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기관 역할 요약 :
한국원자력연구원 (KAERI)
안전성평가연구소 (KIT)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ICE)
한국직업능력개발원 (KRIVET)
* 관심 기관 조사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ICE)
한국원자력연구원 (KAERI)
안전성평가연구소 (KIT)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ICE)
한국직업능력개발원 (KRIVET)
* 관심 기관 조사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ICE)
본문내용
최근에는 2012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201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 결과 보도, 2013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1차) 이의 신청 심사 결과 및 정답 확정 발표 등 나라의 굵직한 시험의 발표와 보도를 하였다.
전망 :
지난 11일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은 수학, 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연구 (이하 TIMSS)2011을 발표했다. 시험결과 우리나라는 테스트를 실시한 국가 중 최상위권에 랭크됐다. 하지만 이같이 높은 성취도와는 달리 수학과 과학 과목에 대해 ‘자신있다’, ‘흥미있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최하위로 나타나 지나친 경쟁이 부른 불균형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관계자는 “수학 과학에 대한 흥미도가 떨어지는 것은 동양권 국가의 공통적 현상”이라며 “특히 우리나라는 교육풍토가 학생을 격려하기보다 더 잘하기만을 바라기 때문에 이 같은 현상이 더욱 심하다”고 설명했다.
평가원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한국 교육에 대한 문제점은 언제나 존재해왔지만 아직 제대로 해결했다고 생각이 든 적은 없다. 교육과정평가원이 지니고 있는 책임은 막중하다. 교육후진국이라는 오명을 벗어버리고 진정한 교육을 위한 연구에 힘써야 할 것이다.
관심 기관 조사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ICE)
* 본 연구원을 선택하게 된 동기
나는 수능을 3번이나 쳤었다. 고등학교 때 공부에 대한 자신감이 없지는 않았고, 성적이 아주 나쁜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내가 정확히 어느 정도의 실력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지 못했고, 이정도면 어느 정도의 대학교를 갈 수 있는지에 관한 개념이 부족했다. 게다가 고등학교 현역 때 시험은 시험 당일 무슨 원인이었는지 언어영역부터 이상하게 망쳐서 모든 과목에서 제 실력에 한참 못 미치는 점수가 나왔었다. 그때는 오기가 있어서 독학 재수를 선택하고 집에서 공부하다가 고시원에 들어가서 치기도 했었다. 그러나 정보력의 부족이었는지, 독학 재수의 한계라 수능이라는 시험의 여러 특징을 생각하지 못했던건지 재수때에도 그렇게 좋은 점수를 받지 못했다. 군복무가 운이 좋게도 상근예비역이 걸렸다. 그래서 그냥 한 번 쳐보자는 심산으로 수능을 어느 정도 공부하고 편한 마음으로 치니까 지금의 건국대에 올 수 있을 정도의 성적이 나왔다.
나의 이런 수능에 대한 경험은 수능이라는 시험의 장점과 한계, 우리나라 교육에 대한 회의감을 들게 하였다. 만약 저 3개의 연구원 중 하나를 고른다면 나는 우리나라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과정평가원을 선택하고 싶다.
* 들어가기 위해 어떤 학업 설계를 할 것인가
입찰 공고를 보면 단순 일반 직원보다 학위를 소지한 교육 연구원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보인다. 수행 업무로는 각종 자료 정리 및 편집, 문헌 자료수집 및 정리, 행정적인 업무 보조 등이 있으며 자격 요건으로 공고일 현재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 교육 관련 전공자 우대, 공공기관 근무 유경험자 우대(이력서에 경력 사항 및 기간 기재), 한글워드프로세서, MS-Office 사용 능숙자 우대라고 되어 있다.
내가 속한 국어국문학과는 학점 관리를 열심히 해서 과에서 최상위권의 실력을 유지한다면 교직이수권을 준다.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교육 관련 강의도 듣고 교육에 관한 공부를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여건이 된다면 교육대학원에 들어가서 석사까지 진행하고 오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하다. 아니면 교육대학원에 들어가서 공부를 하기 보다는 다른 교육 공공기관에 인턴이나 기간직으로 들어가서 경험을 쌓는 것도 좋을 것 같다. 한글 워드프로세서나 MOS는 기업, 연구 업무의 기본이므로 이런 것들은 학교 다니면서 틈틈이 공부를 해야 한다.
전망 :
지난 11일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은 수학, 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연구 (이하 TIMSS)2011을 발표했다. 시험결과 우리나라는 테스트를 실시한 국가 중 최상위권에 랭크됐다. 하지만 이같이 높은 성취도와는 달리 수학과 과학 과목에 대해 ‘자신있다’, ‘흥미있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최하위로 나타나 지나친 경쟁이 부른 불균형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관계자는 “수학 과학에 대한 흥미도가 떨어지는 것은 동양권 국가의 공통적 현상”이라며 “특히 우리나라는 교육풍토가 학생을 격려하기보다 더 잘하기만을 바라기 때문에 이 같은 현상이 더욱 심하다”고 설명했다.
