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2mm이상)
1)각 체의잔류무게를 투입한 시료의본래 무게로 나누어 잔류율을 결정한다.
잔류율 =
{ 키져잎 } over { 힝큠킹퍅쥣샐 }
100[%]
2)통과율은 100%에서 잔류율을 빼서 구한다.
통과율 = 100 - 잔류율 [%]
체분석과 비중계분석을 병행하였을 경우에는 중량백분율을 다음과 같이 수정하여야 한다.
P' =
{ W_{ 1 } } over { W_{ S } P }
=
{ No.200퍅홋섶취쟬큠쥣샐 } over { 킹퍅삿탉취쟬큠쥣샐 }
입자의 중량 백분율
여기서, W1: No.200체를 통과한 건조 시료의 무게 [gf]
Ws:전체 건조시료의 무게 [gf]
P: 입자의 중량 백분율 [%]
P': 수정한 중량백분율 [%]
비중계시험 결과의 정리
1) 비중계의 유효깊이
L = Z-Vb/2A = L1+0.5(L2-Vb/A) [cm]
여기서, Z:비중계를 읽은 값의 현탁액의 깊이(침강 깊이) [cm]
L1:현탁액 수면에서 비중계 구부위끝까지의 거리 [cm]
L2:비중계 구부의 길이 [cm]
Vb:비중계 구부의 부피 [cm3]
A:메스실린더의 단면적[cm2]
2)현탁액 중에 있는 흙입자의 최대직경
D =
{ 30 prime } over { 980(G_{ s } |G_{ W } ) }
{ L } over { T }
[mm]
여기서, D:흙 입자으 최대지름
:물의 점성계수[Poise](표-2.8)
L:유효깊이(흙입자가 일정한 시간 동안에 침강한 거리)
T:침강시간[분]
GS:흙입자의 비중
GW:물의 비중
3)현탁액 중에 있는 흙의 중량 백분율
비중계의 각 측정치에 대해서 유효깊이 L일 때 1㎖중에 현탁되어 있는 흙의 중량 백분율은 다음 식으로 구한다.
P (%) =
{ 100 } over { W }
{ G_{ S } } over { G_{ S } |G_{ W } }
( ' + F + Cm)
여기서, P:현탁되어 있는 흙의 노건조 중량백분율[%]
W:현탁액 1㎖에 들어 있는 시료의 건조중량
':비중계 측정치의 소수부분(메니스커스에 대해 보정한 것)
'= - w+Cm
F:온도에 대한 보정계수
Cm:메니스커스 보정(0.5)
4)전체 시료에 대한 흙의 중량 백분율
{ 100|No.10퍅키져짜쪼큐 } over { 100 }
(3)작은 시료에 대한 중량 백분율(입경2mm미만)
1)각 체에 대한 통과중량 백분율을 구하고 이로부터 가적 통과중량백분율을 구한다.
2)반대수지상에 입경-가적통과율 관계곡선 즉,입경가적곡선을 그린다.
3)입경가적곡선에서 다음의 값을 구한다.
-10%, 30%, 60% 통과 입경(D10, D30, D60) [mm]
-No.10, No.40, No.200통과 중량백분율 [%]
4)균등계수와 곡률계수를 구한다.
C_{ 0 } = { (D_{ 30 } )^{ 2 } } over { D_{ 10 } XD_{ 60 } }
여기서, Cu: 균등계수
Cg: 곡률계수
D10: 가적통과율 10%일때의 입경
D60: 가적통과율 60%일때의 입경
D30: 가적통과율 30%일때의 입경
결과 이용
(1)입도분포의 적부판정
1)균등계수 Cu에 따른 판정
Cu > 15 : 입도분포 매우 불균등
15 > Cu > 5 : 입도분포 양호
5 > Cu > 0 : 입도분포 균등
2)곡률계수 Cg에 따른 판정
Cg > 6 : 입도분포 양호
(2)흙의 판별 및 분류
흙지반의 분류에 입도서험결과를 적용하여 "입도분포 양호 W(Well grade)","입도분포 불량 P(Poorly graded)"로 조립토의 판단 근거가 되고 있다.
(3)흙의 공학적 성질 추정
흙의 동상파괴 가능성은 입경 0.02mm의 함유량으로부터 투수특성은 10%통과 입경으로부터 판정한다
1)각 체의잔류무게를 투입한 시료의본래 무게로 나누어 잔류율을 결정한다.
