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생체 모방공학 사례조사
1) 흰개미의 집 - 이스트게이트 센터
2) 물총새 - 신칸센
3) 갈매기의 비행과 날개 - F-18전투기
4) 눈의 홍채 - 프랑스 파리 아랍세계연구소
5) 딱정벌레 - 라스팔마스 워터씨어터
1) 흰개미의 집 - 이스트게이트 센터
2) 물총새 - 신칸센
3) 갈매기의 비행과 날개 - F-18전투기
4) 눈의 홍채 - 프랑스 파리 아랍세계연구소
5) 딱정벌레 - 라스팔마스 워터씨어터
본문내용
공기보다 차가운 상태기 때문에 바람에 실려온 수분은 딱정벌레의 등 위에서 물방울로 변하게 된다. 마치 차가운 맥주병을 실온상태에 노출시킬 경우 병 표면에 물방울이 생기는 것과 같은 이치다. 동 프로젝트를 맡은 영국의 친환경 건축업체인Grimshaw는 라스 팔마스 해안가 주변에 수분 증발 장치와 물방울 생산을 위한 파이프(gill)를 설치했고 바닷물을 포함한 바람이 수분 증발 장치를 거치면서 소금을 걸러내는 방식을 고안했다.소금을 포함하지 않은 바람은 순수한 물방울을 생산하는 파이프로 이동하고 따뜻한 수분은 차가운 파이프를 거치면서 물방울로 변하게 된다. 중요한 점은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1㎥의 물을 생산하기 위해 6~12㎾의 전력이 필요했지만 이 방식을 이용해보니 1.6㎾의 전력이면 충분하다는 점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