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한국 무역의 변화와 발전
1) 국가별 한국 무역구조의 변화
2) 업종별 한국 무역구조의 변화
3. 각 이론에 접목시켜 본 우리나라 무역
1) A.Smith 의 절대생산비 이론
2) 핵쇼-올린(Heckscher-Ohlin) 이론
3) M. V Posner와 G. C Hufbauer의 기술격차이론
4) 대표적 수요이론
5) R&D 이론
6) 규모의 경제
7) 보호무역 대 자유무역
4. 맺음말
5. 참고문헌
2. 한국 무역의 변화와 발전
1) 국가별 한국 무역구조의 변화
2) 업종별 한국 무역구조의 변화
3. 각 이론에 접목시켜 본 우리나라 무역
1) A.Smith 의 절대생산비 이론
2) 핵쇼-올린(Heckscher-Ohlin) 이론
3) M. V Posner와 G. C Hufbauer의 기술격차이론
4) 대표적 수요이론
5) R&D 이론
6) 규모의 경제
7) 보호무역 대 자유무역
4. 맺음말
5. 참고문헌
본문내용
r)
그래프 3) 해외 이동전화 가입자수
참고: IT수출 정보 데이터 베이스(www.itx.or.kr)
린더 (S. Linder)의 대표적 수요 이론에 따르면 교역국 간의 대표적 수요에 의해 교역이 이루어진다는 내용인데 정보통신 기기 가운데 특히 한국의 휴대 전화의 수출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1999년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한 한국의 휴대전화 가입자를 보면 알 수 있다. 그래프 3)를 살펴보면 1999년 이후부터 급격하게 휴대전화에 대한 가입자 증가는 한국의 그 당시 대표적 수요로 볼 수 있다. 동시에 그래프4)은 외국의 휴대전화 가입자를 보면 역시 1999년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한국과 무역량이 큰 규모를 가지는 중국, 미국, 일본의 휴대전화 가입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래프3), 4)을 살펴보면 한국과 한국의 주요 貿易 상대국인 중국, 미국, 일본 등에서 대표적 수요인 휴대전화는 한국의 수출증가에 큰 기여를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R&D 이론
산업이 발달해감에 따라 그에 따른 연구 역시 있어야 한다. 이를 말해주는 것이 R&D 이론인데 세계 속 경쟁에서 이기려면 새로운 상품을 계속해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연구하는 것으로 경쟁력을 살리기 위해서는 꾸준한 연구가 필요함을 증명해 주고 있다.
위처럼 국내기업의 휴대전화 수출에는 그 상품에 대한 기술적인 우위가 있기 때문인데, 그러한 것은 해당기업의 지속적인 연구 및 개발의 성과로 이루어진다. 이미 세계시장에서 인정받고 있는 삼성전자의 ‘Anycall’ 이나 ‘아이폰’ 과 같은 제품의 경우도 기존 제품과는 차별성을 둔 기술의 차이로 경쟁력을 갖춘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지속적인 기업의 R&D는 기업경쟁력의 성장 뿐만 아니라 국가수출 및 경쟁력의 증대에 기여한다.
규모의 경제
피라미드형 개발전략이라고도 불리는 이 이론은 국제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마지막 단계 산업을 수출화하여 육성하게 되면 아래 단계 산업까지 저절로 발전하게 되고 그만큼 그 나라에 산업 및 경제가 발전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휴대폰산업을 포함 한국에서 정보통신 산업을 주도하는 기업들은 거의 대기업들인데, 휴대 전화뿐만 아니라 컴퓨터와 인터넷 관련 산업까지 포함 한다면 정보·통신 산업의 규모의 경제성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위와 같은 수출생산품의 수출 생산량이 늘어남에 따라 그에 따른 부품 생산량 또한 증가하게 되는데 휴대폰회사뿐만 아니라 그 밑에 있는 부품 회사 역시 규모가 커지고 발전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대기업뿐만 아니라 많은 중소기업들이 정보통신 산업에 투자 확대하면서 우리나라의 정보·통신 산업은 규모의 경제를 누리게 되고 이는 국제경제력을 지니게 되면서 많은 수출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규모의 경제성으로 인해 정보통신 기기는 우리나라의 2500억불 수출의 기여를 하게 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
보호무역론 대 자유무역론
보호무역론
자유무역론
저개발국의 공업화 전략을 달성시킨다는 것을 전재로 수입대체산업을 보호하고 국내산업간 상호 수요의존도를 증진해 공업국과 농업국의 차이를 좁혀나가겠다는 이론이다. 그러나 수출시장의 확대는 자유무역을 통해서 증진된다 하여 비판을 받기도 한다.
비교생산비이론을 기초로 자유무역을 하면 각 나라별로 생산 특화가 되어 경제 발전효과가 난다는 이론이다.
