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주제
◎목적
◎실험준비물
◎사전조사
◎실험순서
(1)시편채취
(2)마운팅
(3)그라인딩
(4)폴리싱
(5)엣칭
(6)현미경관찰
(7)결과(조직관찰)
(8)후기 및 고찰
◎참고문헌
◎목적
◎실험준비물
◎사전조사
◎실험순서
(1)시편채취
(2)마운팅
(3)그라인딩
(4)폴리싱
(5)엣칭
(6)현미경관찰
(7)결과(조직관찰)
(8)후기 및 고찰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으며, 광석의 연구에 흔히 쓰이기 때문에 광석현미경이라고도 한다.
우선 처음의 관찰 배율은 100, 200배 정도의 저배율이 좋으며 차차 고배율로 옮기도록 한다. 그 이유는 처음부터 고배율로 관찰하게 되면 전체적인 조직의 특징을 알 수 없게 되며 국부적으로만 관찰하게 되기 때문이다.
(7)결과(조직관찰)
주철 x100
주철 x200
주철 x500
구상흑연주철(GCD 450)
책과 인터넷을 찾아본 결과 주철의 조직이 구상흑연주철 조직과 많이 유사하였다. 검은색 동그라미가 바로 구상화인데 구상화란 분산되어 있는 상의 모양을 둥글게 하는 것을 말한다. 강재의 시멘타이트의 구상화 처리가 대표적인 예이다. 주철에 Mg이나 Co를 소량 첨가함으로써 흑연을 구상화한 것이 구상 흑연 주철이다. 주철을 에칭할 때 Nital 4%를 사용하였는데 조금만 더 부식을 시켰더라면 grain boundary가 더 선명하게 나왔을 것이다.
(8) 후기 및 고찰
그 사진을 보고 인터넷과 책을 찾아보면서 비교를 해보았다. 그 결과 금속의 함량에 따라 조직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금속의 종류에 따라 조직의 차이점을 볼 수 있었다. 이번 실험을 하는 동안 원하는 조직사진을 얻을 수 없었다. 어느 부분에서는 스크래치가 많이 발생하였고 어느 부분은 산이 생겨 조직사진이 선명하게 나오지 못하였다. 육안으로 보기에는 평평하여 잘 나오겠다고 생각하였는데 막상 현미경으로 보니 위아래로 산이 생겨 있었다. 그리고 폴리싱을 하는 시간을 너무 길게 하여 스크래치가 생긴 것이 아쉬웠다. 폴리싱 스크래치를 지우기 위해 90도로 회전시켜 다시 폴리싱을 해보았지만 폴리싱으로 인한 스크래치는 잘 지워지지 않았다. 그래서 폴리싱의 적정시간을 선택하지 못한 것이 선명한 조직사진을 얻는데 방해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또한 조직사진에서 작은 점 같은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은 폴리싱 과정에서 알루미나가 박혀 생긴 것이다. 알루미나가 많이 박혀 있으면 조직을 관찰하는 데 어려움이 생긴다. 그래서 계속 현미경으로 알루미나가 많이 박혀 있는지 확인하면서 실험을 하여 박힌 알루미나를 많이 제거하였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이런 실험을 더 많이 하여 발전하는 나의 모습이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이 실험을 할 수 있게 도와주신 교수님과 조교님께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다.
◎참고문헌
金屬組織學
허재근 · 박은수 · 현창용,『금속 공학 실험』
김암수,『재료공학』, 기전연구사
우선 처음의 관찰 배율은 100, 200배 정도의 저배율이 좋으며 차차 고배율로 옮기도록 한다. 그 이유는 처음부터 고배율로 관찰하게 되면 전체적인 조직의 특징을 알 수 없게 되며 국부적으로만 관찰하게 되기 때문이다.
(7)결과(조직관찰)
주철 x100
주철 x200
주철 x500
구상흑연주철(GCD 450)
책과 인터넷을 찾아본 결과 주철의 조직이 구상흑연주철 조직과 많이 유사하였다. 검은색 동그라미가 바로 구상화인데 구상화란 분산되어 있는 상의 모양을 둥글게 하는 것을 말한다. 강재의 시멘타이트의 구상화 처리가 대표적인 예이다. 주철에 Mg이나 Co를 소량 첨가함으로써 흑연을 구상화한 것이 구상 흑연 주철이다. 주철을 에칭할 때 Nital 4%를 사용하였는데 조금만 더 부식을 시켰더라면 grain boundary가 더 선명하게 나왔을 것이다.
(8) 후기 및 고찰
그 사진을 보고 인터넷과 책을 찾아보면서 비교를 해보았다. 그 결과 금속의 함량에 따라 조직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금속의 종류에 따라 조직의 차이점을 볼 수 있었다. 이번 실험을 하는 동안 원하는 조직사진을 얻을 수 없었다. 어느 부분에서는 스크래치가 많이 발생하였고 어느 부분은 산이 생겨 조직사진이 선명하게 나오지 못하였다. 육안으로 보기에는 평평하여 잘 나오겠다고 생각하였는데 막상 현미경으로 보니 위아래로 산이 생겨 있었다. 그리고 폴리싱을 하는 시간을 너무 길게 하여 스크래치가 생긴 것이 아쉬웠다. 폴리싱 스크래치를 지우기 위해 90도로 회전시켜 다시 폴리싱을 해보았지만 폴리싱으로 인한 스크래치는 잘 지워지지 않았다. 그래서 폴리싱의 적정시간을 선택하지 못한 것이 선명한 조직사진을 얻는데 방해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또한 조직사진에서 작은 점 같은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은 폴리싱 과정에서 알루미나가 박혀 생긴 것이다. 알루미나가 많이 박혀 있으면 조직을 관찰하는 데 어려움이 생긴다. 그래서 계속 현미경으로 알루미나가 많이 박혀 있는지 확인하면서 실험을 하여 박힌 알루미나를 많이 제거하였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이런 실험을 더 많이 하여 발전하는 나의 모습이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이 실험을 할 수 있게 도와주신 교수님과 조교님께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다.
◎참고문헌
金屬組織學
허재근 · 박은수 · 현창용,『금속 공학 실험』
김암수,『재료공학』, 기전연구사
소개글