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유
2. 기저귀 갈기
3. 목욕 시키기
4.의복
2. 기저귀 갈기
3. 목욕 시키기
4.의복
본문내용
조하며 유분이 있도록 유지되어야 한다.
기저귀를 간 후에는 엉덩이와 외음부를 씻긴다. 닦은후에는 아기용 보습제를 발라주는 것이 좋다. 파우더는 신생아의 호흡기로 흡입 될 수 있으므로 유의하여 사용한다.
*유의점: 보통 기저귀를 엉덩이 아래에 넣기 위해 다리를 들어 올리는데 잘못된 방법이다. 탈골의 위험이 있으므로 다리를 들어 올리기보다 엉덩이를 살짝 옆으로 밀어 기저귀를 넣는다.
3)목욕시키기
신생아의 배꼽이 아물기 전까지는 목욕 시킬 때 배꼽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목욕시키는 시간은 저녁에 잠을 자기전이나 수유하기 전이 적합하고 물의 온도는 38~39°C가 적합하다.
목욕은 약 10분간 하며 목욕하는 시간이 아기에게 즐거운 시간이 되도록 이야기하며 부드럽게 닦아주는 것이 좋다. 목욕중에는 신생아의 눈에 비누가 들어가거나 코와 귀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고 목욕후에는 감기가 들지 않도록 체온 조절에 신경을 써야 한다.
*유의점
(1) 목욕시키는 장소가 따뜻해야 한다. ( 적셔주는 목욕은 거실이나, 주방과 같은
실내를 이용해야 한다.)
(2) 목욕용품이 빠져서 가지러 가거나 누가 초인종을 눌렀거나 전화가 걸려 왔을 때
반드시 아기를 데리고 가야 한다. 어느 한 순간에라도 아기를 혼자 있게 놔두어
서는 안된다.
4)의복
신생아의 의복은 흡수력이 우수한 면직물로 만든 것이 좋다. 특히 신생아의 안색을 정확하게 관찰 할 수 있는 옅은 옷이 좋다. 또 의복은 복잡하거나 장식이 많은 것은 부적절 하며 활동이 자유롭도록 크기가 넉넉하고 소매가 길어 손톱으로 얼굴을 할퀴지 않는 옷이 좋다.
기저귀를 간 후에는 엉덩이와 외음부를 씻긴다. 닦은후에는 아기용 보습제를 발라주는 것이 좋다. 파우더는 신생아의 호흡기로 흡입 될 수 있으므로 유의하여 사용한다.
*유의점: 보통 기저귀를 엉덩이 아래에 넣기 위해 다리를 들어 올리는데 잘못된 방법이다. 탈골의 위험이 있으므로 다리를 들어 올리기보다 엉덩이를 살짝 옆으로 밀어 기저귀를 넣는다.
3)목욕시키기
신생아의 배꼽이 아물기 전까지는 목욕 시킬 때 배꼽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목욕시키는 시간은 저녁에 잠을 자기전이나 수유하기 전이 적합하고 물의 온도는 38~39°C가 적합하다.
목욕은 약 10분간 하며 목욕하는 시간이 아기에게 즐거운 시간이 되도록 이야기하며 부드럽게 닦아주는 것이 좋다. 목욕중에는 신생아의 눈에 비누가 들어가거나 코와 귀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고 목욕후에는 감기가 들지 않도록 체온 조절에 신경을 써야 한다.
*유의점
(1) 목욕시키는 장소가 따뜻해야 한다. ( 적셔주는 목욕은 거실이나, 주방과 같은
실내를 이용해야 한다.)
(2) 목욕용품이 빠져서 가지러 가거나 누가 초인종을 눌렀거나 전화가 걸려 왔을 때
반드시 아기를 데리고 가야 한다. 어느 한 순간에라도 아기를 혼자 있게 놔두어
서는 안된다.
4)의복
신생아의 의복은 흡수력이 우수한 면직물로 만든 것이 좋다. 특히 신생아의 안색을 정확하게 관찰 할 수 있는 옅은 옷이 좋다. 또 의복은 복잡하거나 장식이 많은 것은 부적절 하며 활동이 자유롭도록 크기가 넉넉하고 소매가 길어 손톱으로 얼굴을 할퀴지 않는 옷이 좋다.
추천자료
- 고위험 신생아
- 정상 신생아의 특징 및 간호
- NICU(신생아중환자실)Case Study
- 정상 신생아 케이스
- NICU 신생아 중환자실 실습 황달 case study
- [간호학]신생아실 - 데일리
- 아동간호학 - 신생아 요약 정리, 국가고시/중간/기말 요점정리용으로 활용추천!
- 아동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신생아 패혈증 (Neonatal Sepsis)
- 아동간호 신생아 간호사정기술 요약 레포트입니다.
- [아동건강] 신생아기, 영아기, 유아기에 발생할 수 있는 건강문제 및 예방방법에 대해
- 아동간호학) 신생아의 신체사정
- 미숙아(신생아) 황달 케이스 A++ 스터디, 사례연구, CASE STUDY (고빌리루빈)
- - 신생아 간호 - 1,위관영양법(Gavage Feeding), 2. 목욕 3. 제대간호 (Cord care)
- 고위험 신생아와 가족의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