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와 과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와 과학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영화와 과학



(1) 지구과학을 다룬 영화에는 태양계의 행성이나 운석충돌 가능성을 다룬 영화, 우주탐사선에 관한 영화가 있다(ex. 토탈리콜, 딥임팩트, 아마겟돈, 아폴로13...)
◎토탈리콜
◎미션투 mars
◎딥 임픽트, 아마겟돈
◎아폴로13

(2) 카오스에 관한 영화로는 주로 자연재난에 관한 영화가 있다(ex.트위스터, 볼케이노, 쥬라기 공원...)
◎트위스터
◎쥬라기 공원

(3) 물리를 다룬 영화에는 터미네이터, 매트릭스, 마이너리티 리포트 등이 있다.
◎터미네이터 시리즈
◎매트릭스

(4) 생물을 다룬 영화에는 데몰리션맨, 저지드래드 등이 있다.
◎데몰리션맨
◎저지 드레드

(5) 화학을 다룬 영화에는 화성침공, X-MAN이 있다
◎화성침공
◎X-MAN

★결론

본문내용

가하면 기화하여 기체가 된다. 반대로 기체를 냉각하면 액화하여 액체가 되며, 액체를 냉각하면, 응고되어 고체가 된다. 또한 기체와 고체는 승화하여 상태 변화를 하게된다. 상태 변화를 하여도 물질의 성질은 변하지 않으며 다만 상태(부피와 모양과 같은)만 바뀌게 된다.
★결론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과학적인 지식은 영화의 소재로서 훌륭히 사용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분명 영화의 소재에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다. 영화는 과학의 결정체라고 할 만큼 과학기술적인 측면에서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또한 미래의 일어날 수 있는 사건을 영화화함으로써 과학계에도 영화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상으로만 여기던 일들이 영화 속에서 영감을 얻어 연구 방향을 잡아 준다거나 하는 영향을 주었다.
※카오스(Chaos) : 그리스인(人)의 우주개벽설(kosmogonia)에서 만물발생 이전의 원초상태.
여기서 모든 것이 생겼다고 생각하였다. 혼돈(混沌)이라고 번역되는 경우가 많으나, 원뜻은 입을 벌리다(chainein)로, 이것이 명사화하여 캄캄한 텅빈 공간을 의미하게 되었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神統記)》에서는 여기에서 암흑과 밤이 생겼다고 한다. 또한 오비디우스는 만물의 모든 가능성을 숨긴 종자(semina)의 혼합된 것으로 보았다. 이와 같은 신화적 카오스에 비해, 논리적 원리(arch)로서의 자연(physis)을 거론한 데서부터 이오니아 자연철학의 우주론(kosmologia)이 시작되었다.
※미국항공우주국(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 미국의 비군사적 우주개발 활동의 주체가 되는 정부기관.
구분 : 연구기관
설립연도 : 1958년
소재지 : 미국 워싱턴
설립목적 : 우주개발 관할, 종합적인 우주계획 추진
주요업무 : 항공우주 활동의 기획지도실시
약칭은 NASA이다. 1915년에 설립된 NACA(National Advisory Committee for Aeronautics : 미국항공자문위원회)를 1958년에 개편하여 창설하였다. 대통령 직속기관으로, 국방총부 관계를 제외한 모든 우주개발을 관할하고 종합적인 우주계획을 추진한다. 임무는 항공우주 활동 기획지도실시, 항공우주 비행체를 이용한 과학적 측정과 관측 실시 및 준비, 정보의 홍보활동 등이다. 산하에 많은 연구소를 두고 있으며, 미국 내에 본부와 17개의 시설, 세계 각국에 40개의 추적소가 있다. 기관으로는 장비 개발을 담당하는 항공우주기술부, 우주와 태양계 및 지구의 기원구조진화를 다루는 우주과학 및 응용부, 유인무인 우주수송과 우주왕복선 관련 사항을 다루는 우주비행부, 추적자료수집을 담당하는 우주추적 및 자료부, 유인 우주정거장 건설에 관한 장기계획을 관리하는 우주정거장부의 5개 부서가 있다. 1969년 달 착륙을 실현한 아폴로계획도 이곳에서 추진하였다. 아폴로계획은 1972년 아폴로 17호까지 모두 6회에 걸쳐 달에 착륙하는 데 성공하였다. 그후 유인우주선으로 지구 주위 궤도에서 과학실험을 하는 스카이래브계획을 실시하였고, 현재 우주왕복선을 중심으로 우주개발에 힘쓰며 대규모 우주정거장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케이프내버럴 발사기지, 휴스턴의 유인우주비행 센터도 관리한다. 메릴랜드주 그린벨트의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의 제트추진연구소, 텍사스주 휴스턴의 존슨우주센터, 버지니아주 햄프턴의 랭글리연구센터 등의 산하기관이 있다. 본부는 미국 워싱턴에 있다.
※관성의 법칙 : 외부로부터의 힘의 작용이 없으면 물체의 운동상태는 변하지 않는다는 법칙이다. 물체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정지한 채로 있거나 등속도 운동을 계속한다.
※크레이터(Crater) : 달과 같은 위성이나 화성 같은 행성 표면에 널려 있는 크고 작은 구멍.
달의 크레이터는 지름 200km를 넘는 거대한 것부터 지름 수 cm의 미소한 것까지 있는데, 지름 1km 이상인 것만도 수십만 개를 웃돈다고 한다. 생성 원인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두 학설이 대립해왔는데, 그 하나는 달의 화산이 분화한 자국이라는 화산설이고, 다른 하나는 달이 만들어져 굳어질 때 우주공간을 떠돌아다니던 운석(隕石)이 대기가 없는 달 표면에 낙하하여 생긴 것이라는 운석설이다.
실제로 달의 크레이터들은 지구에 있는 애리조나운석공과 그 지름과 깊이와의 관계가 매우 비슷하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운석 화산 내부가스의 분출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의 매리너 4호 6호 7호가 촬영한 화성(火星)의 사진에서도 달표면과 같은 크레이터가 수없이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지놈(또는 게놈)(Genome) : 배우자(정자 및 난자)에 포함되어 있는 염색체 또는 유전자의 전체
※그레이엄의 법칙(Graham's law) : 1831년 영국의 화학자 T.그레이엄이 발표한 기체확 산에 관한 법칙.
일정한 온도와 압력 상태에서 기체의 확산 속도는 그 기체 분자량의 제곱근(밀도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는 법칙이다. 같은 온도에서 기체 분자의 운동에너지는 그 종류와는 관계없이 일정하므로 가벼운 분자는 빨리 움직이고, 무거운 분자는 느리게 운동한다. 온도가 같으므로 그들의 평균 분자 운동에너지는 같다.
곧, 용기 안에 있는 등온 등압의 기체가 용기 벽에 뚫린 작은 구멍을 통해 유출할 때, 그 속도는 기체 밀도의 제곱근에 반비례하고, 용기 내외의 압력차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또한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량의 기체 분자가 용기의 벽에 자주 부딪치므로 단위 시간당 충돌 횟수가 증가하여 압력이 커진다. 또한, 이 법칙은 기체나 액체의 확산현상에도 적용되어, 기체 및 액체가 확산하는 속도는 그 분자량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는 법칙으로도 설명할 수 있다.
---------------참고---------------
http://www.lovearth.pe.kr/
http://members.tripod.lycos.co.kr/yunju/
http://ilshin.xhtm.net/ygury/sf.htm
http://user.chol.com/~nettrek/index1.htm
http://www.naver.com
  • 가격1,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4.04.11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27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