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김영윤과 화랑 반굴>
<품일과 화랑 관창>
<지소부인과 원술>
<비녕자, 거진, 합절>
<계백>
<효녀 지은 >
<성각>
<진정사의 효도와 선행>
<자식 묻은 손순>
<왕자 호동>
<산상왕과 시골 여자>
<바보 온달>
<불귀신이 된 지귀>
< 김서현과 만명부인>
<문희와 보희>
<개로왕과 도미의 아내>
<서동과 선화공주>
<강수>
<설씨녀>
<품일과 화랑 관창>
<지소부인과 원술>
<비녕자, 거진, 합절>
<계백>
<효녀 지은 >
<성각>
<진정사의 효도와 선행>
<자식 묻은 손순>
<왕자 호동>
<산상왕과 시골 여자>
<바보 온달>
<불귀신이 된 지귀>
< 김서현과 만명부인>
<문희와 보희>
<개로왕과 도미의 아내>
<서동과 선화공주>
<강수>
<설씨녀>
본문내용
운 신하 한 사람으로 밤에 그 집에 가게 했다. 그 부인에게 오랫동안 아름답다는 말을 들어 도미와 더불어 장기 내기를 해서 이겼다며 궁중에 데려다가 궁인을 삼겠다고 이제부터 자기 소유라고 하였다. 부인은 감히 따를 수 있겠냐며 옷을 갈아입고 갔다고 한다. 한 여종을 어지럽게 치장시켜 왕의 잠자리를 모시게 하였다. 왕은 나중에 속은 줄 알고 크게 노했다. 도미에게 없는 죄를 씌워 두 눈동자를 빼고 작은 배에 태워 강 위에 띄웠다. 부인은 지금 남편을 잃어 홀몸으로 견딜 수 없고 월경으로 몸이 더러워졌다며 다른 날에 목욕을 하고 오겠다고 부탁해 왕은 허락하고 부인은 즉시 도망하여 하늘을 부르며 통곡하였다. 남편을 만나보니 아직 죽지 않고 풀뿌리를 캐 먹고 있으므로 고구려산산 아래로 갔다. 고구려 사람들이 이를 가엾게 여겨 의복과 음식을 주어 구차한 생활로 나그네 신세로 일생을 마쳤다.
<서동과 선화공주>
장의 어머니가 과부가 되어 서울 남쪽 못가에 집을 짓고 살고 있었는데, 그 못의 용과 관계하여 장을 나은 것이다. 어릴 적 이름은 서동이었으며 재능과 도량이 뛰어났다. 서동은 선화공주를 보러 상경하여 아이들에게 마를 나눠주어 친해져 선화공주를 음모하는 노래를 만들게 된다. 공주는 귀양을 가게 되고 이에 서동은 은밀하게 공주와 관계를 맺게 된다. 서동은 마를 황금이라고 하여 공주를 유인하여 마를 왕이 있는 궁궐로 실어 보내기로 하고 공주의 신통력으로 편지와 함께 보낸다. 진평왕은 서동을 존경해 안부를 물었으며 이 때문에 서동은 왕위에 얻었다. 법사는 신통력을 써서 하룻밤만에 못을 메워 평지로 만들었다.
<강수>
강수의 아버지는 석체 나마이다. 그의 어머니가 꿈에 뿔 있는 사람을 보고 임신하여 아이를 낳았는데 그의 머리 뒤에 불거진 뼈가 있었다. 어진 사람은 이 아이를 보며 범상치 않은 사람이라고 하였다. 또 이 아이의 머리에는 검은 사마귀가 있는데 이 또한 심상치 않다고 하였다. 아버지는 이 아이에게 불교와 유교 공부중에 어떤 공부를 할꺼냐며 물었는데 아이는 유교의 도를 배운다고 하며 뛰어난 인물이 되었다. 강수는 대장장이 집 딸과 야합하여 정이 매우 두터웠다. 그런데 강수는 두 번 장가를 들 수 없다고 한다. 강수의 아버지는 미천한 자로써 베필을 삼는 것이 수치라고 하자 강수는 도리를 배우고 실천하지 않은 것이 부끄러운 것이라고 여긴다 하며 미천한 여자를 버리지 않기로 한다. 강수는 글을 잘써서 왕이 그를 임생이라고 하였다. 또한 왕이 관리에게 매년 벼 백섬씩을 주게 하였다. 문무왕은 강수의 글솜씨로 중국과 고구려, 백제의 우호관계를 맺는데 성공할꺼라고 생각해 역시 그의 문장에 도움을 받았다. 그런데 그는 모두 불공하는데 돌렸다.
<설씨녀>
설씨 여자는 가정이 한미하고 집안이 외뤄웠지만 얼굴이 단정하고 조행이 얌전해서 그를 흠모했지만 법접하지는 못하였다. 진평왕때 그의 아버지가 노인으로써 방위 사업에 서게 되었는데 사량부에 사는 소년 가실이 설씨를 몰래 흠모하여 대신 군사로 나가겠다고 하였다. 설씨가 아버지에게 이 말을 전하자 그의 아버지가 은혜를 갚고자 어린 딸을 주겠다고 약속한다. 그래서 거울을 깨다가 설씨녀와 가실에게 반쪽씩 나눠갖게 했다. 그런데 마침 나라에 사고가 있어서 교대할 당번을 주지 않아 6년이 넘도록 가실이 돌아오지 못하였다. 설씨는 계속 기다렸지만 그녀의 아버지가 늙어 딸이 걱정되어 억지로 시집을 보내려고 했다. 설씨는 이를 거절하였다. 설씨가 마구간에 있는 가실의 말을 보고 눈물을 흘렸는데 가실이 수척한 형상으로 돌아왔다. 아버지와 집안 사람들은 기뻐 당장 혼례를 치르고 백년 해로를 하게 되었다.
