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투자 전의 조사
Ⅱ. 투자 후의 경영관리전략
Ⅲ. 사후협상 및 보상전략
Ⅱ. 투자 후의 경영관리전략
Ⅲ. 사후협상 및 보상전략
본문내용
람직하다고 글래드윈과 월터가 주장하고
있다.
호스킨스(W. Hoskins)는 정치적 위험의 사후보상전략을 피투자국과의
합리적인 협상(rational negotiation), 반강제적인 협상(negotiation fla-
vored with power tactics), 법률적 구제조치의 강구(exploration of legal
remedies) 및 경영권을 포기하고 잔존재산을 회수(surrender by manage -
ment and decision to seek only salvage)하는 네 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합리적 협상이란 피투자국 정부를 합리적으로 설득함으로써 정치적 위
험에 따른 피해의 보상 내지는 사태의 해결을 시도하는 전략이다. 이 경우
국제기업이 피투자국에 대하여 경제 및 기타 부문에서 얼마나 큰 기여를 하
고 있는가를 강조하는 긍정적 설득과 함께 국제기업이 철수한 경우 생겨날
수 있는 여러 가지 부작용을 강조하는 부정적 설득이 있을 수 있다.
합리적 협상단계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 제 2 단계인
반강제적 협상을 통한 해결을 모색하게 된다. 이 전략은 대개 첫째, 피투자
국 정부 정책의 지지 또는 국제기업의 이익포기, 둘째 피투자국의 야당 또는
우방국가들의 협조모색, 셋째 본사국 정부의 개입 등 세 가지 방법으로 이루
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반강제적 협상방법은 피투자국에 대해 강한
반발을 일으키게 하는 등 부정적인 결과가 초래되는 수가 많으므로 그 사용
시기와 방법 및 정도를 적절히 조절하지 않으면 큰 효과를 보기가 어려운
난점 이 있다.
협상에 의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부득불 법률적인 구제조치를 강구
하게 된다. 가장 이상적인 법률구제방식은 피투자국의 현지법원에 제소하는
것인데, 비용과 시간이 적게 들어 효율적인 반면 성공의 가능성이 희박하다.
둘째 방법은 본사국 법원에 제소하는 것인데, 이 방법은 특정 국가가 자기의
영토 안에서 행한 조치는 다른 국가에 의해 문제시될 수 없다는 국제법상의
원칙 때문에 상징적인 효과는 있지만 실효성이 없다. 마지막으로 본사국 정
부가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하는 것인데,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드는 난점이
있어 활용도는 극히 낮은 편이다.
법률적인 구제조치에도 불구하고 문제의 해결이 여의치 않을 경우 국제
기업이 취할 수 있는 마지막 방책은 경영권을 포기하고 가능한 한 피해를
줄여 잔존재산을 조금이라도 더 확보하는 것이다.
있다.
호스킨스(W. Hoskins)는 정치적 위험의 사후보상전략을 피투자국과의
합리적인 협상(rational negotiation), 반강제적인 협상(negotiation fla-
vored with power tactics), 법률적 구제조치의 강구(exploration of legal
remedies) 및 경영권을 포기하고 잔존재산을 회수(surrender by manage -
ment and decision to seek only salvage)하는 네 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합리적 협상이란 피투자국 정부를 합리적으로 설득함으로써 정치적 위
험에 따른 피해의 보상 내지는 사태의 해결을 시도하는 전략이다. 이 경우
국제기업이 피투자국에 대하여 경제 및 기타 부문에서 얼마나 큰 기여를 하
고 있는가를 강조하는 긍정적 설득과 함께 국제기업이 철수한 경우 생겨날
수 있는 여러 가지 부작용을 강조하는 부정적 설득이 있을 수 있다.
합리적 협상단계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 제 2 단계인
반강제적 협상을 통한 해결을 모색하게 된다. 이 전략은 대개 첫째, 피투자
국 정부 정책의 지지 또는 국제기업의 이익포기, 둘째 피투자국의 야당 또는
우방국가들의 협조모색, 셋째 본사국 정부의 개입 등 세 가지 방법으로 이루
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반강제적 협상방법은 피투자국에 대해 강한
반발을 일으키게 하는 등 부정적인 결과가 초래되는 수가 많으므로 그 사용
시기와 방법 및 정도를 적절히 조절하지 않으면 큰 효과를 보기가 어려운
난점 이 있다.
협상에 의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부득불 법률적인 구제조치를 강구
하게 된다. 가장 이상적인 법률구제방식은 피투자국의 현지법원에 제소하는
것인데, 비용과 시간이 적게 들어 효율적인 반면 성공의 가능성이 희박하다.
둘째 방법은 본사국 법원에 제소하는 것인데, 이 방법은 특정 국가가 자기의
영토 안에서 행한 조치는 다른 국가에 의해 문제시될 수 없다는 국제법상의
원칙 때문에 상징적인 효과는 있지만 실효성이 없다. 마지막으로 본사국 정
부가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하는 것인데,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드는 난점이
있어 활용도는 극히 낮은 편이다.
법률적인 구제조치에도 불구하고 문제의 해결이 여의치 않을 경우 국제
기업이 취할 수 있는 마지막 방책은 경영권을 포기하고 가능한 한 피해를
줄여 잔존재산을 조금이라도 더 확보하는 것이다.
추천자료
21세기 한국사회의 문제점 진단과 과제 그리고 개선방안
[사회복지관]사회복지관의 역할, 기능과 사회복지관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분석(사회복지관 ...
[한국 정당][정당]한국 정당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민주주의 공고화와 그 지표로서의 ...
[비정규직근로][비정규직노동][비정규직근로 사례][비정규직노동 사례]비정규직근로(비정규직...
[체벌][학생체벌][학생인권][체벌 원인][체벌 관점][체벌 문제점][체벌 당면 과제][체벌 개선...
[의료급여제도 대상자][진료비부담][의료급여제도 문제점][의료급여제도 과제]의료급여제도의...
행정조직체계의 의의, 행정조직체계의 특성과 개혁방향, 행정조직체계와 정부조직, 행정조직...
컴퓨터보조수업(CAI, 컴퓨터보조학습)의 정의와 종류, 컴퓨터보조수업(CAI, 컴퓨터보조학습)...
[주택금융][주택금융의 문제점][주택금융의 개선방안][주택금융의 활성화과제]주택금융의 특...
[배식, 학교급식 배식, 학교급식 배식 사례, 배식 문제점, 배식 개선방안]배식(학교급식 배식...
[청소년 문화과제]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또는 관심 갖는 청소년문화 현상에 대하여 조사하고...
2014년 2학기 한국정부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공직자 윤리의 실태 및 문제점, 개선방안)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태도의 개선방안 (장애인 편견, 인식, 사회적 인식, 장애인 차...
공공부조의 개념을 서술하고, 과제의 목차대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주요내용과 문제점, 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