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스페이스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PR전략분석 및 노스페이스 SWOT,STP분석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스페이스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PR전략분석 및 노스페이스 SWOT,STP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노스페이스 브랜드소개
- 노스페이스 in Korea
- 현재 상황

2. 아웃도어시장 분석

3. 노스페이스 SWOT 분석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Threat

4. 노스페이스 현 문제점 분석
(1) 등골브레이커라는 부정적 이미지
(2) 광고비에 비해 성장세 둔화
(3) 일관성없는 PR전략

5. 노스페이스 STP 분석

6. 노스페이스 PR Planning

7. 노스페이스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
7-1. Consumer Relation 전략
7-2. Community Relation 전략
7-3. Employee relations 전략
7-4. Media Relation 전략

8. 노스페이스 PR전략 평가
-설문조사 진행
-페이스북 이야기하고 있는 사람 수
-관련 기사 키워드 분석, 네이버 키워드 분석
-직장 만족도 조사

9. 보도자료 예시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브랜드다. 2003년 아웃도어 업계 최초로 1000억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며 그 후 2011년 6000억 원까지 매출을 신장시키며 국내 아웃도어 시장 부동의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현재 상황
한국 아웃도어 시장에서 노스페이스는 매출과 브랜드 인지도에서 1위를 차지하며 동종 업계 선도기업의 위치를 점하고 있다. 하지만 ‘등골 브레이커’ 이미지, 학생 등 젊은 층이 주 고객인 브랜드라는 점에서 매출 성장세가 점차 둔해지는 시기에 있고, 아웃도어 시장이 레드오션으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그 위상이 흔들려, 앞으로 닥쳐올 위기를 대비해야 할 상황에 놓여있다.
그러나 노스페이스는 국내 아웃도어 시장의 지난해 매출 실적 대결 중 ‘부동의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그 위상이 많이 흔들린 모습이었다. 노스페이스는 재작년 ‘등골 브레이커(부모의 등골을 휘게 할 정도로 비싸다는 뜻)’로 사회적인 지탄을 받은 뒤 주춤하더니 그 여파를 회복하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작년 6천450억원의 매출을 올렸으나 전년(6천150억)보다 4.9% 증가하는 데 그쳤다.
브랜드 파워 부문에서 노스페이스의 인기는 여전하다. 2013년 10월 브랜드조사 결과 노스페이스는 Brand Mind-Share Index 지수에서 1위를 차지하였다. 노스페이스는 대중적이고(48.8%ㆍ중복응답) 젊은 층이 좋아하는 브랜드(47.7%)라는 점에서 선호되고 있었고 2위인 코오롱스포츠의 경우도 대중적이라서(47.1%) 선호한다는 응답과 기능성이 우수해서(38.6%) 좋아한다는 소비자가 많았다. 3위 네파는 젊은 층이 선호한다는 점(39.2%)에서 지지를 받고 있었다. 단순 브랜드 이미지 평가에서는 노스페이스 제품이 7개 항목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가격대비 품질이 우수한’과 ‘전문적인’, ‘정통 아웃도어 브랜드’ 세 개 항목에선 1위를 차지하지 못해 기능성에 대한 신뢰는 노스페이스가 극복해야할 요소인 것으로 분석된다 . 노스페이스는 친근하고 익숙하며(66.7%, 중복응답) 평상복으로 적합하고(64.5%) 유행을 선도하며(62%) 디자인이 우수한(49.5%) 제품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백화점 아웃도어 부문에서 노스페이스는 입지가 점점 좁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아이돌 톱스타를 기용해 인지도를 높인 후발업체들의 공세와 최상류층을 겨냥한 고급 브랜드 마케팅을 내세운 초고가 수입 브랜드들의 성장세가 겹쳤기 때문이다. ‘노페(노스페이스)현상’이란 신조어까지 만들어내며 인기를 끌었지만 지난해 학교폭력의 주범으로 몰리는 등 역풍을 맞으면서 수요가 분산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노스페이스 브랜드가 ‘노스페이스 계급’, ‘등골브레이커’ 등으로 희화화되면서 실구매력이 있는 중년 고객들도 일부 빠져나갔다. ‘중고교생 일진이 입는 옷’을 입는 데 불편함을 느낀 중장년층이 상대적으로 기능성이 강조된 몽벨, 블랙야크 등을 택하거나 아예 남들과 다른 초고가 수입 브랜드를 선택하게 된다는 것이다. 