잔류율 =
{ 키져잎 } over { 힝큠킹퍅쥣샐 }
100[%]
2)통과율은 100%에서 잔류율을 빼서 구한다.
통과율 = 100 - 잔류율 [%]
체분석과 비중계분석을 병행하였을 경우에는 중량백분율을 다음과 같이 수정하여야 한다.
P' =
{ W_{ 1 } } over { W_{ S } P }
=
{ No.200퍅홋섶취쟬큠쥣샐 } over { 킹퍅삿탉취쟬큠쥣샐 }
입자의 중량 백분율
여기서, W1: No.200체를 통과한 건조 시료의 무게 [gf]
Ws:전체 건조시료의 무게 [gf]
P: 입자의 중량 백분율 [%]
P': 수정한 중량백분율 [%]
비중계시험 결과의 정리
1) 비중계의 유효깊이
L = Z-Vb/2A = L1+0.5(L2-Vb/A) [cm]
여기서, Z:비중계를 읽은 값의 현탁액의 깊이(침강 깊이) [cm]
L1:현탁액 수면에서 비중계 구부위끝까지의 거리 [cm]
L2:비중계 구부의 길이 [cm]
Vb:비중계 구부의 부피 [cm3]
A:메스실린더의 단면적[cm2]
2)현탁액 중에 있는 흙입자의 최대직경
D =
{ 30 prime } over { 980(G_{ s } |G_{ W } ) }
{ L } over { T }
[mm]
여기서, D:흙 입자으 최대지름
:물의 점성계수[Poise](표-2.8)
L:유효깊이(흙입자가 일정한 시간 동안에 침강한 거리)
T:침강시간[분]
GS:흙입자의 비중
GW:물의 비중
3)현탁액 중에 있는 흙의 중량 백분율
비중계의 각 측정치에 대해서 유효깊이 L일 때 1㎖중에 현탁되어 있는 흙의 중량 백분율은 다음 식으로 구한다.
P (%) =
{ 100 } over { W }
{ G_{ S } } over { G_{ S } |G_{ W } }
( ' + F + Cm)
여기서, P:현탁되어 있는 흙의 노건조 중량백분율[%]
W:현탁액 1㎖에 들어 있는 시료의 건조중량
':비중계 측정치의 소수부분(메니스커스에 대해 보정한 것)
'= - w+Cm
F:온도에 대한 보정계수
Cm:메니스커스 보정(0.5)
4)전체 시료에 대한 흙의 중량 백분율
{ 100|No.10퍅키져짜쪼큐 } over { 100 }
(3)작은 시료에 대한 중량 백분율(입경2mm미만)
1)각 체에 대한 통과중량 백분율을 구하고 이로부터 가적 통과중량백분율을 구한다.
2)반대수지상에 입경-가적통과율 관계곡선 즉,입경가적곡선을 그린다.
3)입경가적곡선에서 다음의 값을 구한다.
-10%, 30%, 60% 통과 입경(D10, D30, D60) [mm]
-No.10, No.40, No.200통과 중량백분율 [%]
4)균등계수와 곡률계수를 구한다.
C_{ 0 } = { (D_{ 30 } )^{ 2 } } over { D_{ 10 } XD_{ 60 } }
여기서, Cu: 균등계수
Cg: 곡률계수
D10: 가적통과율 10%일때의 입경
D60: 가적통과율 60%일때의 입경
D30: 가적통과율 30%일때의 입경
결과 이용
(1)입도분포의 적부판정
1)균등계수 Cu에 따른 판정
Cu > 15 : 입도분포 매우 불균등
15 > Cu > 5 : 입도분포 양호
5 > Cu > 0 : 입도분포 균등
2)곡률계수 Cg에 따른 판정
Cg > 6 : 입도분포 양호
(2)흙의 판별 및 분류
흙지반의 분류에 입도서험결과를 적용하여 "입도분포 양호 W(Well grade)","입도분포 불량 P(Poorly graded)"로 조립토의 판단 근거가 되고 있다.
(3)흙의 공학적 성질 추정
흙의 동상파괴 가능성은 입경 0.02mm의 함유량으로부터 투수특성은 10%통과 입경으로부터 판정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