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11건

악\" 이론과 실천사, 1988 김영송, \"PHONETIX 부산대학교, 1986 Ⅰ. 머릿글 Ⅱ. 왜곡된 한국음악 인식론 Ⅲ. 한국음악의 분류 1. 정악(正樂) 가. 제례악(祭禮樂) 나. 연례악(宴禮樂) 다. 행악(行樂) 라. 기악(器樂) 마. 성악(聖樂) 2. 민속(民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03.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악, 전통음악 연구회, 1981 Ⅰ. 정악과 민속악 1. 정악 1) 도드리(환입:還入) 2) 영산회상 3) 천년만세 4) 취타(만파정식지곡) 6) 수제천 7) 보허자, 낙양춘 2. 민속악 1) 시나위 2) 산조 Ⅱ. 문묘제례악(文廟祭禮樂) 1. 역사 1) 문묘제례 2)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0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1. 들어가면서 정악은 중국 송나라에서 고려로 들여온 궁중제례악을 조선 세종 때 악성 박연을 통해 정비하여 여러 악기의 화음을 중요시하고, 안정감 있는 리듬과 최소한의 가락 변동을 통해 왕실의 체계와 권위, 규율을 상징하는 음악으로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8.03.13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정악은 아래 글에서 설명한 아악, 당악, 향악, 즉 궁정이나 지식 계급에서 쓰던 음악을 가리킨다. 정악에는 <문묘제례악> 을 비롯하여 <종묘제례악> <경모궁제례악> 등 제례악과 <여민락> <낙양춘> <보허자> <취타>
  • 페이지 3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6.22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악곡은 무엇인가? 긴 이야기를 한 사람의 소리꾼이 북 장단에 맞추어, “소리”, “아니리”, “발림”을 섞어 엮어나가는 음악이다. ① 정악② 범패③ 판소리 ④ 향가⑤ 제례악 10중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⑤ ② ③ ④ ③ ③ ⑤ ③ ④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