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화장품에 사용 가능한 천연항균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품, 화장품에 사용 가능한 천연항균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항균제
1) 항균제란
2) 항균제의 종류
(1) 방부제
(2) 살균제
(3) 멸균제
(4) 화학적 보존제
(5) 항생제

2. 천연항균제
1) 천연항균제란
2) 천연항균제의 종류
(1) 식물유래의 천연항균제
(2) 동물유래의 천연항균제
(3) 미생물유래의 천연항균제

본문내용

시켰다. 30밀리줄/제곱센티미터의 자외선이라면 여름철의 평균조사량에 해당하는 수치.
그 결과 메틸파라벤을 흡수한 피부세포들의 경우 19%에 괴사한 반면 이 물질을 주입하지 않았던 피부세포 대조그룹의 경우에는 괴사율이 6%에 불과했다. 특히 메틸파라벤을 주입했던 피부세포들은 노화의 주요 원인물질로 알려진 과산화지질의 양이 대조그룹에 비해 3배 가까이 높은 수치를 보였던 것으로 분석됐다.
과산화지질은 자외선을 조사받아 산화(酸化)된 세포 내부에서 생성되는 물질이다.
요시카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자외선에 노출된 메틸파라벤이 피부세포들의 노화작용을 촉진시킨다는 확신을 갖게 됐다"고 결론지었다.
◈ <건강>샴푸ㆍ핸드로션속 성분 태아 신경계 해끼칠수도
(한겨레신문 2004.12.07 윤진 기자 mindle@hani.co.kr)
[한겨레] 비비시, 미 생물학회 발표 보도
샴푸나 핸드로션에 들어 있는 화학성분이 태아의 신경계 발달에 장애를 가져올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영국 〈비비시방송>은 미국 피츠버그 대학 연구진이 최근 열린 ‘미국 세포생물학회'에서 발표한 보고서를 따 “샴푸와 핸드로션에 들어가는 ‘메칠이소치아졸리논' 성분이 신경 세포 발달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6일 보도했다.
메칠이소치아졸리논은 물이나 습한 곳에서 잘 자라는 해로운 박테리아를 죽인다.
주로 샴푸나 핸드로션처럼 개인 위생용품이나 물 냉각 시스템, 물이 필요한 생산공장 등에서 쓰인다.
연구팀이 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적은 양의 메칠이소치아졸리논에 장기간 노출되면 신경세포 축색돌기와 수상돌기 발달이 억제됐고, 이 물질은 세포들이 서로 신호를 주고받을 때 활성화되는 효소의 기능을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 엘리아스 아이젠만 박사는 “이 물질이 세포 단계에서나 신경계 발달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결론 지으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며 “우리 연구 결과를 보면 이 성분에 매일 노출되면 사람에게 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우려되는 점은 임산부가 직업적으로 이 성분에 노출되면 태아에게 위험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이젠만 박사는 “이 화학물질이 점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사람이 어느 정도 노출됐을 때 안전한지 알 수 있는 신경계 독성 연구가 없었다.”며 “어린이 발달 장애와 환경 문제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이 연구는 신경발달 차원에서 메칠이소치아졸리논을 주의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영국 화장품 향수협회 크리스 플라워 박사는 “이 물질은 이미 많은 안전성 실험을 거쳤지만 아무 이상 없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제품에 사용될 것”이라고 반박했다.
인터넷에서 위와 같은 기사를 손쉽게 찾을 수 있었다. 위 기사들의 내용에 따르면 인공방부제는 최근의 연구결과 예상한 것보다 더울 해로울 수 있음이 과학적으로 밝혀지고 있다고 한다. 파라벤류의 방부제가 유방암조직에 축적된 것이 한 가지 예인데, 파라벤이 유방조직에 축적되어서 유방암을 발생시켰는지 아니면 유방암이 발생한 후 유방암 조직이 파라벤을 축적되도록 했는지 증명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파라벤이 여성호르몬을 혼란시키는 환경호르몬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며 환경호르몬이 대개 유방암의 성장을 촉진시킨다는 사실로 미루어 보아 파라벤이 환경호르몬으로 작용하여 유방암을 유발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실제로 현재 시중에 유통 중인 거의 모든 화장품에 파라벤류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 통상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로 표기되는데 이렇게 오랫동안 사용된 성분들도 새로운 과학 기술로 위험성이 하나하나 밝혀지고 있다. 정식 GRAS급으로 분류된 것은 아니지만 사람들은 오랫동안 써왔고 지금까지 문제가 없었기 때문에 안전할 것이라고 생각하겠지만 그게 아닌 것이다. 이러한 성분들이 함유된 제품을 과학적인 연구결과 까지 무시해가면서 사용할 사람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앞서 말했듯이 화장품은 물론 식품은 수분, 지방, 단백질, 탄수화물, 비타민 등의 여러 가지 화합물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성분들은 곰팡이나 세균의 영양원으로 쓰이기에 아주 적합하기 때문에 미생물들의 침투와 번식을 용이하게 한다. 식품 및 화장품에서 미생물들의 번식은 변질 및 부패를 야기하기에 이를 막기 위해 항균제(보존료, 방부제)를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이웃나라 일본처럼 천연항균제 시장이 아직 형성되어있지 않고 합성항균제가 함유된 제품이 대부분인 실정이라면 스마트한 소비자가 되어 항균제에 대해 바로알고 유해하지 않은 천연항균제 함유 제품을 직접 찾아 사용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엔싸이버백과(http://encyber.com/)
-네이버검색(http://www.naver.com/)
-구글검색(http://www.gooogle.co.kr/)
-야후검색(http://kr.yahoo.com/)
-네이버블로그
(http://blog.naver.com/73040533?Redirect=Log&logNo=110008650543)
(http://blog.naver.com/shane3158/10028564212)
-네이버카페
(http://cafe.naver.com/taehihouse.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616)
-개인블로그
(http://druginfo2.tistory.com/13?srchid=BR1http%3A%2F%2Fdruginfo2.tistory.com%2F13)
-스킨큐어(http://eskincure.co.kr/xe/tech_01_6)
-닥터샵
(http://www.drshop.co.kr/board_official3.html?func_name=view&idx=843&pageno=1)
-메디팜스투데이(http://www.pharmstoday.com/)
-연합뉴스(http://www.yonhapnews.co.kr/)
-한겨레신문(http://www.hani.co.kr/)
-약업신문(http://www.yakup.com/)
-화장품저널(http://www.cosmeticjournal.net/)
-싸이언스뉴스
  • 가격3,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14.05.02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60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