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합작회사의 특징과 장단점] 국제합작투자의 개념과 특성, 국제합작회사의 소유권형태, 국제합작자회사의 편익과 비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외합작회사의 특징과 장단점] 국제합작투자의 개념과 특성, 국제합작회사의 소유권형태, 국제합작자회사의 편익과 비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제합작투자의 컨셉트와 특성
1. 국제합작투자의 컨셉트
2. 국제합작투자 및 국제합작자회사의 특성
1) 기업자원 결합에 합작투자파트너들의 참여 필수적
2) 합작투자파트너들의 권리는 자본참여에서 비롯
3) 합작투자파트너들의 경영관리 공유는 필수적
4) 합작투자파트너들의 상호 이해, 보조, 협력은 필수적

Ⅱ. 국제합작회사의 파트너 대상과 소유권 형태
1. 국제합작자회사 파트너의 대상
1) 현지국의 민간기업이나 개인
2) 현지국의 정부, 정부기업, 공기업
3) 현지국의 현지 파트너와 제3국 파트너
2. 국제합작회사의 소유권형태
1) 현지인 과반수소유권/다국적기업 소수소유권 형태
2) 현지인 소수소유권/다국적기업 과반수소유권 형태
3) 50/50 소유권(동등소유권) 형태

Ⅲ. 국제합작자회사의 편익과 비용
1. 국제합작투자를 통한 해외합작자회사 운영의 편익/장점
1) 경제적 편익
2) 정치, 사회적 편익
2. 국제합작투자를 통한 해외합작자회사 운영의 비용/단점

본문내용

two or more partners) 목적이 있다.
따라서 다국적기업이 합작자회사를 합리적으로 설립 운영하게 되면 파트너들은. 그들이 결합(Pooling)하여 투입한 기업자원의 가치보다 더 큰 가치의 회수를 실현하는 편익을 얻을 수 있다.
2/ 국가이익(national interests)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산업분야에 대해서는. 외국인투자를 전면 불허하든지 외국인 단독투자만을 불허하는 국가들이 아직도 있다.
국제합작투자를 통한 해외합작자회사는. 그런 국가와 산업에 진입 침투할 수 있는 수단을 다국적기업에게 제공한다.
3/ 현지파트너와 해외합작자회사를 운영하게 되면, 그런 국제합작투자기업에게 자본조달의 편의제공 차관의 지불보증 세금의 감면 이익상환의 허용 등 다양한 투자유인(investment inducements)을 제공하는 나라들이 많다.
4/ 국제합작투자를 통한 해외합작자회사 운영은 다국적기업에게 해외현지에서 자금을 용이하게 조달하고 통화가치의 변동 또는 외환을의 변동에서 오는 리스크를 감소시키면서. 상당한 이익을 취할 수 있는 수단도 제공한다.
5/ 적절한 현지 파트너를 맞이함으로써 다국적기업은 필요로 하는원자재 노동력 경영자 마케팅능력 유통기구 현지정부와의 관계 등을 확보하고 제공받을 수 있어, 투자횟수의 증대 시장기반의 강화 등을 조속히 실현할 수 있다.
6/ 비교적 기업자원이 부족한 다국적기업은, 국제합작투자에 참여함으로써. 좀 더 많은 해외시장들에 진입하여 현지마케팅 현지생산 활동 등을 전개할 수 있다.
7/ 국제합작투자로 해외시장들에 진입할 때 다국적기업은, 현지파트너와의 합작투자계약에 경영계약 기술제공계약 라이센싱계약 등을 포함시킴으로써, 라이센스 로얄터 경영관리피이 등 추가적인 수입원을 확보할 수 있다.
(2) 정치 사회적 편익
1/ 다국적기업은 현지 파트너와의 국제합작주자를 통한 현지합작자회사를 설립 운영함으로써, 그 다국적기업은 현지국들의 차별적 장벽(discriminatory barriers)을 돌파할 수 있다.
2/ 투자대상국에 따라서 국제합작투자를 통한 해외합작자회사운영은 해외직접투자를 수반하는 정치적 리스크<극단적으로는 강제수용이나 국유화의 가능성까지 포함하는 political risks)를 감소시키고 제거하는 수단도 다국적 기업에게 제공한다.
3/ 다국적기업이 현지 파트너와 국제합작투자로 해외합작자회사를 설립 운영하게 되면 그 자회사는 현지기업체(local firm)로 인정받고 또한 내국인 대우(national treatment)를 받을 수 있다.
2) 국제합작투자를 통한 해외합작자회사운영의 비용/단점
(1) 둘 또는 그 이상의 서로 다른 국적과 서로 다른 민족 경제 문화적 배경을 갖고 있는 파트너들이 국제합작투자로 합작자회사 운영에 참여하기 때문에 다국적기업은 합작파트너들의 관점 가치기준과 판단 문제점의 규명 해결대안의 창출 의사결정 등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갈등(conflict)에 당면할 확률이 높다.
갈등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것은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과 활용하고자 하는 생산기술. 마케팅전략. 이익배당금지급. 소득재투자 또는 해외 상환 등이다.
(2) 해외합작자회사를 설립 운영하는 과정에서, 현지인파트너와 다국적기업은 각기 자기의 의견 의사결정 행동 등을 상대방에게 흔히 외국어(제3국어)로 설명하고 설득하고 정당화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그 결과로 합작회사를 공동 경영하는 데는 많은 어려운 문제들이 발생하여, 파트너들은 심리적인 피로와 압박감에 시달릴 수 있다.
(3) 현지합작투자에 참여하는 외국인파트너가 다국적기업일 경우에, 그 다국적기업은 해외합작자회사를 완전통제하지 못함으로써. 글로벌비즈니스전략을 수립 집행 통제하는 데 여러 가지 제한과 제약을 받을 수도 있다.
(4) 해외합작자회사를 운영하게 되면, 발생하는 이익을 파트너들과 공유/분할(share)해야 하므로. 배당받는 이익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 그렇지만 적자가 발생할 때는, 적자를 소유권비율에 따라 공유/분담(share)함으로써 모든 파트너들이 리스크를 분산(disperse)시켜 주는 이점도 있다.
(5) 해외합작자회사 운영의 또 하나의 부정적 측면은. 어느 한쪽 파트너는 자기자본지분(own equity share) 이상으로 합작회사의 이익 및 성장에 기여하더라도 소유권비율만큼 밖에 이익배당을 못 받는 반면에, 다른 파트너는 책임과 의무를 등한시하면서도 이익을 소유권비율대로 배당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추천자료

  • 가격2,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4.26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51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