중년층 사이의 입소문으로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하이엔드 브랜드에는 아크테릭스, 몬츄라, 마무트 등이 있다.
2. 아웃도어시장 분석
국내 전체 아웃도어 시장 규모는 6조 4000억 원. 지난 2009년부터 가파른 성장을 해 왔고, 현재는 100여 개의 브랜드가 존재하는 포화 시장 상태이며 성장률이 점차 줄어드는 상태다. 세부적으로는 수입 브랜드 라인의 미국형/ 유럽형 브랜드와 가격과 유통력으로 승부하는 중저가 브랜드로 나뉘며,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노스페이스가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품질과 인지도 외에 PR이라는 제 3의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
삼성패션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아웃도어 시장 규모는 올해 6조4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5조8000억원이던 지난해보다 11% 이상 늘었다. 한국 아웃도어 시장은 4년 전부터 매년 30% 이상 성장하며 미국에 이어 전 세계 2위 시장으로 급부상했다. 현재 아웃도어 시장은 노스페이스, 코오롱스포츠, K2, 블랙야크가 1~4위를 차지하며, 지난해 매출액을 기준으로 보면 노스페이스(6450억원)가 가장 많고, 코오롱스포츠(6100억원), K2(5500억원) 블랙야크(5100억원) 순이다. 올해 상반기에도 플러스 성장률을 기록하며 아웃도어업계는 여전히 성장세에 있다. 경기 불황에도 몇 년째 폭발적인 성장세가 이어지자 더욱 더 많은 브랜드들이 생겨났고 국내에 진출하는 외국 브랜드도 증가했다. 국내 아웃도어 브랜드는 이미 100여 개에 이른다.
국내 아웃도어 시장은 크게 미국적인 실용형과 유럽의 정통 아웃도어 브랜드로 나눌 수 있다. 탁월한 마케팅력으로 시장을 선점한 미국 아웃도어 브랜드가 익스트림 뿐 아니라 라이프스타일을 바탕으로 지형에 맞는 다양한 라인을 전개하고 있는 반면 유럽 브랜드들은 변덕스러운 날씨와 기후로부터 신체를 보호해 주는 기능적인 면과 실용성을 무기로 산악전문가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특히 유럽발 아웃도어는 기능적인 면과 함께 컬러감이 뛰어나 국내 소비자의 이목을 끌기에 충분하지만 국내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트렌드를 접목한 아이템을 개발, 기능성 제품과 복합구성 되면서 점차 아이더, 밀레, 라푸마 등의 유럽발 아웃도어의 인기가 올라가고 있다.
현재 아웃도어 시장은 상위 10여개 브랜드가 전체 시장 점유율의 80% 가량을 차지하는 등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수입 브랜드인 중고가 아웃도어 시장과는 달리, 레드페이스, 웨스트우드 등의 중저가 아웃도어 시장은 차별화되고 합리적인 가격으로 대리점과 대형마트로 유통을 전개하면서 판매에 주력하고 있다.
3. 노스페이스 SWOT 분석
Strength
노스페이스의 강점은 무엇보다 높은 인지도와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노스페이스는 현재까지 가장 선호하는 아웃도어 분야에서 1위 브랜드로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국내 아웃도어 용품 판매 6년연속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오랜 현장테스트를 통한 기술력과 상품력을 확보했다는 점도 노스페이스의 강점이다. 최근에는 실용성을 겸비한 캐주얼한 디자인을 출시하여 중고등학생 층이 즐겨 입을 만큼
  • 가격5,5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4.04.28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52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