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토질역학 실험 - 흙의 비중 시험(KS F 2308)
◎ 실험의 개요
◎ 목적
◎ 기구 및 재료
◎ 시험 방법
◎ 실험시 유의 사항
◎ 계산
◎ 결과의 이용
◎ 참고문헌
◎ 실험의 개요
◎ 목적
◎ 기구 및 재료
◎ 시험 방법
◎ 실험시 유의 사항
◎ 계산
◎ 결과의 이용
◎ 참고문헌
본문내용
Tx : Wb를 측정할 때의 피크노미터의 내용물의 온도(℃)
특별이 저정하지는 않는 한 비중은 15℃의 물에 대한 값으로 표시한다. 15℃물에 대한 흙의 비중은 다음식에 따라 계산한다.
-k : 수정계수 Tx 온도일 때 물의 비중을 15℃의 물의 비중으 로 나눈값
4℃의 물에 대한 비중을 구할 필요가 있을 때는 온도 Tx에 있어서의 비중에 온도 Tx에서의 물의 비중을 곱하여 얻는다.
◎ 결과의 이용
흙의 비중
흙의 종류
비 중
무거운 광물을 함유하는 흙
3.10
점 토
2.65~2.75
사 질 토
2.55~2.65
유기질을 함유하는 점토
2.40~2.50
흙입자의 비중은 온도에 의하여 다른값을 취하고 흙입자 자신의 온도 변화에 의한 체적변화는 보통 무시되어지나 물의 체적변화가 상당히 비중에 영향을 미친다.
(공극비) e =
-rw : 물의 단위체적 중량(t/㎥)
-rs : 흙입자의 단위 체적중량(t/㎥)
-Gs : 흙입자의 비중
(포화도) Sr =
- W : 함수비
수축한계 시험의 방법에 따라 비중을 구할 수 있다.
Gs =
- R : 수축비
- Ws : 수축한계(%)
흙의 다짐 정도를 알기 위해서 포화도 일정곡선, 영공기 공극공선, 공기공극의 일정곡선에 필요한 건조밀도의 계산을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토질 공학, 세진사, 이재헌
토질 공학, 기문당, 이종규
지반 공학 시험, 세진사, 송용선
http://www.changwon.ac.kr/~geotech/bijung.htm, 피크노미터의 검정 그림 참고
http://www.kdu.co.kr, 피크노미터 시험기구 그림 참고
특별이 저정하지는 않는 한 비중은 15℃의 물에 대한 값으로 표시한다. 15℃물에 대한 흙의 비중은 다음식에 따라 계산한다.
-k : 수정계수 Tx 온도일 때 물의 비중을 15℃의 물의 비중으 로 나눈값
4℃의 물에 대한 비중을 구할 필요가 있을 때는 온도 Tx에 있어서의 비중에 온도 Tx에서의 물의 비중을 곱하여 얻는다.
◎ 결과의 이용
흙의 비중
흙의 종류
비 중
무거운 광물을 함유하는 흙
3.10
점 토
2.65~2.75
사 질 토
2.55~2.65
유기질을 함유하는 점토
2.40~2.50
흙입자의 비중은 온도에 의하여 다른값을 취하고 흙입자 자신의 온도 변화에 의한 체적변화는 보통 무시되어지나 물의 체적변화가 상당히 비중에 영향을 미친다.
(공극비) e =
-rw : 물의 단위체적 중량(t/㎥)
-rs : 흙입자의 단위 체적중량(t/㎥)
-Gs : 흙입자의 비중
(포화도) Sr =
- W : 함수비
수축한계 시험의 방법에 따라 비중을 구할 수 있다.
Gs =
- R : 수축비
- Ws : 수축한계(%)
흙의 다짐 정도를 알기 위해서 포화도 일정곡선, 영공기 공극공선, 공기공극의 일정곡선에 필요한 건조밀도의 계산을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토질 공학, 세진사, 이재헌
토질 공학, 기문당, 이종규
지반 공학 시험, 세진사, 송용선
http://www.changwon.ac.kr/~geotech/bijung.htm, 피크노미터의 검정 그림 참고
http://www.kdu.co.kr, 피크노미터 시험기구 그림 참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