이야기문학 정리
2011361042
홍진희
<서동과 선화공주>
장의 어머니가 과부가 되어 서울 남쪽 못가에 집을 짓고 살고 있었는데, 그 못의 용과 관계하여 장을 나은 것이다. 어릴 적 이름은 서동이었으며 재능과 도량이 뛰어났다. 서동은 선화공주를 보러 상경하여 아이들에게 마를 나눠주어 친해져 선화공주를 음모하는 노래를 만들게 된다. 공주는 귀양을 가게 되고 이에 서동은 은밀하게 공주와 관계를 맺게 된다. 서동은 마를 황금이라고 하여 공주를 유인하여 마를 왕이 있는 궁궐로 실어 보내기로 하고 공주의 신통력으로 편지와 함께 보낸다. 진평왕은 서동을 존경해 안부를 물었으며 이 때문에 서동은 왕위에 얻었다. 법사는 신통력을 써서 하룻밤만에 못을 메워 평지로 만들었다.
<강수>
강수의 아버지는 석체 나마이다. 그의 어머니가 꿈에 뿔 있는 사람을 보고 임신하여 아이를 낳았는데 그의 머리 뒤에 불거진 뼈가 있었다. 어진 사람은 이 아이를 보며 범상치 않은 사람이라고 하였다. 또 이 아이의 머리에는 검은 사마귀가 있는데 이 또한 심상치 않다고 하였다. 아버지는 이 아이에게 불교와 유교 공부중에 어떤 공부를 할꺼냐며 물었는데 아이는 유교의 도를 배운다고 하며 뛰어난 인물이 되었다. 강수는 대장장이 집 딸과 야합하여 정이 매우 두터웠다. 그런데 강수는 두 번 장가를 들 수 없다고 한다. 강수의 아버지는 미천한 자로써 베필을 삼는 것이 수치라고 하자 강수는 도리를 배우고 실천하지 않은 것이 부끄러운 것이라고 여긴다 하며 미천한 여자를 버리지 않기로 한다. 강수는 글을 잘써서 왕이 그를 임생이라고 하였다. 또한 왕이 관리에게 매년 벼 백섬씩을 주게 하였다. 문무왕은 강수의 글솜씨로 중국과 고구려, 백제의 우호관계를 맺는데 성공할꺼라고 생각해 역시 그의 문장에 도움을 받았다. 그런데 그는 모두 불공하는데 돌렸다.
<설씨녀>
설씨 여자는 가정이 한미하고 집안이 외뤄웠지만 얼굴이 단정하고 조행이 얌전해서 그를 흠모했지만 법접하지는 못하였다. 진평왕때 그의 아버지가 노인으로써 방위 사업에 서게 되었는데 사량부에 사는 소년 가실이 설씨를 몰래 흠모하여 대신 군사로 나가겠다고 하였다. 설씨가 아버지에게 이 말을 전하자 그의 아버지가 은혜를 갚고자 어린 딸을 주겠다고 약속한다. 그래서 거울을 깨다가 설씨녀와 가실에게 반쪽씩 나눠갖게 했다. 그런데 마침 나라에 사고가 있어서 교대할 당번을 주지 않아 6년이 넘도록 가실이 돌아오지 못하였다. 설씨는 계속 기다렸지만 그녀의 아버지가 늙어 딸이 걱정되어 억지로 시집을 보내려고 했다. 설씨는 이를 거절하였다. 설씨가 마구간에 있는 가실의 말을 보고 눈물을 흘렸는데 가실이 수척한 형상으로 돌아왔다. 아버지와 집안 사람들은 기뻐 당장 혼례를 치르고 백년 해로를 하게 되었다.
이야기문학 정리
2011361042
홍진희
추천자료
[고전문학] 우리문학사에 우화가 미치는 영향 - 우화소설을 중심으로
[과외]중학 국어 3-2학기 기말 4단원 고전문학의 감상 기출문제(교사용)
고전문학을 소재로한 콘텐츠작품 (바리데기)
고전문학을 콘텐츠작품으로 만들기(춘향전을 영화로)
고전문학속의 한국의 여성-홍계월전
[국문학A+]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분석 및 한·중 이물교...
[고전문학개론] 속미인곡 콘텐츠화 보고서
[한국고전문학사] 김만중과 조성기
[고전문학 교육론] 슬견설
[고전문학 교육론] 토의학습을 통한 가사교육 -관동별곡-
[고전문학 교육론] 희곡으로서의 봉산탈춤 - 음악 수업과의 공유형 교육과정 측면에서
[고전문학 교육론] 허생전 수업 지도안
[고전문학 교육론] 함께 하는 신화 수업 - ‘동명왕 신화’를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