평가원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한국 교육에 대한 문제점은 언제나 존재해왔지만 아직 제대로 해결했다고 생각이 든 적은 없다. 교육과정평가원이 지니고 있는 책임은 막중하다. 교육후진국이라는 오명을 벗어버리고 진정한 교육을 위한 연구에 힘써야 할 것이다.
관심 기관 조사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ICE)
* 본 연구원을 선택하게 된 동기
나는 수능을 3번이나 쳤었다. 고등학교 때 공부에 대한 자신감이 없지는 않았고, 성적이 아주 나쁜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내가 정확히 어느 정도의 실력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지 못했고, 이정도면 어느 정도의 대학교를 갈 수 있는지에 관한 개념이 부족했다. 게다가 고등학교 현역 때 시험은 시험 당일 무슨 원인이었는지 언어영역부터 이상하게 망쳐서 모든 과목에서 제 실력에 한참 못 미치는 점수가 나왔었다. 그때는 오기가 있어서 독학 재수를 선택하고 집에서 공부하다가 고시원에 들어가서 치기도 했었다. 그러나 정보력의 부족이었는지, 독학 재수의 한계라 수능이라는 시험의 여러 특징을 생각하지 못했던건지 재수때에도 그렇게 좋은 점수를 받지 못했다. 군복무가 운이 좋게도 상근예비역이 걸렸다. 그래서 그냥 한 번 쳐보자는 심산으로 수능을 어느 정도 공부하고 편한 마음으로 치니까 지금의 건국대에 올 수 있을 정도의 성적이 나왔다.
나의 이런 수능에 대한 경험은 수능이라는 시험의 장점과 한계, 우리나라 교육에 대한 회의감을 들게 하였다. 만약 저 3개의 연구원 중 하나를 고른다면 나는 우리나라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과정평가원을 선택하고 싶다.
* 들어가기 위해 어떤 학업 설계를 할 것인가
입찰 공고를 보면 단순 일반 직원보다 학위를 소지한 교육 연구원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보인다. 수행 업무로는 각종 자료 정리 및 편집, 문헌 자료수집 및 정리, 행정적인 업무 보조 등이 있으며 자격 요건으로 공고일 현재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 교육 관련 전공자 우대, 공공기관 근무 유경험자 우대(이력서에 경력 사항 및 기간 기재), 한글워드프로세서, MS-Office 사용 능숙자 우대라고 되어 있다.
내가 속한 국어국문학과는 학점 관리를 열심히 해서 과에서 최상위권의 실력을 유지한다면 교직이수권을 준다.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교육 관련 강의도 듣고 교육에 관한 공부를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여건이 된다면 교육대학원에 들어가서 석사까지 진행하고 오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하다. 아니면 교육대학원에 들어가서 공부를 하기 보다는 다른 교육 공공기관에 인턴이나 기간직으로 들어가서 경험을 쌓는 것도 좋을 것 같다. 한글 워드프로세서나 MOS는 기업, 연구 업무의 기본이므로 이런 것들은 학교 다니면서 틈틈이 공부를 해야 한다.
추천자료
자폐인과 고용(직업재활)
직업능력개발훈련생의 만족도가 중도탈락에 미치는 영향
[직종][일][직업][직업능력][직종][21세기 직업세계][신직업][직업 전망][유망직업][유망직종...
[직업]직업의 개념, 중요성과 의의, 성격, 변화하는 직업 세계와 직업 선택, 산업구조의 변화...
[노동시장]비정규직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 실태 및 정책과제
[직업][직업환경][쇠퇴직업][유망직업][직업능력개발]직업의 개념과 직업환경의 변화 및 향후...
비정규직 직업능력개발 정책의 현황 및 방향
[소규모사업장]소규모사업장의 개념, 소규모사업장의 실태, 소규모사업장의 직업능력개발사업...
고용안정대책과 직업훈련대책, 고용안정대책과 직업능력강화대책, 고용안정대책과 동절기고용...
[내부장애인, 내부장애 발생원인, 직업능력, 직업재활전문가, 직업재활, 내부장애, 장애인]내...
[고용안정, 재고용장려금, 채용장려금, 직업훈련]고용안정과 재고용장려금, 고용안정과 채용...
[중소기업 사업][중소기업][사업][직업능력개발사업]중소기업 직업능력개발사업, 중소기업 복...
[기업 개발][기업 직업능력개발][기업 인적자원개발][의료기기개발]기업 기술개발, 기업 교육...
[기업 개발][공동기술개발][예절교육프로그램개발][공동기술개발]기업 공동연구개발, 기업 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