이는 경제발전의 동기를 부여해 주며 기술전파 및 자본 이동 효과가 나타나 세계 후생이 증대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개발도상국의 산업구조가 이중구조의 성격을 띠게될 우려로 반박 당하기도 한다.
해방이후, 행정당국은 대외수지 안정, 생필품 위주의 수급안정과 산업기반에 경제정책의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행정당국이 수출입물품을 철저히 통제하고 관리하였다. 수출이 허가된 품목은 한천, 건어물 어간등 해산물과 흑연, 활석 등 광산물을 비롯한 수공예품(나전칠기, 공예품 등)과 인삼 8종목에 불과하였고 수입허가 품목은 쌀, 소맥분, 면화, 비료, 생고무, 원피, 성냥원료, 신문용지 소금, 시멘트, 의약품 등 주로 생활필수품 31개 품목뿐이었다.
이는 전쟁이후 우리나라는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는 극 빈국이었기 때문에 보호무역을 통한 수출증대를 꾀했기 때문이며, 그 당시에도 자유무역의 개념은 중요하였으나 국제적 비교 하에 국내에서는 보호무역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 시점 우리나라는 강대국들과의 교역협상에서도 목소리를 높이며 자유무역을 주창하는 무역 강국으로서 그 위상을 높이고 있으며. 최근 미국을 비롯하여 남미국가 및 인도와의 FTA를 체결하면서 한국수출의 국제시장을 넓히고 있다.
4. 맺음말
먼저, 위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느낀 바, 새삼 우리나라는 참 대단한 나라라는 생각이 든다.
어렴풋이 알고 있었던 한국무역에서의 수출과 경제발전의 과정들은 과제제출의 목적으로서만이 아닌 내가 지금 배우고 있는 학문적 이론들을 적용해 봄으로서 더욱 와 닿는 것이었다.
위 보고서에서 적용해 본 무역이론 외에도 많은 이론들이 연구되고 운영되었겠지만, 국가경제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 국민들이 보여준 하고자 하는 의지와 끈기, 열정 및 자긍심이라는 개인적인 느낌을 적는다. 이미 우리의 할아버지, 아버지 세대들이 그렇게 그래왔듯이, 우리 또한 위와 같은 기본 덕목을 갖추고, 보태어 물려받은 감사한 교육환경 속에서 학문적 연구를 게을리 하지 않고, 멀지 않은 미래에 국가에 보답하고 후손들에게 보다 나은 삶의 환경을 물려주는 것. 그것이 지금 내가 배우고 있는 학문을 포함한 지금의 우리의 의무라고 생각한다.
4. 참고문헌
신무역학원론 [신영사-서청석]
글로벌경영 [박영사-장세진]
통계청 [http://www.kosis.kr/]
무역정보네트워크 [http://www.kita.net/]
삼성그룹 홈페이지 [http://www.samsung.co]
정보통신부(http://www.mic.go.kr)
산업자원부(http://www.mocie.go.kr)
IT수출 정보 데이터 베이스(http://www.itx.or.kr)
두산위키백과 네이버 데이터 베이스(http://www.naver.com)
그래프 3) 해외 이동전화 가입자수
참고: IT수출 정보 데이터 베이스(www.itx.or.kr)
린더 (S. Linder)의 대표적 수요 이론에 따르면 교역국 간의 대표적 수요에 의해 교역이 이루어진다는 내용인데 정보통신 기기 가운데 특히 한국의 휴대 전화의 수출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1999년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한 한국의 휴대전화 가입자를 보면 알 수 있다. 그래프 3)를 살펴보면 1999년 이후부터 급격하게 휴대전화에 대한 가입자 증가는 한국의 그 당시 대표적 수요로 볼 수 있다. 동시에 그래프4)은 외국의 휴대전화 가입자를 보면 역시 1999년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한국과 무역량이 큰 규모를 가지는 중국, 미국, 일본의 휴대전화 가입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래프3), 4)을 살펴보면 한국과 한국의 주요 貿易 상대국인 중국, 미국, 일본 등에서 대표적 수요인 휴대전화는 한국의 수출증가에 큰 기여를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R&D 이론
산업이 발달해감에 따라 그에 따른 연구 역시 있어야 한다. 이를 말해주는 것이 R&D 이론인데 세계 속 경쟁에서 이기려면 새로운 상품을 계속해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연구하는 것으로 경쟁력을 살리기 위해서는 꾸준한 연구가 필요함을 증명해 주고 있다.
위처럼 국내기업의 휴대전화 수출에는 그 상품에 대한 기술적인 우위가 있기 때문인데, 그러한 것은 해당기업의 지속적인 연구 및 개발의 성과로 이루어진다. 이미 세계시장에서 인정받고 있는 삼성전자의 ‘Anycall’ 이나 ‘아이폰’ 과 같은 제품의 경우도 기존 제품과는 차별성을 둔 기술의 차이로 경쟁력을 갖춘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지속적인 기업의 R&D는 기업경쟁력의 성장 뿐만 아니라 국가수출 및 경쟁력의 증대에 기여한다.
