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상담의 정의와 고려할 점 및 유형,개인상담, 집단상담, 가족상담, 단기상담, 장기상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상담의 정의와 고려할 점 및 유형,개인상담, 집단상담, 가족상담, 단기상담, 장기상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아동상담의 정의

2. 아동상담에서 고려할 점

3. 아동상담의 유형
 1) 개인상담
 2) 집단상담
 3) 가족상담
 4) 단기상담
 5) 장기상담


참고문헌

본문내용

담은 개인이 자신의 삶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어떻게 지각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개인을 대상으로 상담을 하게 되며, 면담 횟수도 1~2회에 그치게 되고 아동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 그치게 된다. 이에 비해 가족상담은 환자와 가족 간의 관계 변화에 관심을 갖기 때문에 아동의 가족체계가 상담 대상이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가족 상담이라고 해서 반드시 모든 가족 구성원이 포함되는 것은 아니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족상담은 문제를 가진 아동 및 그의 문제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는 구성원들을 상담 단위 속에 포함시켜서 실시하게 된다.
셋째, 상담기간의 차이에서 개인상담은 상담자가 추구하는 이론적 관점에 따라 차이가 나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장기적인 상담기간을 필요로 하나,
가족 상담에서는 아동을 둘러싼 역기능적 상호 작용을 변화시킴으로써 아동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기 때문에 6개월 이내에 상담을 종결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4) 단기상담
단기 상담은 짧게는 6~8회기에 끝낼 수도 있으나 15회 또는 25회 이상을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단적으로 결론짓기는 어려우나, 상담 회기로는 4개월 미만이고 15회기 이내인 정도를 단기 상담이라고 보며, 최근에는 단기 상담의 한 유형으로 해결 중심적 단기 상담이 강조되고 있다. 해결 중심적 단기상담은 상담의 초점을 문제 중심에 두기보다 해결중심에 두고 있는데 주로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학생의 약점보다 강점을 강조하기 때문에 학생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잡도록 도와주는 데는 몇 회기면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해결중심적 접근법의 주된 기법은 경청, 공감적 반응, 개방적 질문, 지지, 강화, 목표 설정, 척도의 사용 등으로서 다른 상담 접근법에서도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것들이라 할 수 있다.
5) 장기상담
장기 상담은 비용이나 상담기간이 큰 부담으로 작용하므로 인해, 최근 상담의 추세는 특정 문제 중심으로 ‘단기화’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문제의 특성에 따라 장기 상담을 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김명희, 이현경 저, 상담과 심리평가(아동 청소년을 위한), 교문사 2014
차영희 저, 유아동 상담의 기초(아동 상담의 실제 준비를 위하여), 창지사 2014
최명선, 홍기목 외 저, 아동상담 처음부터 끝까지, 이담북스 2012
최덕경, 박영옥 외 저, 정신건강론, 창지사 2014
류현수, 임영서 저, 아동상담, 동문사 2014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5.02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60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