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문장구조의이해 - 문장의 선형성과 계층 & 구성소 & 언어의 회귀성 & 수형도와 표지괄호법 & 구범주와 어휘범주 & 문장부사와 동사구 부사의 문장 구조상에서의 위치 차이 & 구성소의 판별법의 종류 설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어문장구조의이해 - 문장의 선형성과 계층 & 구성소 & 언어의 회귀성 & 수형도와 표지괄호법 & 구범주와 어휘범주 & 문장부사와 동사구 부사의 문장 구조상에서의 위치 차이 & 구성소의 판별법의 종류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장의 선형성과 계층성이란 무엇인가?

2. 구성소란 무엇인가?

3. 언어의 회귀성 이란 무엇인가?

4. 수형도와 표지괄호법이란 무엇인가?

5. 구범주와 어휘범주란 무엇인가?

6. 문장부사와 동사구 부사의 문장 구조상에서의 위치 차이

7. 구성소의 판별법의 종류와 각각에 대한 설명

본문내용

o you know the him over there? Do you know him?
- him이 명사 guy만 대신할 수 없어 비문이 됨, 명사구 전체인 the guy over there를 대신
* 대형태 proform : 대명사와 유사하게 다른 유형의 구성소를 대신할 수 있는 대형태 so, as, there 등
Have you been [to Seoul]? No, I have never been there.
John might [quit the job], as might Bill.
People say Nina is [very intelligent], but I've never found her so.
셋째, 구성소는 이동(전치, 후치) 가능하다.
이동 가능하면 구성소가 될 수 있다는 것 - 이동은 구 단위로 이동
- t 는 흔적 trace의 약자로 보통 이동요소의 원위치를 가리킴
전치사구 전치 현상 Many executives eat at really fancy restaurants.
→ At really fancy restaurants, many executives eat t.
명사구 전치 현상 I didn't read [these two books]. → [These two books], I didn't read.
→ *These two, I didn't read books. * Two books, I didn't read these.
구동사 phrasal verb로서 구성소
Nina brought in the armchair.
→ *In the armchair, Nina brought,
The armchair, Nina brought in. (brought+in이 하나의 구동사)
넷째, 구성소는 등위문을 이룰 수 있다.
단어나 구가 등위접속사 and, but, or로 연결된 구문
- 등위문은 접속요소가 구성소가 되어야 하며, 동일한 유형의 구성소만 접속될 수 있음
John wrote to Mary and to Fred.
*John wrote a letter and to Fred.(전치사구와 명사구)
조동사는 별개 구성요소
다섯째, 구성소는 생략될 수 있다
Whenever Martha has drunk a beer, Fred has, too. (생략이 구성소 일부에만 적용될 수 있음)
*Whenever Martha has drunk a beer, Fred has drunk, too.
  • 가격3,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4.24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49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