동편제 소리에 가깝다.
이밖에 서편제의 분파로 볼 수 있는 강산제와 호걸제, 석화제, 경드름제 등이 있다.
4. 수용과 비판
우리에게 다른 어떤 문학보다도 구비문학은 친숙하게 다가온다. 자라면서 자주 접하고 배워왔던 탓도 있겠지만 민중의 뜻을 잘 담고 있다는 그 특색 때문인지 거리감 없이 느껴진다. 그 중 판소리는 옛 우리 민중들의 마음을 속 시원히 풀어내주며 어르고 달랜다는 느낌이 강하게 드는 문학이다. 간혹 판소리 무대를 tv에서 볼 때 큰 무대 위에 조촐히 북과 고수 그리고 광대 이 셋만이 단촐하게 올라 공연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간소함을 떠나 왜소해 보이기 까지 하는 구성이지만 그 모습에서 큰 에너지가 느껴진다. 우리 민중들은 그 소리로 마음 속 깊은 한과 울분을 웃음과 눈물로 날려버렸을 것이다.
이번 판소리 부분의 리포트를 쓰면서 자료를 찾고 교재를 요약하는 과정에서 신재효라는 인물의 이름이 자주 거론되어왔다. 신재효는 전문적인 판소리 광대도 아니지만 19세기의 판소리계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이다. 그는 판소리 교육을 집단적으로 실시하고 정확한 장단과 창조를 재구성하였다. 하지만 그는 판소리에 짙은 민중적 요소를 양반적 요소로 바꾸면서 양반층의 요구에 수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는 자신이 지향하는 양반적요소를 판소리에 개입시킴으로서 민중의 한과 얼을 풀어주는 판소리의 매력을 반감시켰다고 생각된다. 물론 양반적 요소와 민중적 요소가 결합되어 두 계층이 조화롭게 수용할 수 있다면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 낸 거 겠지만 일반 민중과 양반과의 사이는 조화가 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기득권층인 양반이 얻는 많은 혜택과 일반 백성들이 겪는 차별등이 없어진 상태가 되야 할 것이다. 하지만 그렇지 못한 상태에서 이러한 판소리의 변화는 민중들의 향유 문학을 양반들의 입맛에 맞게 바꾼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신재효는 판소리에서 비현실적이고 불합리한 요소를 제거하고 현실성 있게 개작하였다. 이것은 문학적으로 본다면 긍정적일 수 있을지 몰라도 판소리의 다른 분야와 차별되는 멋을 없앤 것이라 생각된다.
판소리는 다른 구비문학처럼 아주 오랜 세월 동안 전해내려 온 것은 아니지만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민중의 생활 전반에 크게 자리잡은 문학이다. 연극도 좋고 뮤지컬도 좋지만 우리 고유의 소리인 판소리를 자주 듣고 접하는 것도 좋은 문화생활이 될 듯 싶다.
추천자료
판소리의 올바른 이해
빈곤의 개념, 정의와 더불어 이에 대한 포괄적인 통계, 조사 분석 내용을 통해 현재 우리나라...
[전통문화의이해] 창작판소리의 의미와 현대적 의의 및 판소리감상문
판소리, 판소리 감상문, 음악감상문, 음악감상문판소리, 판소리감상문
지질과 야외지질 현장자료 개발, 지질과 지질조사, 지질과 초등학교야외지질학습, 지질의 구...
진에어 (JinAir) Fly High Like a Butterfly (lcc, swot분석, 시장조사, 경쟁사, 시장환경, ...
한국화장품산업-아모레퍼시픽,내수시장조사,국내화장품시장,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
판소리 자료모음 (판소리의 개념, 판소리의 기원설, 판소리의 형성과 전개, 판소리의 구성, ...
[교육사회학]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사하여 ...
[학교폭력예방의이론과실제] 1. 학교폭력의 원인과 결과에 대해서 분석. 2. 국내 학교폭력 예...
(언어와생활 공통)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
본인이 속해있는 공동체(회사의 팀, 동호회 등)를 통해 얻고자하는 정보를 결정하고 설문문항...
[학교폭력예방및학생의이해] 1. 학교폭력의 특성 및 원인과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 서술. 2. ...
[사회복지 자료 분석론] 경북대학교 학생들의 IT교육센터 이용실태와 만족도 조사 [ IT교육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