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표
2. 실험내용
3. 실험결과
4. 결과분석
5. 느낀점
2. 실험내용
3. 실험결과
4. 결과분석
5. 느낀점
본문내용
대입하면 1.27m/s가 나온다.
충돌 후 입사구, 표적구 속력
입사구는 1.04m/s, 표적구는 0.79m/s가 나온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이제 x방향, y방향 나누어 계산해 본다.
x방향 : 충돌 전 1.27
충돌 후 = 1.44
y방향 : 충돌 전 0
충돌 후 = 0.33
약간의 오차 내에서 충돌 전과 후의 수치가 유사함을 볼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선운동량 보존을 의미한다.
4. 결과분석
이번실험을 해보니 두 쇠공을 충돌시켜서 선운동량 보존에 대해서 알 수 있게 되었다. 이번 실험의 결과도 역시 오차가 있었다. 이러한 오차의 원인으로는 실험기구의 노후화가 있다. 그리고 쇠공에도 마찰력과 공기저항력이 존재하기 때문에 완전탄성충돌을 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러한점이 오차의 원인으로 꼽힌다.
5. 느낀점
이번 실험도 역시 오차가 있었지만 나름대로 재밌는 실험이었다. 특히 고등학교때 물리시간에 배웠던 완전탄성 충돌을 실험을 통해서 다시 확인한다는 점이 너무 흥미로웠다. 공식을 구하는 식은 나름 다른 실험의 어려운 공식증명에 비해서는 쉬운편이고 또 익숙해서, 공식을 이해하는데 시간도 덜 걸려서 나름 기뻤다. 정말 의미있는 실험이었다.
충돌 후 입사구, 표적구 속력
입사구는 1.04m/s, 표적구는 0.79m/s가 나온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이제 x방향, y방향 나누어 계산해 본다.
x방향 : 충돌 전 1.27
충돌 후 = 1.44
y방향 : 충돌 전 0
충돌 후 = 0.33
약간의 오차 내에서 충돌 전과 후의 수치가 유사함을 볼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선운동량 보존을 의미한다.
4. 결과분석
이번실험을 해보니 두 쇠공을 충돌시켜서 선운동량 보존에 대해서 알 수 있게 되었다. 이번 실험의 결과도 역시 오차가 있었다. 이러한 오차의 원인으로는 실험기구의 노후화가 있다. 그리고 쇠공에도 마찰력과 공기저항력이 존재하기 때문에 완전탄성충돌을 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러한점이 오차의 원인으로 꼽힌다.
5. 느낀점
이번 실험도 역시 오차가 있었지만 나름대로 재밌는 실험이었다. 특히 고등학교때 물리시간에 배웠던 완전탄성 충돌을 실험을 통해서 다시 확인한다는 점이 너무 흥미로웠다. 공식을 구하는 식은 나름 다른 실험의 어려운 공식증명에 비해서는 쉬운편이고 또 익숙해서, 공식을 이해하는데 시간도 덜 걸려서 나름 기뻤다. 정말 의미있는 실험이었다.
추천자료
물리화학실험_7주_고체 시료의 IR(적외선 흡수 분광법) 측정 및 스펙트럼 분석
물리실험레포트-전반사 및 초점거리
[물리실험] -1- 길이 및 곡률반경 힘의 합성
물리학 및 실험 - 작은 벨로드롬
물리 및 실험 - 등전위선
기초전자 물리학실험 - 선운동량 보존, 충돌 및 저항력(역학3)
일반물리학 실험 - 탄성 및 비탄성 충돌
[물리학실험]오차론, 반응시간 예비 및 결과 보고서
일반 물리학 및 실험 -버니어 캘리퍼(Vernier calliper)와 마이크로미터(Micrometer)의 사용법
[일반물리학실험] 탄도 궤도 실험 - 실험목적, 기초원리, 소요도구, 실험방법 및 결과, 분석,...
[일반 물리학 및 실험1] 1.16 관성모멘트 측정 (결과)
일반물리학 실험 1 (예비/결과 report) - 도르래(Pulley) : 작은 힘으로 큰 힘이 되는 도르래...
물리학-관성모멘트 및 각운동량 보존,실험의 목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