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9건

판소리는 구비문학으로서도 판소리계 소설로 전환되어서도 민족문화의 보람찬 성과의 하나로 높이 평가될 수 있는 확실한 근거를 가지고 있다. 2. 판소리의 악조 판소리의 조에는 우조(羽調), 계면조(界面調), 평조(平調)의 세 가지가 있다.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4.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판소리의 조는 음계론으로는 설명이 불분명하며, 곡의 스타일, 사설내용, key 등을 종합적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2) 장단 판소리에 쓰이는 장단은 진양, 중몰이, 중중몰이, 잦은몰이, 휘몰이, 엇몰이, 엇중모리 등이 있다. 이 장단들은 판소리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03.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판소리, 백대웅, 1996, 어울림 한국의 판소리문화, 국제문화재단편, 2003, 박이정 *목 차 1.판소리 유파( 동편제, 서편제, 중고제 ) ‘제’가 포괄하는 작은범주 1). 더늠 2). 바디(=판) 3). 악조 2.신재효의 소리꾼이 갖출 조건 3. 명창이 되기 위한 필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10.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판소리와 장단, 서울 아트 스페이스, 1992 - 반혜성, 전통음악 이론, 두남 출판사, 1999 - 임수철, O.K국악, 작은 우리, 1993 - 이성철, 국악 개론, 풍남, 1995 - 정병욱, 한국의 판소리, 집문당, 1996 - 최동형, 판소리란 무엇인가, 에디터 - 한국음악, 전통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0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판소리와 한국 문화』, 역락, 2002. 1. 판소리의 정의 2. 판소리의 명칭과 기원 3. 판소리의 역사적 전개 (1) 형성발전기 (17~18세기) (2) 전성기 (19세기) (3) 쇠퇴기 (20세기) 4. 판소리의 음악적 구성요소 (1) 성음(聲音) (2) 악조(樂調) (3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