규모의 경제
피라미드형 개발전략이라고도 불리는 이 이론은 국제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마지막 단계 산업을 수출화하여 육성하게 되면 아래 단계 산업까지 저절로 발전하게 되고 그만큼 그 나라에 산업 및 경제가 발전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휴대폰산업을 포함 한국에서 정보통신 산업을 주도하는 기업들은 거의 대기업들인데, 휴대 전화뿐만 아니라 컴퓨터와 인터넷 관련 산업까지 포함 한다면 정보·통신 산업의 규모의 경제성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위와 같은 수출생산품의 수출 생산량이 늘어남에 따라 그에 따른 부품 생산량 또한 증가하게 되는데 휴대폰회사뿐만 아니라 그 밑에 있는 부품 회사 역시 규모가 커지고 발전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대기업뿐만 아니라 많은 중소기업들이 정보통신 산업에 투자 확대하면서 우리나라의 정보·통신 산업은 규모의 경제를 누리게 되고 이는 국제경제력을 지니게 되면서 많은 수출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규모의 경제성으로 인해 정보통신 기기는 우리나라의 2500억불 수출의 기여를 하게 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
보호무역론 대 자유무역론
보호무역론
자유무역론
저개발국의 공업화 전략을 달성시킨다는 것을 전재로 수입대체산업을 보호하고 국내산업간 상호 수요의존도를 증진해 공업국과 농업국의 차이를 좁혀나가겠다는 이론이다. 그러나 수출시장의 확대는 자유무역을 통해서 증진된다 하여 비판을 받기도 한다.
비교생산비이론을 기초로 자유무역을 하면 각 나라별로 생산 특화가 되어 경제 발전효과가 난다는 이론이다.
이는 경제발전의 동기를 부여해 주며 기술전파 및 자본 이동 효과가 나타나 세계 후생이 증대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개발도상국의 산업구조가 이중구조의 성격을 띠게될 우려로 반박 당하기도 한다.
해방이후, 행정당국은 대외수지 안정, 생필품 위주의 수급안정과 산업기반에 경제정책의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행정당국이 수출입물품을 철저히 통제하고 관리하였다. 수출이 허가된 품목은 한천, 건어물 어간등 해산물과 흑연, 활석 등 광산물을 비롯한 수공예품(나전칠기, 공예품 등)과 인삼 8종목에 불과하였고 수입허가 품목은 쌀, 소맥분, 면화, 비료, 생고무, 원피, 성냥원료, 신문용지 소금, 시멘트, 의약품 등 주로 생활필수품 31개 품목뿐이었다.
이는 전쟁이후 우리나라는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는 극 빈국이었기 때문에 보호무역을 통한 수출증대를 꾀했기 때문이며, 그 당시에도 자유무역의 개념은 중요하였으나 국제적 비교 하에 국내에서는 보호무역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 시점 우리나라는 강대국들과의 교역협상에서도 목소리를 높이며 자유무역을 주창하는 무역 강국으로서 그 위상을 높이고 있으며. 최근 미국을 비롯하여 남미국가 및 인도와의 FTA를 체결하면서 한국수출의 국제시장을 넓히고 있다.
4. 맺음말
먼저, 위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느낀 바, 새삼 우리나라는 참 대단한 나라라는 생각이 든다.
어렴풋이 알고 있었던 한국무역에서의 수출과 경제발전의 과정들은 과제제출의 목적으로서만이 아닌 내가 지금 배우고 있는 학문적 이론들을 적용해 봄으로서 더욱 와 닿는 것이었다.
위 보고서에서 적용해 본 무역이론 외에도 많은 이론들이 연구되고 운영되었겠지만, 국가경제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 국민들이 보여준 하고자 하는 의지와 끈기, 열정 및 자긍심이라는 개인적인 느낌을 적는다. 이미 우리의 할아버지, 아버지 세대들이 그렇게 그래왔듯이, 우리 또한 위와 같은 기본 덕목을 갖추고, 보태어 물려받은 감사한 교육환경 속에서 학문적 연구를 게을리 하지 않고, 멀지 않은 미래에 국가에 보답하고 후손들에게 보다 나은 삶의 환경을 물려주는 것. 그것이 지금 내가 배우고 있는 학문을 포함한 지금의 우리의 의무라고 생각한다.
4. 참고문헌
신무역학원론 [신영사-서청석]
글로벌경영 [박영사-장세진]
통계청 [http://www.kosis.kr/]
무역정보네트워크 [http://www.kita.net/]
삼성그룹 홈페이지 [http://www.samsung.co]
정보통신부(http://www.mic.go.kr)
산업자원부(http://www.mocie.go.kr)
IT수출 정보 데이터 베이스(http://www.itx.or.kr)
두산위키백과 네이버 데이터 베이스(http://www.naver.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