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가 조성룡 작가분석 (SOMA 미술관 Seoul Olympic Museum of Art)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가 조성룡 작가분석 (SOMA 미술관 Seoul Olympic Museum of Ar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건축가 조성룡

2. 대표 작품
① 선유도 공원
② 의재 미술관

3. 소마 미술관
① 개념 접근
② 외부공간과 진입
③ 내부공간과 자연
④ 재료

4. 인터뷰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 외부공간의 융합
노출콘크리트와 목재, 현무암, 금속성 재질과 유리가 서로 이질적인 소재임에도 아귀가 맞물린 듯 허술함이 없다. 금속재질과 통유리를 제외한 모든 재질들은 약간 거친 듯한 멋을 풍긴다. 재단되어 잘리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질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른 재질과 하나로 융합되어 있는 형상이다. 또한 건축이 오브제로써 건축자체의 형태를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공간과 하나의 개념으로 이해되기 위해 자연스러운 재료를 사용했다.
적삼목 판넬 특유의 편안한 분위기를 사용하여 대지와 연결되는 부분의 노출콘크리트와 한결 더 자연적이고 부드럽게 연결되도록 하였고, 비디오 아트홀의 특별한 이미지가 외부에서 느껴지도록 하기 위하여 티타늄을 사용하였다. 전체적으로 순수한 물성의 재료가 갖고 있는 특징을 살려 건축과 풍경이 한데 어울러 지도록 하였다.
4. 인터뷰
Q. '풍경 속의 건축' 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데, 그 풍경이라는 것은 어떤 풍경을 뜻하는 것입니까? 흔히 보여지는 경관으로 생각하고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A. 풍경은 외국의 Landscape라고도 하는데 랜드스케이프라는 단어가 역사적으로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일반사람 사이에서 수송기관(자동차, 기차, 비행기 등등)이 보급되면서 이 문제가 대두 되었다. 시골에서 살던 많은 사람들이 도시로 나와 살다보니 도시는 급격하게 팽창 되었다. 사람들은 복잡한 도시사회에서 자신이 어릴적 살던 시골의 모습을 회상하게 된다. 그래서 도시를 이동하면서 차창에서 보여지는 전원의 모습들을 보며 전원풍경이라는 말이 생겨났다. 또 여행을 다녀와서 그림옆서 속에 보여지는 도시의 모습도 사람들에게 중요한 관심거리였다.
풍경을 한자로 쓰면 바람 풍(風)자에 볕 경(景)자를 쓴다. 여기서 경(景)자를 보면 날 일(日) 밑에 서울 경(京)자가 있다. 이것은 서울을 비추는 햇볕이라는 뜻이다. 서울은 곧 도시다. 즉, 풍경(風景)은 도시의 바람과 햇볕이다. 그래서 외국의 Landscape와는 다르다.
Q. 그렇다면 조성룡 선생님께서 생각하시는 '풍경'은 어떤 풍경이십니까?
A. 풍경에는 도시의 모습이 포함되어야 한다. 도시의 건축이 도시 풍경을 바꾸기 때문에 도시의 건축이 중요하다. 건축의 풍경, 풍경적 건축과는 다르다. 우리처럼 건축을 만들고, 바라보는 입장에서는 풍경이 건축과 주변에서 어떠한 현상이 일어나는가를 보는 것이 중요하다.
Q. 자타 공인 영화광이시라고 들었는데 특별히 영화를 좋아하는 이유가 있나요?
A. 건축과 영화는 도시를 다룰 수밖에 없다. 영화는 시간과 공간을넘나들지만 건축은 항상 사실적이어야 하는 차이가 있다. 건축가는건물을 사용할 많은 사람들을 생각해야 하기 때문에 혼자만의 생각으로 짓지 못한다. 많은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결과물을 내놓기 위해, 역시 도시를 대상으로 하는 영화감독의 입장에서 다시 생각해 보는 것이다. 감독이 어떤 식으로 도시를 보는가, 왜 주인공이 행동
하는 장소로 그곳을 선택했는가’ 등을 영화를 통해 생각한다는 것이다.
Q. 그렇다면 보셨던 영화 중에서 하나만 소개 부탁드립니다.
A. 선유도공원에서 찍은 장면이 많은 영화 '사마리아'(김기덕 감독)는 내가 설계한 곳이 촬영장이어서가 아니라, 김기덕 감독이 내가 설계한 의도를 정확히 읽어낸 것 같아 좋아한다. 선유도공원은 현실과 비현실의 애매한 경계에 있는 공간이다. ‘사마리아’도 현실적인 사건을 담고 있지만 내용이 굉장히 일탈적이다. 이런 이미지가 서로 통한 게 아닌가 싶다. 선유도공원을 작업하면서도 그런 생각했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건축문화 anc 2001/ 01, 2002/ 07, 2003/ 05
▶공간 space 2001/ 11
  • 가격1,4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4.14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34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