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46건

정악은 아래 글에서 설명한 아악, 당악, 향악, 즉 궁정이나 지식 계급에서 쓰던 음악을 가리킨다. 정악에는 <문묘제례악> 을 비롯하여 <종묘제례악> <경모궁제례악> 등 제례악과 <여민락> <낙양춘> <보허자> <취타>
  • 페이지 3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6.22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문묘 제례악의 등가에 편성되어 음악의 시작(한 번)과 끝날 때(세 번) 또는 중간에 치기도 한다. 요즘도 제례악에 주로 사용되고 치는 법도 종묘악이나 문묘악의 구분 없이 같다. - 진고 (晋鼓) 가장 큰 북으로서, 네 기둥 위에 횡목을 가로지른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03.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거문고의 육보와 합자보가 기보, 영조때의 악보로 추정 - 『대악전보』와 『대악후보』: 대악전보는 세종 때의 악보를 기록, 대악후보는 세 조 때의 음악 실음 5-2. 민족수난기의 음악 (1) 궁중음악의 변천 +- 종묘제례악과 문묘제례악 : 조선조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문묘제례악, 종묘제례악, 경모궁제례악, 수제천, 동동, 여민락, 보허자, 수연장 지곡, 취타 등 정악: 영산회상, 천년만세, 여러가지 가곡, 가사, 시조들 향악: 문묘제례악 등 몇가지 중국음악 외 모든 음악 영산회상(靈山會相) -민속악 음악 민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문묘제례악 도표를 보면 악학궤범과 달리 편성됐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등가에서 노래[歌]가 빠지고, 헌가에서 관(管)이 빠졌다. ⇒ 현재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을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시용등가(時用登歌)와 시용헌가(時用軒架) ⇒ 성종조, 악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