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분탐상검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분탐상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2. 자분의 색 종류가 다양하다.
3. 건식, 습식법에 모두 사용
4. 미세한 결함검출에 부적당
1. 미세한 결함검출에 우수하다.
2. 암실이 필요하다.
3. 자외선 조사장치가 필요하다.
4. 주로 습식법으로만 사용된다.
<2> 자분의 적용
시험체의 탐상면에 자분을 적용하는 방법에는, 자분의 종류에 따라 건식법과 습식법으로 분류하며, 자분 적용에 대한 자화시기에 따라 연속법과 잔류법으로 분류한다.
<3> 자화방법에 따른 감도특성
이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교류(AC)는 표면결함에 대하여 그 검출감도가 반파직류(HWDC)보다 훨씬 효과적이다.
[5] 자분지시의 관찰
1. 지시의 관찰요령
자분지시를 관할하는 것의 올바른 방법은 되도록 반사광을 피하면서 관찰면에 대하여 정면으로 관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광자분 탐상시에는 충분히 어두운 곳에서 자외선 등을 이용하여 관찰하여야 한다. 이때 자외선 등의 강도는 시험표면에서 800-1000W/Cm 이상인 충분한 성능을 가져야 관찰이 정확히 될 수 있다.
자분지시 모양이 관찰되면 우선 결함에 의한 지시인지 여부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하는데, 자분지시에는 결함이 아닌 비관련지시 모양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2. 비관련지시
비관련지시란 시험체에 존재하는 결함에 의해 나타나는 자분지시가 아닌 설계상, 구조상 또는 취급 부주의 등으로 나타나는 자분지시를 말하며, 비관련지시의 종류와 그 판별법을 알아보기로 한다.
(1) 자기펜의 흔적 (Magnetic Writing)
잔류법에 있어서 시험체가 서로 접촉한 경우 또는 다른 강자성체에 접촉한 경우에 생기는 누설자속에 의한 자분지시를 말한다. 예리한 것에 접촉되면 자분지시 모양이 뚜렷한 선 모양으로 나타나 결함으로 오인하기 쉬운데, 이는 시험체를 탈자라고 재 자화하여 자분을 적용하면 나타나지 않는다.
(2) 단면 급변지시
시험체의 단면적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곳이나 모서리 부분에 생기는 누설자속에 의해 자분이 흡착되어 나타난 자분지시를 말한다.
시험체의 단면 급변 부위나 키홈과 같은 모서리 부분은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으로 결함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결함에 의한 지시가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자화전류를 줄여 자화의 정도를 약하게 하고 주의하여 관찰해야한다.
(3)전류지시
높은 전류가 흐르고 있는 자화 케이블 등이 시험면에 접촉하면, 그 부위가 국부적으로 자화되기 때문에 굵고 흐리게 나타나는 자분지시를 말한다. 이는 자화케이블의 접촉위치를 바꾸어 재자화하면 나타나지 않는다.
(4)전극지시
프로드법 등의 전극 접촉부에서 나타나는 자분지시로 전극부근의 전류밀도가 높기 때문에 생기는 누설자속에 의해 방사형 모양으로 나타난다. 이는 전극의 위치를 바꾸어 재자화하면 나타나지 않는다.
(5)자극지시
요크(극간)법에서 자극의 접촉부 및 그 주변에 국부적으로 생기는 고밀도의 누설자속에 의해 형성되는 자분지시로, 이는 자극의 위치를 바꾸어 재자화하면 나타나지 않는다.
(6)표면거칠기지시
산화스케일, 부식 등으로 인한 시험체 표면의 요철부에 생기는 누설자속을 따라 형성되는 자분지시와 자분이 요철부에 고여 생기는 자분지시를 말한다. 이는 검사표면을 매끄럽게 처리하고 재검사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재질경계지시
투자율이 다른 재질 또는 금속조직의 경계에 생기는 자분지시로, 용접부의 용접금속과 모재의 경계, 이종금속의 압연부의 경계, 국부적으로 냉간가공이나 열처리가 되어 금속조직이 달라진 경계부위 등에서 나타난다. 이는 침투탐상검사와 같은 다른 검사방법으로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8)오염지시
시험체를 문지르거나, 얼룩이 있는 경우에 생기는 자분지시로, 이는 시험체의 표면을 깨끗이 한 후 재검사 하도록 한다.
3. 자분지시모양의 보존
결함을 나타내는 지시는 필요에 따라 스케치, 전사 또는 사진촬영에 의해 기록으로 남길 수 있다.
(1)스케치
자분지시를 스케치에 의해 기록하고자 할 경우에는 자분지시모양의 크기, 위치, 및 방향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영구성 및 작성비용이 저렴하여 가장 보편적인 기록방법이나, 자분지시의 모양의 정확한 재현이 어려움이 있다.
(2) 전사
자분지시 모양을 자기테이프 또는 접착 투명테이프에 옮겨 보존하는 방법으로, 실용적이기는 하나 장기간의 보존이 어렵다.
(3)사진촬영
자분지시 모양의 형상 및 치수를 촬영을 통해 정확히 알 수 있는 가장 우수한 방법이나, 일반적인 성적서에 첨부하기 곤란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
[6] 탈자 및 기록
1. 탈자
(1) 탈자의 필요성
자분탐상검사 후에는 검사품에 잔류자장이 존재하게 되는데,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탈자를 하여야 한다.
1)차후의 공정이나 사용상에 잔류자기가 영향을 미칠때
2)계측기 등에 영향을 미칠 경우
3)처음보다 낮은 전류로 다시 자화를 해야 할 때
4)사양서에 의해 요구되었을 때
그러나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탈자가 필요하지 않다.
1)보자성이 낮은 연철 및 주철
2)Curie Point 이상에서 열처리 될 때
3)잔류자기가 별 문제 안 되는 대형 주조품
4)보다 큰 자화전류로 다시 자화를 해야 될 때
(2)탈자의 방법
처음 시험체가 자화될 때 생긴 잔류자장은 시험체에 적용된 자장보다 강도는 약하며 방향은 동일 방향이다. 탈자의 원리는 잔류자장의 방향을 반대로 하여 자장의 강도를 줄이는 것을 반복하면 잔류자장이 0으로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탈자의 방법에는 시험체에 적용된 자장의 세기보다 큰 값으로 자장의 방향을 교대로 반전시키면서 자장의 강도를 서서히 영점까지 감소시켜 탈자 시켜 주는 방법과 자장의 세기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시험체 또는 코일을 자장 중에서 서서히 멀리하여 탈자 시키는 방법이 있다.
2.기록
검사보고서를 작성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기록해야 하며 필요에 따라 추가해야 한다.
(1)시험체
품명, 재질, 치수, 열처리상태, 표면조건 등을 기록한다.
(2)검사조건
검사장치, 자분의 종류, 자화시기, 자화전류 및 전류값, 자화방법, 표준시험편, 검사결과 등을 기록한다.
(3)기타조건
검사기술자, 검사일자, 검사장소 등을 기록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4.05.06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65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