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중시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중시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요

2. 시험 기구

3. 시험 방법

4. 결과 정리

5. 고찰 및 토의

6. 결과의 이용

7. 주의사항

8. 참고사항

본문내용

.13
143.16
148.21
147.81
146.96
148.68
비중병+증류수
무게
147.22
143.24
148.30
147.90
147.05
148.77
온도
6
6
6
6
6
6
0.999968
0.999968
0.999968
0.999968
0.999968
0.999968
시료
공기중 무게
25.02
25.05
24.88
25.04
25.03
24.98
비중
표준온도
각 비중병
2.71
2.70
2.72
2.70
2.70
2.72
평균
2.71
비고
5. 고찰 및 토의
정교한 시험작업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흙과 물의 종류에 따라서 재시험을 수차례 반복한 시험이었다. 흙을 가열할 때 흙이 넘쳐흘러 재시험하고 작은 물방울하나가 튀어나와도 재시험을 하였다. 비교적 쉬운 시험으로 치부하고 시험에 임했던 자세부터가 잘못 된 듯 싶다.
조원모두가 이대로는 아니다 싶어 하루 이틀 시행착오를 반복하다 결국은 흙을 가열하는 단계는 통과하였다. 다행히 결과 값도 평균치가 나와서 만족스럽다.
이번 실험으로 흙을 막연히 흙이라는 개념이 아닌 나에게는 하나의 유기체라고 받아들이게 됐다.
응용토질역학의 비중파트는 시험을 통해 여러 번 시행착오를 겪은 만큼 내 기억에 깊숙이 자리 잡혔다. 쉽게만 얻으려는 지금까지의 내 모습에서 실패하고 수번을 다시 한 끝에 얻어낸 2.71이라는 숫자가 나에게는 정말 값진 숫자가 아닐 수 없다.
6. 결과의 이용
흙의 기본적인 성질인 간극비, 포화도 및 단위중량의 계산에 이용된다.
(1) 간극비(Void ratio) :
간극의 부피와 흙입자의 부피의 비를 의미하며 식(4.8)과 같다.
(4.8)
(2) 간극률(Porosity) :
간극의 부피와 전체 흙 부피의 비를 의미하며 식(4.9)와 같다.
(4.9)
간극비와 간극률 사이의 관계는 식(4.10)과 식(4.1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10)
(4.11)
(3) 포화도(Dregee of saturation) :
흙의 간극중 물이 차지하고 있는 정도 나타내며 S=0일 경우는 간극에 물이 전혀 없이 공기만으로 채워진 것을 의미하고 S=100일 경우는 간극 전체가 물로 채워져 있음을 나타내며 지하수 아래의 흙이 이러한 경우에 해당된다. 포화도는 식(4.12)와 같다.
(4.12)
(4) 단위중량(unit weight)
흙의 단위중량에 대한 무게를 의미하며 토질공학에서는 흙의 단위중량 측정상태에 따라 습윤단위중량, 포화단위중량, 건조단위중량, 수중단위중량으로 나타낼 수 있다.
① 습윤 단위중량(moist unit weight) :
단위체적당 흙의 무게를 의미하며 식(4.13)와 같다.
(4.13)
② 포화 단위중량(saturated unit weight) :
흙이 완전히 포화되었을 때의 단위중량(S=100%)으로 식(4.14)와 같다.
(4.14)
③ 건조 단위중량(dry unit weight) :
흙이 완전히 건조되었을 때의 단위중량으로 식(4.15)와 같다.
(4.15)
④ 수중 단위중량(Submerged unit weight) :
포화 단위중량에서 부력을 감한 단위중량을 나타내며 식(4.16)와 같다.
(4.16)
7. 주의사항
(1) 시료는 될 수 있는 대로 노건조 시료의 사용을 피하고 습한 상태의 시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비중병의 검정 온도와 내용물의 온도를 일치시키도록 하는 것이 오차를 줄일 수 있다.
(3) 계산지에 동일 비중병을 이용하여 측정을 반복할 때는 여러 종류의 온도에 대하여 의 환산표를 준비하여 두면 계산이 편이하다.
(4) 기포 제거를 위하여 끓는 시간은 10분 이상이라 규정되어 있지만 실험에 의하면 모래는 2~3시간 흙에 따라서는 10시간이상의 시간이 경과하지 않으면 측정값이 낮게 나오는 경우도 있다.
8. 참고사항
(1) 흙의 비중은 흙입자를 구성하는 광물조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유기물을 많이 함유하는 경우 작게 나타난다. 표 4.3에 일반적인 흙을 구성하는 광물 및 이탄의 대략적인 비중을 나타내었다.
(2) 흙입자의 비중은 수축한계 실험결과 얻어진 수축비에 의하여 식(4.17)과 같이 근사적으로 얻을 수 있다.
(4.17)
여기서 : 흙입자의 비중
: 수축비
: 수축한계(%)
표 4.3 주요광물의 비중
광물의 종류
비중
조암광물
석영
2.65
2.60~2.80
정장석
2.57
사장석
2.62~2.76
점토광물
카올리나이트
2.60
2.80~2.90
몬모릴로나이트
2.65~2.8
일라이트
2.8
이 탄
1.40~2.60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3.17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13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